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저 좋은 사람
줌파 라히리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욕을 여행하는 동안 많은 동양인과 한국인을 봤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신세계에 발을 들여놨을 것이다. 신세계가 녹록치 않다는 걸, 그들의 얼굴 표정에서 읽을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델리(우리나라 작은 수퍼 쯤)나 식당을 운영하고 있었고 이민 2세대 역시 가게에서 일하는 걸 볼 수 있었다. 그들은 대체로 무표정했고 가끔 고단한 표정을 했다. 신세계는 아이들의 대학 입학을 보장해 주지 않을 뿐더러 생활비 역시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았다. 일상적 기능어 외에는 1세대는 언어에 거부감이 있었고 2세대는 1세대의 언어와 네이티브의 언어 중간 쯤에 있었다.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가게에서 일하는 삶은 한국에서의 삶과 크게 달라보이지 않았지만 그들은 돌아가기보다는 그곳에서의 삶을 견디는 걸 택했다. 그들의 고단함을 완전히 헤아릴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그들이 그런 지루한 삶을 살러 낯선 땅unaccustomed earth에 온 건 아닐거라는 건 안다. 이런 이야기라면 재미없을 텐데, 하며서 어떤 편견을 가지고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편견은 빗나갔다. 고단함이나 정착기에 대한 약간 진부할 수 있는 고찰이 아니라 보다 더 보편적인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바로 가족 이야기다. 낯선 땅만이 아니라 익숙하다고 착각하는 모국에서도 가족 이야기는 즐겁지만은 않다. 부모와 형제란 매일 먹는 밥과 같아서 가끔 밥맛 없다고 투정부리는 대상이다. 가족이란 반찬처럼 선택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가끔은 지겹고 끔찍하지만 정신차려보면 고마운 그런 집단이다. 늘 느끼는 고마움보다 지겨움을 더 자주 분출하는 대상이 가족이다. 줌파 라히리는 이런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들을 객관적으로 풀어낸다. 그녀의 문장들은 밑줄을 그을 게 거의 없다. 소설이란 장르에서 작가의 목소리가 들리는 성찰적 문장이 들어있기 마련인데 그녀의 문장에는 주관을 섞는 일이 거의 없다. 대신 그녀는 돋보기를 들고 상황을 들여다보면서 묘사문장을 사용한다. 문장과 문장이 엮어지면서 만들어내는 분위기를 독자가 직접 느끼게 한다.  

이 단편 속 인물들은, 이민1세대가 겪었던 생존경쟁은 치루지 않아도 되는, 1세대가 보기에는 안정된 그룹에 속한다. 그러나 사회적, 경제적 안정이란 게 무엇일까? 더 나은 교육과 더 많은 연봉도 이루지못하는 게 있다. 가족간의 유대, 나아가 개인과 개인간의 유대, 부부든 연인이든 친구든, 물리적 안정 속에 정신은 뿌리내리지 못한 채 부유한다. 줌파 라히리가 들여다 본 게, 근본적 존재에 대한 흔들림이다. 어디에 있든 우리는 가끔 고독하다. 자식도 부모도 배우자도 함께 할 수 없는 영역이 존재한다는 걸 인정한다. 그녀의 인물들의 삶을 가까이서 들여다보면서 함께 한숨을 내쉰다. 그동안 깊숙이 숨겨놓고 짐짓 명랑한 척 살고 있는 내면을 들여다보면서, 맞아..어쩜..이란 맞장구를 치면서 눈을 책에서 떼고 먼산을 바라본다. 근원적이고 해결될 수 없는 고독이 이야기 속 인물들과 조우하면서 위안을 얻는다.

  

덧. 역자 박상미 씨가 <빈방의 빛>을 옮기고 난 후 후기를 책보다 더 인상적으로 기억한다. 글을 쓰는 사람이어서 그런 지 이 소설 역자 후기 역시 인상적이다. 뉴 잉글랜드 풍경이 이 소설집에서 기억에 남는다는 말이. 역자는 풍경으로 줌파 라히리의 소설들을 받아들였다. 삶의 풍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