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이매지 > 또띠아를 깔보자! 또띠아 피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서(九書)

  • 독서 讀書: 책을 읽음.
  • 간서 看書: 책을 봄. (소리 내지 않고 눈으로 책을 읽음.)
  • 장서 藏書: 책을 간직함.
  • 초서 抄書: 책의 내용을 뽑아 옮겨 씀.
  • 교서 校書: 책을 바로잡음.
  • 평서 評書: 책을 비평함.
  • 저서 著書: 책을 씀.
  • 차서 借書: 책을 빌림.
  • 폭서 曝書: (좀 먹는 것을 막기 위해) 책을 햇볕에 쬐고 바람을 쏘임.

- 이덕무.

 

 

 

 

이서구(李書九)

한시()의 4대가로 알려졌던 조선후기 문신 겸 학자. 오언고시()에 능했으며 《장릉지()》, 《춘추()》, 《정조실록》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문집으로 《척재집》, 《강산초집()》가 있다.
본관 전주()
척재 ·강산()
별칭 자 낙서()
활동분야 문학
주요작품 《척재집》 《강산초집()》

본관 전주(). 자 낙서(), 호 척재(惕) ·강산(). 1774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사관() ·지평을 거쳐 승지 ·대사간 ·이조판서 ·대사헌 ·우의정 등을 역임했다. 왕명으로 《장릉지()》 《춘추()》 《정조실록》 등의 편찬에 참여했다. 명문장가로서 특히 시명()이 높아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과 함께 한시()의 4대가로 알려졌으며, 오언고시()에 능했다. 문집으로 《척재집》 《강산초집()》이 전한다.

- 네이버 백과사전

이서구(李書九)의 유서 이야기

조선 순조 때에 李書九라는 우의정이 있었다. 학문이 높고 지식이 많고 앞일도 내다볼 수 있는 분이었다. 마음이 청백해서 벼슬이 우의정까지 올랐지만 모은 재산이라고는 별로 없어 살아가기가 넉넉지 못했다. 이 분이 운명할 때 자손과 조카들이 모여와서 終身하는데 그때 이서구는 "내가 평생에 자손을 위해서 송곳 세울 만한 농토도 남겨놓지 않은 것이 유감이다. 그러나 너희를 위해서 秘書 한 장을 남겨 놨으니 이것을 잘 두었다가 급한 화가 있거든 그때 떼어 보고 잘 처리하라"하고 그리고 그만 운명했다.

   그 후 몇 해가 지나서 자손들은 그 비서 속에 무엇이 쓰여 있는가 궁금해서 한 번 봤으면 하고 모두 상의해 가지고 비서를 떼어 봤다. 그랬드니 비서를 또다른 봉투에다 넣놨는데, 그 위에는 "급한 화가 있기 전에는 떼어 보지 말라고 했는데 급한 화도 없는데 왜 떼어 보느냐. 너희가 부모 대접을 소홀히 하다가는 더 큰 화를 면치 못하리라"고 쓰여 있었다. 이런 글이 있어도 자손들은 이왕 떼 보든 차이니 더 뜯어보자 하고 또 한 겹을 뜯어 봤다. 그랬드니 "한 번도 과한데 어찌 두 번이나 부모의 유교를 어기느냐. 너희가 부모의 말을 위반하면 다음 참화를 면치 못하리라"고 쓰여 있었다. 자손들은 그만 겁이 나서 더 이상 떼어 보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이런 일이 있은 후, 몇 해 지나서 이서구의 증손이 살인죄로 고양골의 옥에 갇히게 되었다. 가족들이 모여서 이 일을 어찌 하나 하고 의논하는데, 이집에서는 이보다 더한 참화가 어디 있겠느냐 하고 그 비서를 떼어 봤다. 그랬더니 거기에 이 봉서를 이 길로 고양 성주에게 드리라고 쓰여 있었다. 그래서 즉시 비서를 가지고 고양 성주한테 갖다올렸다. 이러이러한 일이 있어서 이 글을 가지고 왔습니다 하고. 고양 원은 이서구가 명망 높은 재상이고 미래사도 아는 분임을 알았지만 자기한테 보낼 봉서까지 있을 줄은 몰랐다. 무슨 봉서일고 하고 뜯어 보니 그 봉서에는 "성주 이하 관속들은 하나도 남지 말고 모두 동헌 뜰 아래로 내려서서 보아라"고 쓰여 있었다. 군수는 이걸 보고 무슨 뜻인지 몰랐지만 그 양반이 하라는 말이기 때문에 그 말에 따라서 모두 동헌 뜰 아래로 나갔다. 그랬더니 별안간 동헌 대들보가 부러져 떨어져 내려왔다. 사람들은 다 나와 있어서 사람은 하나도 상하지 않았다. 군수는 놀래며 봉서를 또 한번 뜯어 보니 "免爾棟樑禍 活我三世孫:이란 글이 쓰여 있었다. 그대들은 대들보에서 치일 화를 면해 주었으니 내 증손을 살려 주오 하는 뜻이다. 군수는 이서구의 비서 때문에 여러 인명이 살았기 때문에 이서구의 은공에 보답하기 위해서 이서구의 증손을 살려주었다.

