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하라, 오늘에 되새기는 임진왜란 통한의 기록 한국고전 기록문학 시리즈 1
류성룡 지음, 오세진 외 역해 / 홍익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임진왜란은 한동안 평화를 누리던 조선을 완전히 뒤흔든 일대 사건으로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시대를 전기와 후기로 나눌 정도의 큰 반향을 일으킨 사건이었다.

조선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풍전등화의 위기를 겪고 구사일생으로 겨우 나라를 지켜낸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은 끔찍한 전쟁이었지만 이 책의 저자인 류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국정을 이끈 주역으로 참혹했던 전쟁을 반성하고

다시는 치욕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후세들이 경계하여 후환을 대비하도록 이 책을 썼다.

마침 드라마에서도 다루고 있는 내용인지라 과연 징비록에 무슨 내용이 담겨 있을지 궁금해서

이 책을 손에 들게 되었다.


징비록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의 전쟁 징후에서부터 시작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류성룡이 직접 보고 들은 걸 중심으로 임진왜란의 전모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을 보면 정말 조선이란 나라의 왕과 대신들을 비롯한 권력층이

얼마나 한심하기 짝이 없을 정도로 무능하고 뻔뻔했는지를 절감하게 된다.

일본은 조선의 정세를 꿰뚫고 있었던 것에 비해 통신사를 파견해 직접 일본의 상황을 보고도

서인인 정사 황윤길이 일본 침략을 예상한 반면 동인인 부사 김성길은 침략이 없을 거라며

의견대립이 있자 선조와 조정은 전쟁이 일어나지 않을 거라 생각하며 안이하게 대응하고 만다.

그야말로 전쟁을 막을 수 있는, 적어도 무참히 당하지 않을 수 있는 골든 타임을 놓쳤다고 할 수 있는데

이때부터 본격화된 당쟁이 결국 조선을 전쟁의 포화 속으로 몰아넣고 만다.

현재의 정치를 봐도 나라를 말아먹은 조선의 정쟁과 그리 다르지 않는데 여전히 과거의 역사에서

배우지 못하고 잘못을 답습하고 있는 모습은 어찌 보면 구제불능이라 할 수 있었다.

암튼 아무 대책도 없고 준비도 없던 조선은 일본이 부산에 상륙한 이후 속수무책으로 패전을 거듭한다.

믿었던 신립마저 전혀 지형을 이용하지 못한 무능한 전술로 참패를 당하자

선조는 한양을 버리고 몰래 도망간다.

백성을 버리고 자기들만 살겠다고 야반도주하는 왕실과 조정의 모습을 보면서

당시 백성들이 얼마나 참담한 심정이었을까 싶었다.

안 그래도 각종 수탈로 고통스런 삶을 살던 백성들에게 그나마 남아 있던 나라와 임금에 대한

한줌의 희망도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으니 이런 상황에서 조선이 안 망하는 게 오히려 이상할 정도였다.

암튼 절체절명의 순간을 맞이했던 조선은 수군에서의 이순신의 맹활약과

전국 각지의 의병들의 분전, 명나라의 원군 등으로 인해 기사회생하게 된다.

여기서 류성룡의 인재 발탁이 빛을 발하게 되는데

이순신과 권율을 천거한 게 조선의 운명에 결정적으로 작용을 했다.

나라가 이 지경이 되었으면 정신을 차려야 하는데

선조와 조정 대신들은 여전히 명나라만 쳐다 보며 한심한 작태를 일삼는다.

제해권을 장악하며 왜군의 진격을 저지하는데 일등공신이었던 이순신을 백의종군시키고

균을 중용해 기껏 만들어놓은 수군 전력을 한 입에 다 털어넣질 않나

명나라에 질질 끌려다니면서 왜군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는 순간을

빈번히 놓치는 모습은 그야말로 분통이 터지는 장면들이었다.

외세에 휘둘리고 권력과 부를 가진 자들은 자기 이익만 챙기기 바쁜 파렴치한 인간들뿐인 상황인

조선의 모습은 오늘날의 우리의 모습과 그리 차이가 나지 않는데,

처절한 고통과 수모를 뼈저리게 겪고도 전쟁이 끝나자 마자 언제 그랬느냔 듯이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조선 왕실과 조정은 절망 그 자체였다.

그럼에도 이 책은 임진왜란의 참상을 고스란히 담아내어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후세가 참고하도록 하려 했으나 역사을 잊은 조선은 똑같은 일을 반복하고

결국 일본에 나라를 뺏기고 말았으니 할 말이 없다.

몇 사람이 아무리 반성하고 재발방지를 위해 노력한다 해도

대다수의 사람이 그렇지 않으면 무용지물일 뿐이다.

우리가 수많은 대형참사를 당하고도 계속 되풀이하는 것도 근본적인 개혁과 뼈를 깎는 노력이

지속되지 않기 때문인데 이 책은 과거나 지금이나 그리 당하고도 정신 차리지 못하며

똑같은 잘못을 되풀이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금이나마 반성의 시간과 경각심을 일깨워주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류성룡은 분명 썩어빠진 조선 조정의 소금과 같은 존재였고

징비록은 그가 후세를 위해 남긴 보물과도 같은 책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책은 징비록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주변 사정들까지 풀어내어 징비록에 담긴 소중한 교훈을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전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기에 충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