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빌 브라이슨 지음, 이덕환 옮김 / 까치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만 봤을 때는 인문학 책인 줄 알았는데 과학에 관한 책이라 조금 당황했다.
아무래도 과학과는 그리 친하지 않은 편이라 과연 이 책을 내가 소화해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는데 역시나 그렇게 만만한 책은 아니었다.
전체적으론 전에 읽었던 '빅 히스토리'처럼 우주의 탄생부터 시작해서
현재의 인류가 존재하기까지 있었던 과학의 역사를 차근차근 짚어가는 형식이었는데
제목 그대로 과학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의 역사가 담겨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저자가 과학자가 아니다 보니 문외한의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점이다.
보통 과학자가 알기 쉽게 쓴 교양과학서적들이 많지만
그들이 나름 알기 쉽게 썼음에도 과학과 친하지 않은 대중들이 이해하기엔 여전히 벅찬 경우가 많은데,
저자 자신이 과학에 문외한이다 보니 독자와 눈높이가 맞아서 그런지
대중들이 궁금해할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물론 그럼에도 이 책이 결코 녹록하지 않은 건
우리가 평소 얼마나 과학과 소원하게 지냈는지에 대한 반증이 아닐까 싶다.
우주의 출발에서부터 시작하는데 빅뱅이론 등 우주가 탄생한 원리도 흥미롭지만
신기한 건 우주의 나이나 크기를 도대체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전혀 와닿지 않는 엄청난 숫자들을 주장하는 나름의 근거들이 있을 것인데
이에 대한 논쟁이 흥미롭게 전개된다.
그나마 지구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측정이 가능했지만 그 과정에서도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고
과학자들의 집념은 결국에는 조금씩 진실을 드러나게 해주었다.
과학계에서도 치열한 경쟁이 과학의 발전을 견인한 밑거름이 되었다.
최초가 되기 위한 과학자들의 피나는 노력과 경쟁상대에 대한 집요한 공격 등
과학계에서도 다른 분야 못지 않게 진흙탕 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재밌는 건 어떤 발견을 하고도 그 의미를 모르는 경우가 허다했고,
올바른 주장을 해도 이를 입증할 정도로 과학기술이 발전하지 못해서
오랜 세월동안 먼지 속에 묻힌 채 지낸 경우가 파다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조작이나 비방이 난무하고 우연이 위대한 발견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비일비재했으니
과학의 역사 자체가 한편의 드라마를 방불케했다.
이 책을 쭉 읽다 보면 과학계에서 벌어졌던 일들은 그동안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던
과학의 난해함이나 정교함 등과는 거리가 멀고 생동감 넘치는 이야깃거리들이 무궁무진했다.
물론 바로 이해하기엔 어려운 부분들도 없지 않아 자기들끼리만 재밌는 내용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흥미를 북돋우기엔 충분한 것 같았다.
내가 학교 다닐 때만 해도 과학적인 원리와 사실들만 쭉 나열하고 이를 암기하도록 해서
왜 이런 걸 알아야 하는지, 이런 사실들을 어떻게 알아냈는지 궁금할 때가 종종 있고
과학에 대해 흥미를 가지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는데 이 책을 보니 과학도 어떻게 가르치느냐에 따라
과학에 흥미를 가지고 과학을 좋아하게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책은 어렵고 생소하게만 느끼는 과학과 우리가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해주는
좋은 안내서 역할을 하기에 충분한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