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만과 편견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143
제인 오스틴 지음, 원유경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10월
평점 :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 책은 이미 키이라 나이틀리 주연의 영화로도 봤기 때문에
너무 익숙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원작이 대표적인 고전작품으로 손꼽히기 때문에 꼭 한 번 읽어봐야겠다고 생각만 하다가
좀처럼 기회가 없었는데 이번에야 원작의 진수를 맛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작품은 한 마디로 당시의 사랑과 결혼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여실히 보여준다.
지금처럼 여자들의 경제활동이 없었던 시절이라
결혼은 곧 자신을 부양해줄 남자를 찾는 것이나 다름 없었다.
그래서 남자의 지위나 경제력이 결혼의 절대적인 조건이었다.
요즘도 그리 달라지지 않았지만 제인 오스틴은 이 작품의 첫 문장에서 이런 세태를
'재산이 많은 미혼 남성이라면 반드시 아내를 필요로 한다는 말은
널리 인정되는 진리이다'라며 반어적으로 표현한다.
사실은 여자들에게 반드시 재산이 많은 남자가 필요하다는 여자들이 인정하고 싶어하지 않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담은 문장이라 할 수 있었는데, 네더필드에 부자인 빙리와 귀족인 다시가
나타나자 동네에 딸을 가진 집들이 전부 벌떼처럼 달려드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그 중에서 다섯 명의 딸을 둔 속물인 베넷 부인이 이들에게 눈독을 들이고
사윗감으로 생각하는 건 사필귀정이었다.
이들을 만날 수 있는 메리턴의 무도회에 동네 처녀들과 그녀들의 엄마들이 총출동하는 모습은
결혼을 못해 안달인 사람들의 짝짓기 모임의 전형이라 할 수 있었다.
여기에 베넷 부인의 딸들이 당연히 참석하는데 미모의 착한 장녀 제인과 다정한 빙리가
서로에게 호감을 가지며 베넷 부인의 소망이 현실화되는 듯 했다.
한편 무뚝뚝한 다시는 동네 처녀들에게 무관심한 태도로 일관해 오만하다는 인상을 주며
호감을 사지 못하는데 지적이고 이성적인 베넷 부인의 둘째 딸 엘리자베스는
다시에게 부당한 일을 당했다는 위컴의 말을 듣고는 다시를 혐오하기까지 한다.
그러던 와중에 빙리와 제인이 잘 될 거라 믿었지만 빙리는 마을을 떠나 다시 돌아오지 않고
빙리가 제인을 떠난 게 다시 때문이란 사실을 알게 된 엘리자베스는 다시에게 분노를 터뜨린다.
그런데 다시가 자신에게 청혼을 하자 엘리자베스는 다시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얘기하며 거절하고, 다시는 엘리자베스가 자신을 단단히 오해하고 있음을 알게 된 다시는
그녀에게 자신에 대한 오해를 풀 편지를 전해주는데...
이 책의 제목은 평범한 사람들에 대해 오만한 태도를 보였던 다시와
그런 다시에 대해 편견을 가졌던 엘리자베스를 상징하는 것 같다.
원래 제인 오스틴은 '첫인상'이란 제목을 지었다고 하는데 다시에 대한 엘리자베스의 첫인상이 오해를 불러일으켜 우여곡절을 겪게 되지만 다시의 엘리자베스에 대한 변함없는 애정은
그녀에게 자신의 진가를 알게 해주고 결국 오해를 풀고 해피엔딩을 맞이한다.
요즘에는 이런 얘기를 수없이 만나볼 수 있지만
밀당을 벌이는 남녀 간의 얘기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었다.
남성 위주의 사회에서 여자들의 사랑과 결혼이 타산적으로 흘러가기 쉬웠는데
그나마 엘리자베스만이 조금은 주체적인 여성상을 보여줬다.
어찌 보면 전형적인 신데렐라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지만
여성작가 특유의 섬세한 감정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원래 자기가 당사자면 이런 남녀관계에 힘겨울 수도 있지만 제3자로서 지켜보는 입장이다 보니까
인물들의 감정의 변화와 이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모습 등이 흥미로웠다.
특히 오만하다고 평가받은 다시의 모습은 왠지 누군가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는데
나같으면 그런 오해를 받고는 결코 좋아할 수 없을 것 같은 엘리자베스의 불쾌한 말과 행동을
다시는 관대함과 포용감으로 이겨내고 그녀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지켜낸다.
그런 모욕적인 대우를 받고도 그녀를 계속 사랑한 다시의 모습은
진정한 사랑의 힘을 보여준 게 아닌가 싶다.
당시나 지금이나 사랑과 결혼은 사람들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인 것 같다.
시대에 따라 조금씩 그 모습이 변모되기는 하지만
진화론적인 남녀의 이성 선택 모습은 크게 변한 것 같지 않다.
이 책은 당시의 시대상황을 배경으로 사랑과 결혼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생각을 풍자적으로 그려낸
로맨스소설의 대표적인 고전이라 할 수 있었는데
여성 특유의 감수성으로 아기자기한 사랑의 묘미를 잘 보여준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