[구글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 DNA에서 양자 컴퓨터까지 미래 정보학의 최전선 ㅣ 카이스트 명강 1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3년 4월
평점 :
<구글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도대체 책 제목이 왜이러지? 하고 첫 번째 생각이 들었다. 요즘 모르는 것이 있으면 구글이나 네이버 지식 검색을 찾으면 그야말로 다 나온다. 지금까지 검색해서 나오지 않았던 것이 거의 없을 정도이니 뭐 굳이 어려운 강의를 듣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온 것 같긴하다. 그리고 요즘 명강의 시리즈가 유행인가보다. 하버드대 명강의, 예일대 명강의, 카이스트 명강의. 명강의 시리즈는 높은 수준의 학문을 일반 대중들이 알아들을수 있도록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강의하므로 최고의 학문적 성과를 함께 나누는 좋은 취지가 있다. 보통 인문학 같은 경우는 높은 학문적 성과를 쉽게 풀이하면 잘 알아들을 수 있다. 그러나 과학 같은 분야는 워낙 전문적이고 기초학문을 알고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분야이므로 그것도 양자역학이니, 생명공학이니 하는 학문들을 대중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들 얼마나 성과가 있을지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있다>는 카이스트에서 강의하는 3명의 교수들이 몇 번이 걸쳐서 일반인들을 상대로 한 강의를 책으로 엮었다. 정하웅 교수는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라는 제목으로 복잡계 네트워크와 데이터 과학에 대해서 강의하고, 김동섭 교수는 ‘생명의 본질, 나는 정보다’라는 제목으로 생물 정보학의 최전선에 대해서 강의하고, 이해웅 교수는 ‘퀀텀 시티 속에 정보를 감춰라’라는 제목으로 양자 암호와 양자 정보학에 대해서 강의한다. 모두다가 정말 어려운 최첨단에 속한 분야이다. 과학에 대해서는 거의 눈뜬 장님에 가까운 내가 이들의 첨단 강의를 쉽게 풀이한다고 해도 전부다 이해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일수도 있다. 세 개의 강의가 서로 연관성이 없는 것 같이 각자가 하나의 완결된 것처럼 보여도 나름대로 질서가 있어 보였다. 그중에서 첫강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언급된 ‘정보의 네트워크’가 전체 강의를 하나로 묶어주는 통일된 중심적 역할을 한다. 이 세상은 복잡하고 너무나 많은 일들이 일어나며 인간이 알지못하고 보지 못하는 세계에서 무수히 복잡하게 얽혀 세상은 돌아간다. 그러나 이러한 복잡한 세계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그중에서 어떤 질서와 정보를 찾는 것은 복잡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인간의 몸부림일 수 있다. 그래서 모든 과학자들은 이 복잡하게 얽힌 네트워크속에서 어떤 정보를 읽어야만 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이 양자학에 관한 이야기로 마무리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일지도 모른다.
나는 개인적으로 정하웅 교수의 복잡계 네트워크가 가장 흥미로웠다. 일단 2강의 생명강의에서 생명의 본질을 정보로 정의하는 과학의 오만함이 거부반응을 일으켰고, 생명은 단순히 과학의 물질적인 관점으로만으로 ‘정보’라고 정의할 수 없는 1강에 따르면 무수히 복잡한 복잡계의 네트워크가 생명에도 연결되어 있는데 그모든 것을 깡그리 무시하고 단순히 생명을 하나의 ‘정보’라고 정의하는 것은 과학계에서 흔히 일어나는 과학적 환원주의(reductionism)이다. 그리고 3강 양자학은 어렵다. 복잡계 네트워크는 우주와 생명, 그리고 일상의 모든 삶에도 적용되는 것이기에 흥미로울 뿐 아니라 유용하기 까지 하다. 1강의 저자 정하웅 교수는 복잡계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다.
다양하고 많은 수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구성요서 하나하나의 특성과는 사뭇 다른 새로운 복잡한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나름대로의 질서를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것은 우리의 일상에서도 볼 수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서로의 이해관계에 따라 얽혀 있는 사회, 몸 속 물질들이 생화학반응하며 일어나는 생명현상, 통신수단을 통해 컴퓨터들을 연결해 놓은 인터넷, 신경세포들의 연결이 이루어내는 뇌의 작용 등 우리의 주변의 거의 모든 것에서 볼수 있는 것이 복잡계이다. 이 복잡계 네트워크는 좁은 세상의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도 유명한데 전 세계인들이 5명만 거치면 사로 아는 사이라는 이론은 1967년 하버드대 사회학과의 유명한 교수의 스탠리 밀그램에 의해서 증명된바 있다. 그리고 정하웅 교수와 라즐로 바바라시 교수는 인터넷의 모든 웹페이지는 평균적으로 1번의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것은 결국 우리가 사는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것도 몇몇의 연결적 네트워크에 의해서 얽혀 있다는 사실이고 결국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거대한 하나의 네트워크라는 것이다.
다양한 자료와 표, 도표와 그림을 제시하면 복잡계 네트워크를 설명하는 부분은 지루할 틈이 없고 상다히 흥미로웠다. 저자는 구글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나는 구글을 단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네트워크의 힘, 데이터의 힘을 이런식으로 전체로 네트워크화 시키는 것이 상당히 고무적이였고 흥미로웠다. 다른 강의도 좋았지만 1강만큼은 흥미롭지는 않았다. 전문적이여서 그런 것 같은 생각도 들었다. 과학도 이렇게 흥미있구나 이렇게 재밌구나라는 것을 느꼈던 시간이였다. 우리가 사는 세상의 모든 것이 이러한 시스템으로 움직여 나가는 구나라는 것을 느끼기도 했고, 역시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서로 융합되어야 한다는 것도 다시금 환기하게 되었다. 주로 인문학 분야에만 편중되어 있는 나의 독서 습관을 도쳐야겠다고 다짐해 보았다.
복잡계란 복잡하고 어려운 무언가입니다. 그런데 잘 보니까 그 바탕에는 네트워크라는 아주 간단한 뼈대가 있었습니다. 네트워크는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것인데 주변에 널려 있어서 찾아내는 건 사실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그래서 '네트워크라는 뼈대를 연구한 다음에 복잡계를 이해하자. 어려운 문제는 나중에 풀자'라고 생각해서 실제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더니 이것들이 항공망, 허브가 있는 네트워크였다라는 게 이번 강의의 내용 전부입니다. (p.66)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