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통 - 제5회 문학동네 대학소설상 수상작
이희주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팬들을 오빠 쫓아다니는 애들이라고 하는데 그건 잘못된 표현이에요. 정확히 말하면 오빠를 쫓아다니는 애들이 아니라 오빠보다 먼저 가 있는 애들이지요. 오빠들이 출근하는 모습을 보기 위해서, 오빠들이 아침에 눈을 뜨고 미용실에 가서 머리와 화장을 하고 방송국에 오기까지의 모든 시간을 상상하며, 팬들 역시 눈을 뜨고, 단장하고, 아침도 거른 채 일찍 집을 나섭니다. 멤버들이 방송국으로 들어가는 시간은 찰나지만 그 찰나를 놓치면 말 그대로 종일 우울해지니까요. 미리 가서 멤버들을 기다리고 있는 거지요. 그렇다고 그게 억울하거나 하진 않아요. 우리와 마찬가지로 멤버들도 피곤을 이기지 못한 상태로 화장하고, 머리한 뒤 출근할 테니까.
제가 좋아하는 만화 대사 중에 이런 게 있어요. 중간에 말이 엇갈려 남자애와 여자애가 서로 다른 장소에서 기다리는 상황이죠. 뒤늦게 약속 장소가 바뀐 걸 안 남자애가 오래 기다린 여자애에게로 가 미안하다고 말해요. 그때 식은 커피를 앞에 두고 여자아이가 이렇게 대꾸하죠. 기다리는 시간도 데이트의 일부잖아. 데이트 시간은 길면 길수록 좋은걸.
데이트의 일부. 얼마나 멋진 말인지 아시겠어요? 그런 의미라면 우리가 그들을 기다리는 시간도, 또 그들이 멋진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준비하는 시간도 모두 데이트의 일부가 아니겠어요. 그럼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나는 더 오래 데이트를 하는 사람이 되는 거지요. p.142-1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르헤스의 꿈 이야기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남진희 옮김 / 민음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언

그날 밤, 쥐들이 뛰어다니기 시작하는 시간이었다. 황제는 궁을 나서서 꽃이 만개한 어두운 정원을 거니는 꿈을 꾸었다. 뭔가가 발아래에서 무릎을 꿇고 자신을 보호해 달라고 청했다. 황제는 흔쾌히 수락했다. 청을 올린 동물은 자기는 본래 용인데, 점성술사들로부터 다음 날 저녁이 되기 전에 재상인 위징이 자신의 목을 벨 것이라는 예언을 들었다고 말했다. 황제는 그를 보호해 주겠다고 맹세했다.
잠에서 깬 황제는 위징에 대해 물어보았다. 그러자 신하들이 궁에 없다고 대답했다. 황제는 그를 궁에 들어오게 한 다음 용을 죽이지 못하도록 하루 종일 바쁘게 일을 시켰다. 저녁 무렵이 되자 황제는 이번에는 재상에게 장기를 한 판 두자고 했다. 장기가 오래도록 계속되자 재상은 피곤했는지 깜빡 졸기까지 했다.
바로 그 순간 천둥이 온 대지를 울렸다. 잠시 후 대장 두 명이 피에 젖은 거대한 용의 머리를 가지고 뛰어 들어와, 황제의 방치에 내려놓으며 고했다.
“이것이 하늘에서 떨어졌습니다.”
그 순간 잠에서 깬 위징은 당혹스러운 표정으로 용의 머리를 바라보더니 이렇게 고했다.
“정말 희한한 일입니다. 제가 바로 이렇게 용을 죽이는 꿈을 꾸었습니다.”

