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공에서 앨라배마까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사이공에서 앨라배마까지 - 2012 뉴베리상 수상작 한림 고학년문고 25
탕하 라이 지음, 김난령 옮김, 흩날린 그림 / 한림출판사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부모님께 전해 들은 6.25전쟁의 참극은 상상하기 힘든 무서운 이야기들인 경우가 많았다. 전쟁을 겪지 않고 자랐으나 어려서부터 반공 교육을 받고, 대부분의 물품들, 아이들 과자 봉지에도 멸공 통일은 늘 새겨져있는 문구였다. 갈수록 전쟁의 상처는 잊혀지는 듯하고, 전쟁을 전혀 모르고 자라나는 오늘날의 아이들은 우리때와는 전혀 다른 교육을 받으며 남과 북이 분단되어 있으나, 전쟁에 대한 큰 공포는 갖지 못한 채 자라나는 듯 하다.

 

이 책은 우리가 월남전이라고 부르는 남베트남, 북 베트남, 실제로는 미국과 북 베트남의 전쟁의 이야기를 다루며, 한 가족의 그로 인한 전후의 베트남 탈출과 미국에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려낸 책이다.

걱정한 것처럼 잔인하거나 끔찍한 전쟁의 상흔이 담겨있지는 않다. 다만, 내 나라가 없어진다는 것. 내 나라를 자랑스레 여길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전혀 다른 언어를 익히고, 그 나라 아이들과 어울리는 과정이 힘겨울 어린 아이의 이야기가 진솔하게 담겨있었다.

이 이야기는 상상만으로는 사실 쓰이기 힘들었을 이야기들이 상세히 담겨있었다. 그도 그럴수밖에 이 책의 저자 또한 주인공 하와 같은 상황에 처했고, 전쟁 통에 아버지를 잃었고, 사이공에서 앨라배마까지 난민으로 떠밀려가야만 했다. 자신의 자전적인 부분이 상당 부분 녹아있는 소설이었다.

 

 

 

 

 

 

하는 베트남에서는 행복한 소녀였다.

아빠는 실종이 되었지만, 세 오빠와 엄마와 함께 자기만의 파파야 나무를 심고 가꾸며 행복한 한때를 보내는 소녀였다.

오빠들이 끔찍히 위해주거나 하지는 않고 주로 놀려대는 쪽이라 그런지 하는 귀엽기만 한게 아니라 다소 퉁명스럽고 고집스러운 면도 있었다. 하지만 외동딸이자 막내라는 특혜로 엄마의 지극한 사랑을 받는 아이였다.

 

 

 

 

 

 

남베트남이 북베트남, 공산당하에 놓이게 되자, 남베트남 사람들은 배에 나눠 타고 수많은 나라로 난민으로 떠나게 되었다.

하의 가족이 선택한 곳은 전혀 연고도 없는 미국. 그리고 그 곳에서도 후원인 가족을 만나야 떠날수 있었는데, 다행히 하의 큰 오빠가 공학을 전공해 기술을 익힐 수 있어서 오빠 덕택에 가족은 앨라배마의 후원인 가족 근처로 이사갈 수 있었다.

그런데, 1975년의 미국 앨라배마에는 지금처럼 다민족의 사람들이 어울려 살지 않았나보다. 사실 미국이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섞여 산다고는 하나 인종 차별이 여전히 존재하는 곳이라 듣고 있다. 그 당시에는 아시아인, 티브이에서나 보던 베트남 아이를 처음 본 백인들이 호감을 갖고 대하기 보다는 배타적으로, 색안경의 시선으로 괴롭히거나 외면하는 경우가 더 많았던 것 같다.

하의 오빠들도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하지만 어린 소녀 하는 더욱 외로움을 느낀다. 기독교를 믿는 그들과 달리 하는 불교를 믿었고, 자신의 나라에 대해서도 아름다운 면을 소개하고 싶었지만 선생님은 전후로 황폐해져버린 초라한 곳의 사진을 보여주며 하의 고향이라고 소개를 한다. 하가 얼마나 비참했을까. 그럼에도 하를 위하는 사람들이 분명 존재한다. 백인 친구들도 생기고, 오빠들과 엄마의 도움, 그리고 후견인 아저씨와 영어를 가르쳐주는 워싱턴 아주머니의 보살핌 속에 하는 일어설 힘을 되찾는다.

 

뗏에서 뗏까지.

우리나라의 구정에 해당하는 베트남의 명절 뗏.

1975년부터 1976년까지의 일년 남짓한 그 기록을 하의 일기장을 운문 형식으로 , (처음에는 그래서 동시인가 하고 깜짝 놀랐었다.) 읽을 수 있었던 책. 전쟁의 상처를 경험한 안네의 일기와는 또다른 느낌의 전쟁을 경험한, 아니 전쟁의 시간과 후유증만을 경험한 한 소녀의 일기. 평화로운 앨라배마의 삶이 전쟁통의 베트남의 삶보다 못하게 느껴지던 하의 힘들었던 일상.

차별받고, 멸시받던 그 상황을 하가 딛고 일어서게 되는 그 과정은 아이들에게도 강한 울림을 주는 대목이 아니었을까 싶다.

하의 일기를 통해,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일상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를 다시금 느끼게 해주는 책이기도 하였다.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