(출처 : '이서구의 유서' - 네이버 지식iN)

백탑

http://blog.naver.com/shintoro/10006617412

탑골공원 안에 아직 남아 있었다니.. 꼭 한 번 보러 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이매지 > [퍼온글] ‘한국문학의 기억’展


누렇게 바랜 종이·낯선 글자체 ‘한국문학의 기억’
입력: 2006년 09월 28일 16:43:08
 

최초의 근대소설이라는 이인직의 ‘혈의 루’, 현대 국어문법 고전인 주시경의 ‘국어문전음학’, 유길준의 ‘대한문전’, 이효석의 ‘노령근해’, 김동인의 ‘감자’·‘젊은그들’, 최초의 문예동인지 ‘창조’, 역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잡지 ‘소년’….

100년~50년전 출간된 이 근현대 문학 자료들을 한 자리에서 관람할 수 있는 귀한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해 설립된 (재)아단문고가 29일부터 10월4일까지 서울 효창동 백범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여는 ‘문자의 상상, 역사의 기억’전시회다.

아단문고 소장품전인 전시회에는 한국 문학을 이야기하며 빼놓을 수 없는 근현대 단행본·잡지 120여종 140여책이 선보인다. 100년전 발행된 자료만 해도 ‘귀의 성’(전2권·1907년)을 비롯해 ‘혈의 루’(1908년) ‘금수회의록’(") ‘소년’(") 등이 있다. 전시품 중 가장 최근 발행서적이 황순원의 소설 ‘인간접목’(1957년)이다.

전시장은 8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1910년대 출간된 신소설 부문과 이효석·이태준·김동인·황순원·염상섭·채만식·이기영 등의 소설·수필 등 작품 41책이 출품된 소설 부문,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1933년), 최현배의 ‘우리말본’(1937년) 등의 국어학 서적이 있다. 또 문예지와 오장환·김소월·조지훈 등의 시집, 정지용·박종화 등의 수필, 나운규·함세덕·유치진 등의 희곡 및 시나리오, ‘걸리버 유람기’(최남선·1909년) ‘서유기’(박건회·1913년) 등 번역문학 부문이다.

전시자료들은 누렇게 빛이 바래고 낯선 체의 글자, 귀퉁이가 성하지 않은 몸으로 우리문학의 뿌리임을 대변한다. 제목을 따라 쓴 누군가의 낙서도 정겹다. 서적이란 물질이 아니라 그 속에 풍성하게 담긴 정신들을 챙겨볼 만한 전시회다. 특히 아단문고 첫 전시회로 사라져가는 문학의 뿌리를 간수한 수집가의 열정도 되새겨 볼 만하다.

도재기기자

출처 :  경향신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스위스의 프리부르에서 무살균우유를 사용해 가열 압착하여 숙성시킨 대형 하드치즈.

 

모양 대형 원반
크기 지름 70~75cm, 높이 9~13cm
무게 30~45kg
지방함량 고형분의 48%
거죽 황갈색이며 습한 비스켓 모습의 껍질
황색 내지 호박색, 촘촘하고 부드러움
숙성 6~12개월
제철 1년 내내

 스위스 서부 프리부르(Fribourg)의 프랑스 접경지 그뤼에르를 중심으로 거의 1000년전부터 만들어온 경질 치즈이다. 1115년에 한 수도원에서 쓴 기록에 최초로 언급되며, 적어도 2세기 이상 지금의 모습으로 만들어져 왔다. 프랑스의 두현(Doubs)과 쥐라(Jura)에서도 생산되며, 스위스와 프랑스는 1951년의 스트레사회의에서 그뤼에르를 브랜드명으로 쓰기로 합의하였다. 만드는 방법은 에멘탈치즈와 유사하나 소금을 더 쓰고, 커드를 더 크게 토막 내고, 더 뜨겁게 데우고, 더 세게 압착하며, 보다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숙성시키는 차이가 있다. 높은 습도에서 뒤집고 소금물로 닦기를 반복함으로써 모르주(morge:단백질분해 박테리아의 증식으로 치즈의 거죽에 붙어있는 차갈색의 끈적끈적한 것)가 나타나고 이로 인해 바깥에서 안쪽으로 숙성이 이루어진다.