오승은(1505~1580, 중국 명나라 문인)

p.303-3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경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김선영 옮김 / 엘릭시르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입이 미움을 받는 까닭은 혈기를 주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혈기가 왕성하다 보면 많건 적건 쓸데없는 일이 늘어난다. 늘어난 일은 동료를 위험에 빠뜨릴 때가 있다. 그래서 위험한 부서일수록 신입을 싫어한다.
하지만 그것은 시간이 해결해줄 문제다. 그 어떤 천방지축도 언젠가는 경찰 물에 익숙해져서 어깨 힘이 빠진다. 훈계로 끝내도 될 일과 사건으로 처리해야만 할 일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어쩌다 이런 녀석이 경찰이 되었나 싶은 사람도 삼 년만 지나면 쓸 만해진다. 때문에 고참이 신입을 굴리는 것은 연중행사 같은 일이지, 깊은 의미는 없다.
그래도 이따금 가망 없는 부류가 들어올 때가 있다. 채용 시험에 합격해 경찰학교 훈련도 견뎌냈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결정적으로 경찰에 맞지 않는 게 눈에 보이는 놈들이.
예를 들어 경찰로서 지켜야 할 암묵적인 규칙, 마지막 선을 절대 이해 못 하는 인간이 있다. 구제할 길 없는 놈들과 내내 맞서는 동안 감각이 마비되는 것도 어느 정도는 불가피한 일이다. 윤리는 개한테나 던져주라고 생각하는 동료도 많다. 나 역시 털면 먼지가 나올 인간이다. 그래도 마지막 선이라는 게 있다. 때로는 그것을 잊을 때도 있고, 각오하고 뛰어넘을 때도 있다. 처음부터 그 선을 알지 못한다면 그런 인간은 경찰로 있어서는 안 된다.
자기가 본 것이 이 세상의 전부라고 믿는 인간도 이 일에는 썩 맞지 않다. 악인이란 소매치기 같은 자고, 경찰관이 나타나면 울며 사과하는 존재라고 믿는, 자신의 경험이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타입. 모든 사람들이 가죽을 합 겹 벗으면 속이 시커멓고, 사람이 하는 말은 전부 거짓말이라고 믿는 타입. 둘 다 빨리 그만두는 게 모두에게 바람직하다. p.19-20, 야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르헤스의 상상 동물 이야기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남진희 옮김 / 민음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두(百頭) 동물

100개의 머리를 가진 동물은 물고기의 일종으로 말의 업(業)에 의해, 그리고 윤회에 의해 탄생했다. 중국에서 기록한 부처의 전기 중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어느 날 부처가 그물을 당기고 있는 어부들을 보았다. 어부들이 힘들여서 해변으로 끌어 올려 놓고 보니, 그 거대한 물고기는 원숭이, 개, 말, 여우, 돼지, 호랑이 등 머리를 100개나 가지고 있었다. 부처는 그 물고기에게 물었다.
“너는 카필라가 아니더냐?”
“그렇습니다.” 100개의 머리가 숨을 거두기 직전에 일제히 대답했다.
부처는 제자들에게 카필라를 이렇게 설명했다. 전생에 카필라는 브라만 계급 출신의 승려였다. 그는 신성한 문헌에 나오는 지혜에 대해 그 어떤 사람보다 잘 알고 있었다. 그는 때로 이해를 하지 못하는 동료들을 보면 “원숭이 대가리”, “개대가리”라고 놀려 댔다. 그렇게 다른 사람을 놀려 대던 그가 죽자, 이러한 욕설로 인한 업이 쌓여서, 동료들에게 붙여 주었던 모든 대가리를 다 가진 흉측한 수중 괴물로 태어난 것이다. p.9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사람들은 묻습니다. “왜 페미니스트라는 말을 쓰죠? 그냥 인권옹호자 같은 말로 표현하면 안되나요?” 왜 안 되느냐 하면, 그것은 솔직하지 못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페미니즘은 전체적인 인권의 일부입니다. 그러나 인권이라는 막연한 표현을 쓰는 것은 젠더에 얽힌 구체적이고 특수한 문제를 부정하는 꼴입니다. 지난 수백년 동안 여성들이 배제되어왔다는 사실을 모르는 척하는 꼴입니다. 젠더 문제의 표적이 여성이라는 사실을 부인하는 꼴입니다. 이 문제가 그냥 인간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콕 집어서 여성에 관한 문제라는 사실을 부인하는 꼴입니다. 세상은 지난 수백년 동안 인간을 두 집단으로 나눈 뒤 그중 한 집단을 배제하고 억압해왔습니다. 그 문제에 관한 해법을 이야기하려면, 당연히 그 사실부터 인정해야 합니다. p.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