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심, 파리의 조선 궁녀 3 소설 조선왕조실록 15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심은 의녀에 무녀여서 조선왕조에서는 천인이었다.어쩌다 사랑에 눈을 떠 구미의 사상을 접하고 신여성이 되지만 귀국후 조선은 신분의  굴레에서  그녀를  놓아주지 않았다.
  궁녀는 왕의 재산이었고  인간의 자유가 없는 노예였다.그런 리심이 프랑스남자를 만나 근대화된 자유평등사상을받은 것 자체가 왕조에서는 용납되지않는 불온한 일이었다.
결국 자유와 사랑을 갈구하던 리심에게 조선은 감옥이었다.사람을 평등하게 대하지않고 신분의 굴레를 씌우는 전근대적왕조국가..양반사대부들에게도 그녀의 존재는 용납되지않는 것이었다.그녀의 불행한 삶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진다.
  작품중간마다 서재필이나 김옥균같은 개화사상가들의 얘기가 나오는데 고종을 비롯한 조선의 권력층들이 그들을 얼마나 핍박했나보면 조선의 식민지화는 기정사실이었던것 같다.그와중에  봉건적사고에 얽매여 권력을 놓지않겠다가 발버둥치다 망국이 된걸보면 참 한심하달지 딱하달지...
 결국  조선이 식민지가 된건 위정자인 고종과 권력자들 책임이다.근대화된 정치를 거부하고 수구체계만 고집했으니 자업자득이다.
리심은 조선에서 나고 자랐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파리로 건너가 신문물을 수학하고 체험한 신여성이었다. 사랑을 하고 영혼이 열린 그녀는 프랑스인보다 더 자유와 평등의 영혼을 사랑하게 되었고   신분과 국가에 구속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열어 나간다.그런 리심은 주종의 관계보다 어머니같은 존재로 중전을 섬겼을 것이다. 그런데 그녀의 죽음에 돌아온 리심에게는 노예의 굴레가 기다리고 있었다.강제로 국상의 춤을 추라는 어명...그것도 망국의 국왕인 주제에...사서에도 고종은 한심한 국왕이었다. 근대화를 거부하고 황국협회따위나 만들어 독립협회는 핍박하며 자신의  권력만 유지하려했으니..인권이란 사상이 존재하지않던 시대에 리심도 여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었다.

이소설의 비극적 결말은 예정되어 있었다.
그와중에 여성으로서 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추구한 리심이 대단하게 느껴지는 것은 같은 여자이기 때문일까?
 한편으로는 사랑앞에 용감하게 행동하다 지금도 불행해지는 젊은이들이 많아 씁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대로 따라 하는 플레이팅 레시피
오덴세 플레이팅 랩 / 레시피팩토리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아무리 패스트푸드가 대세라고 하지만 여자라면 부엌에 관심안가질 수가 없죠.자연재료를 쓰는

요리도 몇가지만 제대로 알면 평생 써먹을 수가 있죠. 사시사철 제철재료료 일식이나 한식을 차리면 좋을 것같네요.성인병예방을 위해서라도 인스턴트푸드를 자제해야죠.

 플레이팅이면 요리와 함꼐 식탁차리리는 센스도 말하네요.영화나 드라마속의 근사한 서양식탁상차림도 배워볼만하죠.같은 요리도 더 좋은 그릇에 담으면 입맛이 나는듯..한번쯤 귀족적인 분위기를 내고 싶다면 손님집들이나 아이들생일초대에  써먹을 수 있겠네요.

 서양상차림이 쉬운 듯해도 은근 까다롭네요. 매일 먹는 성찬이 아니니만큼..하지만 설명이 잘 되있으니 그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되니...솜씨있는 엄마, 교양있는 여자 ,센스있는 주부가 되고 싶으면 때로 이런 책에 관심가져보는 것도 좋을 듯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자의 인생 강의 - 각자도생의 시대에서 찾은 환대와 공존의 길
신정근 지음 / 휴머니스트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쟁과 서열에 시달리고 현 사회에서 어느새 나이를 먹고 노후를 걱정해야하는 시점에 오니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게 됩니다.인위적 가식적 위선적 노력없이도 진실하게 사는 사람의 삶을 원하지만 유유자적 살수있을지 복잡한 삶중에 물흐르듯 살라는 노장의 말이 가슴에 와 닿는 시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센스 - 뇌신경과학자의 감각 탐험기 푸른지식 그래픽로직 9
마테오 파리넬라 지음, 황승구 옮김, 정수영 감수 / 푸른지식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인간의 능력이 무궁무진하다는데 신이 인간을 창조할때에 이토록 섬세한 안배를 한 줄 몰랐네요.알수록 신기한 우리몸의 과학입니다.눈과 귀의 감각이 천마디말보다 훨씬 많은 걸 전달한다더니 뇌신경학을 알고 자신의 뇌를 개발하려 노력한다면 의외의 괄목할만한 결과를 얻을 것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 전쟁의 기억과 분단의 미래
브루스 커밍스 지음, 조행복 옮김 / 현실문화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드로 한국중국미국까지의 관계가 시끄러운 와중에 6.25전쟁의 원인이 강대국간의 대리전이었단 걸 설명하네요.분명한 건 공산주의하고는 공존못한단 겁니다.인간으로 할 수없는 잔혹한 양민학살도 유물론적사상에 기초하니 인간의 인권과 존엄성은 아예 없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