에멘탈에 비해 짜고 맛과 향이 강하다. 호두맛과 크림 같은 느낌이 나면서 어렴풋이 신맛이 돈다. 에멘탈과 함께 치즈 퐁듀에 빠트릴 수 없다. 키슈(quiche: 파이의 일종)나 양파 그라탱 등에도 사용된다. 쓴맛과 과일향이 나는 화이트와인이나 가벼운 레드와인과 같이 곁들이면 좋다.

.... 네이버 백과 사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초콜릿칩 쿠키


주의! 오븐은 190도로 예열하세요. 틀은 항상 오븐의 중간 위치에 둡니다.


재료

녹인 버터 1컵, 백설탕 1컵, 흑설탕 1컵, 베이킹 소다 2스푼

소금 1스푼, 바닐라 2스푼, 잘 휘저어 놓은 달걀 2개

밀가루 2 1/2 컵(체로 치지 말 것), 잘 부서어 놓은 콘 프레이크 2컵

초콜릿 칩 1~2컵


만드는 법

1. 버터를 녹이고, 설탕을 넣어 잘 젓는다.

2. 1에 베이킹 소다와 소금, 바닐라, 그리고 잘 휘저어 놓은 달걀을 섞는다.

3. 재료들이 잘 섞였으면, 밀가루를 넣고 다시 한 번 섞는다.

4. 잘게 부순 콘 프레이크와 초콜릿 칩을 더하여 다시 한 번 잘 섞어준다.

5. 다 만들어진 반죽을 호두 크기로 떼어 모양을 만든다.

6. 모양을 낸 반죽을 기름칠을 한 쿠키 틀에 넣어 준다.

7. 틀이 다 채워지면 밀가루나 기름칠을 한 포크를 사용하여 쿠키 반죽 위에 십자 모양을 만들어 준다.

8. 190도로 예열된 오븐에서 10분간 굽닌다.

9. 틀 위에서 그대로 2분간 식히고, 선반으로 옮겨 완전히 식을 때까지 기다린다.



호두 쿠키

오븐을 176도로 예열해 두세요.


재료

녹인 버터 1컵, 흑설탕 3컵, 거품 낸 계란 4개 분량

소금 1티스푼, 베이킹 소다 1티스푼, 바닐라 3티스푼

잘게 다진 호두 2컵, 밀가루 4컵


만드는 법

1. 녹인 버터에 흑설탕을 더합니다. 잘 섞은 다음 식히세요. 거기에 계란 거품 낸 것을 넣어서 다시 한 번 섞어 주세요. 그리고 소금, 베이킹 소다, 바닐라, 그리고 다진 호두를 넣습니다. 다시 한 번 잘 섞어준 다음 밀가루를 넣고 골고루 섞일 때까지 반죽해 주세요.

2. 손가락을 사용해서 반죽을 호두 크기로 떼어 놓습니다. 기름칠을 한 쿠키 틀에 떼어놓은 반죽을 넣으세요.(쿠킹용 붙음방지 스프레이를 뿌려준 다음 기름칠을 하세요) 주걱으로 반죽을 잘 눌러줍니다.

3. 176도에서 10~12분간 구우세요. 1분간은 틀 위에서 식히되, 그 후에는 선반으로 옮겨서 식혀주세요.


흑설탕은 즉석에서 만들 수도 있습니다. 백설탕과 당밀만 있으면 간단하지요. 3컵의 백설탕 당 8/1컵 분량의 당밀을 섞어주기만 하면 끝.



초콜릿을 입힌 체리 쿠키


오븐을 176도로 예열해 둡니다.


재료

녹인 버터 1컵, 백설탕 2컵, 계란 2개, 베이킹 파우더 1/2 티스푼

베이킹 소다 1/2티스푼, 소금 1/2티스푼, 바닐라 2티스푼

코코아 파우더 1컵, 체질하지 않은 밀가루 3컵

마라스키노산 체리 10온스짜리 2병, 초콜릿칩 1팩(2컵 분량 정도)

달게 농축한 우유 1/2컵


만드는 법

1. 녹인 버터와 설탕을 섞고는 식을 때까지 기다린 후, 계란을 넣습니다. 베이킹 파우더와 베이킹 소다, 소금, 바닐라, 코코아를 넣고 잘 젓습니다. 마지막으로 밀가루를 넣고 반죽합니다.(반죽이 조금 퍽퍽할 겁니다)

2. 체리 꼭지를 떼고 주스는 따로 남겨둡니다.

3. 반죽을 호두 크기로 떼어 놓습니다. 기름칠한 쿠키 틀 위에 반죽을 올려 놓고 엄지 손가락으로 가운데를 오목하게 만듭니다.

4.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체리를 한 개씩 올려놓습니다.

5. 끓는 물에 소스 냄비를 띄워 놓고 그 안에 초콜릿 칩과 농축우유를 넣습니다. 칩이 모두 녹을 때까지 낮은 불에 올려놓습니다.

