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주의 역사강의 - 근대와 국가를 다시 묻는다 한티재 교양문고 1
백승종 지음 / 한티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가 과거의 것만 연구하는 데 그친다면 그 역사는 반쪽짜리 의미밖에 구하기 힘들다. 과거에 매몰되어 그 속에서 허우적 거린다면 내가 밟고 서 있는 이땅에서의 존재 의미가 사라진다. 비록 과거를 연구하만 역사 연구는 현재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니 어떤 연구자는 ‘모든 역사는 현대사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과거를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할 때 역사학의 의미가 생겨나지 않을까?

그렇다고 모든 역사 연구에서 현재적 의미를 찾기란 쉽지 않다. 나같은 일반 독자에겐 적잖이 부담스런 일이다. 그러니 그런 준비가 된 책을 골라 읽는 일이 독자들에게는 좋을 듯하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이 책을 읽었다.

우선 한국 사학계에서 생소하기 짝이 없는 ‘생태주의‘ 역사학이란 용어가 등장했다. 여전히 한국 사학계는 대부분의 연구 주제는 대체로 한정되어 있다. 포스트모던의 영향으로 일부 다르게 보기를 시도하는 소장학자들도 있지만 주류는 여전히 정치사다. 여기에 저자 백승종은 반기를 든다. 물론 정치의 영역이 여전히 중요하지만 그는 현재의 관점에서 한국과 세계의 위기는 과잉 자본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진단하며 시야를 돌리기를 주문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생태주의 역사학이 등장하게 된다. 즉 녹색의 관점에서 역사학을 다시 쓰자는 것이다. 주류에 대한 반발이라기 보다 완전히 다른 흐름의 개척인 셈이다.

이를 통해 저자는 동학농민운동과 박정희 시대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본다. 왜 박정희 시대가 비판받아야 하는지, 동학농민운동은 다시 조명받아야 한는지 그는 조목조목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저자의 생태적 시각은 이명박 정권 최악의 선택인 4대강사업과 일본의 후쿠시마 비극에 까지 이른다. 결국 자본주의의 과잉은 자연 생태계에 씻기 힘든 생채기를 남겼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 인류적 노력이 필요하다. 여기서 자연스레 탈핵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생태적 시각에서 봤을 때 인간의 넘치는 욕망이 불러온 참사는 수용하기 힘든 일이다.

독자인 내게 신선하게 다가온 부분은 책의 7, 8강이다. 저자는 한국사에게 뚜렷한 족적을 남긴 학자이지만 그의 시야는 한국을 넘어 있다. 그가 비록 독일에 유학한 적이 있다고는 하지만 한국 역사가의 입장에서 그리고 생태주의자 입장에서 신자유주의의 폐해와 서구중심적 시각을 비판한다. 이것은 다름 아닌 자본주의 문제의 연장 선상이다. 저자의 시각이 지나치게 좌편향적이라 비판할 수 있겠으나 이는 옳지 못한 지적이다. 저자의 관점은 분명 인간 중심이요 환경 중심이다.

한국사학자가 한국인의 시각으로 세계사를 본다는 점은 매력적이다. 우리는 오랫동안 서구의 관점에서 서구를 바라보는 시각에 익숙해 있었다. 자세히 보면 언론 역시도 서구의 시각을 소개하는 데 그칠 뿐이다. 나아가 한국의 많은 서양사학자들도 이런 일에는 게으르지 않았나 생각된다. 물론 학문 연구에 치중하느라 이런 일에 소홀했을 수도 있겠으나 서구를 잘 아는 전문가로서 역사학에 바탕을 둔 그들의 특화된 시각을 독자들에게 좀 더 적극적으로 소개해야 하지 않나 싶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의미가 있다.

어쩌면 일반 독자들에게 이 책은 생경할 수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에 물든 우리는 생태주의를 머리로만 이해하고 있는 데다 어려운 역사학까지 붙여 놓았으니 말이다. 하지만 내용은 그렇게 고리타분하거나 현학적이지 않다. 오히려 저자의 일관된 입장을 따라가다보면 새로운 세계관이나 역사관을 가지는 데 적잖이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을 읽으면 이를 이해할 것이다.

˝객관적이고 중립저긴 태도를 견지하며 인간의 역사를 순수 학문의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을까? 이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한 일이다. 굴절과 오욕으로 점철된 역사 앞에서 중립적이란 존재할 수 없다. 부족하나마 자신의 관점과 의지를 따라 역사를 서술하는 것, 이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실천이며 행동이다.˝(10쪽)

이 책을 읽으며 내내 머리에 맴돈 것이 있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는 이란성 쌍생아 아닐까 하는 점이다. 서로 다른 듯하지만 닮은. 둘 다 경제중심적이고 물질만능을 추구하며 비환경적 이론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생태적 전환은 당면 과제일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