6. 아까 따로 남겨준 주스의 대략 1/8컵 정도를 5에 붓고 소스가 조금 걸쭉해질 때까지 저어줍니다. 만약 소스가 너무 걸쭉해졌다 싶으면 주스를 조금 더 붓습니다.

7. 반죽 위로 아까 올려놓은 체리가 잠길 때까지 소스를 부어줍니다.(스푼을 사용하세요) 흘러내리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8. 176도의 오븐에서 10~12분간 구워줍니다. 쿠키 틀에서 그대로 2분간 식힌 다음 선반으로 따로 빼서 나머지를 식힙니다.


체리를 좋아하지 않는 분들은 잘 말린 파인애플 조각이나 호두, 마카다미아 땅콩 등을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견과류를 사용하실 때는 소스로 차가운 커피나 물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만약 쿠키 중앙에 올려놓을 것이 마땅치 않으면 녹인 초콜릿만 부어도 좋습니다. 그렇게 해도 맛있답니다.



정통식 설탕 쿠키


예열해 두지 마세요. 반죽은 충분히 숙성시킵니다.


재료

녹인 버터 2컵, 설탕가루 2컵, 백설탕 1컵, 계란 2개, 마닐라 1티스푼

레몬조각 1티스푼, 베이킹 소다 1티스푼, 소금 1티스푼

타르타르 크림 1티스푼

체질하지 않은 밀가루 4와 1/4컵, 작은 볼에 따로 백설탕 1/2컵


만드는 법

1. 녹인 버터에 설탕을 넣고 섞습니다.

2. 조금 식힌 다음 계란을 한 개씩 깨트려 넣습니다.

3. 바닐라와 레몬 조각, 베이킹 소다, 타르타르 크림, 소금을 넣고 잘 섞습니다.

4. 마지막으로 밀가루를 넣습니다.

5. 반죽을 한 시간 정도 숙성시킵니다(밤새 숙성시켜도 좋습니다)

6. 구울 준비가 되었으면, 오븐을 162도로 예열합니다.

7. 호두 크기로 반죽을 떼어놓습니다.

8. 백설탕 가루를 넣은 볼에 반죽을 굴립니다(색깔나는 설탕을 섞어도 좋습니다)

9. 기름칠을 한 쿠키 틀에 반죽을 넣고 눌러줍니다.

10. 162도에서 10~15분 정도 굽습니다(쿠키의 윗부분이 황금색을 띠어야 합니다)

11. 쿠키 틀 위에서 2분 정도 식힌 후, 나머지는 선반 위에 올린 채로 식혀 주세요.



레몬 바 쿠키


오븐은 176도로 예열하고 틀은 항상 오븐의 중간 위치에 둡니다.


재료

밀가루 2컵(체에 치지 않아도 된다), 레몬 껍질 1티스푼, 소금 1/2 티스푼

식힌 버터 1컵(1/2 파운드 정도), 설탕 가루 1/2컵, 백설탕 2컵

잘 휘저어 놓은 계란 4개, 레몬주스 1/2컵, 베이킹 파우더 1티스푼

밀가루 1/4컵(체에 치지 않아도 된다)


만드는 법

1. 버터와 밀가루, 설탕가루를 한 데에 넣고 마치 거친 옥수수가루처럼 보일 때까지 잘 섞습니다(파이 껍질을 만드는 첫 번째 단계입니다)

2. 1을 기름칠을 한 9X13 크기의 팬에 골고루 편 후, 손으로 잘 두드려 줍니다.

3. 176도로 예열해둔 오븐에 가장자리가 노릇노릇해질 때까지 15분에서 20분 정도 굽습니다.

4. 다 구워졌으면 오븐에서 꺼냅니다(오븐은 아직 끄지 마세요)

5. 잘 휘저어 놓은 계란과 백설탕을 섞고, 레몬 주스와 레몬 껍질을 넣습니다.

6. 5에 소금과 베이킹 파우더를 넣습니다. 그리고 밀가루를 넣은 다음 잘 섞습니다(주걱으로 떴을 때 흐를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7. 6을 아까 구워놓은 팬 위에 부은 다음 다시 오븐에 넣습니다.

8. 역시 176도의 온도의 오븐에서 30분에서 35분 굽습니다.

9. 다 구워졌으면 다시 꺼내서 설탕가루를 골고루 뿌려줍니다.

10. 어느 정도 식으면 브라우니 크기 정도로 잘라 줍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oni 2006-09-24 2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으며 글 중간에 맛깔나는 묘사도 그렇지만 특히 레시피 때문에 침이 꼴깍꼴깍 넘어가더라고요. 하지만 만들 재주가 없어서 그림의 떡...

알맹이 2006-09-24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그러게요.. 저도 옮겨 놓긴 했지만 사실 만들 자신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