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오디세이 - 인간의 몸, 과학을 만나다
강신익. 신동원. 여인석. 황상익 지음 / 역사비평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웰빙 열풍이 불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우리 삶에서 건강은 어떤 것보다 중요한 가치라 할 수 있다.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건강은 우리 삶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건강한 삶을 위해선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습관이 중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과거에 비해 엄청난 발전을 거듭한 의학의 도움도 중요한 게 사실이다.

 

이 책은 의학의 역사를 간략하게나마 잘 정리하고 있는 책이다.

사실 의학은 인류의 역사와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손을 다쳤을 때 반사적으로 상처 부위를 혀로 핣거나 하는 행위는  

우리에게 선천적으로 자기치료시스템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선사시대 이후 질병은 초자연적인 현상으로 신의 징벌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서  

치료도 성직자들의 몫이었다.

전업의사의 등장은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유명한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라 할 수 있다.  

지금은 의사들이 최고의 전문직으로 대접받고 있지만 예전에는 기술자 정도의 취급을 받았다.

동양에서는 서양에 비하면 명의가 좀 더 대접을 받곤 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동의보감'의 허준이나 사상의학을 확립한 이제마의 경우  

존경받는 의사들로 지금까지 그 이름을 떨치고 있다.

 

질병에 관해선 한의학에서는 음양의 조화 여부로, 서양 의학에서는 체액의 균형 여부로 판단했다.  

서양에서는 18세기에 해부병리학이 발달하면서 질병이 체액의 불균형이 아닌  

신체의 특정 부위의 해부병리학적인 변화라고 여기게 되었다.  

해부학의 발달은 기존의 의학을 현대와 같은 과학적인 의학으로 바꿔 놓았다.  

 

의학 역사에서 굵직한 업적을 남긴 인물들과 사건들을 위주로 동서양을 넘나들면서 의학의 발자취를  

살펴 본 이 책은 간략하게나마 의학 역사의 큰 줄기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오늘날과 같이 발달된 의학기술이 하루 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니고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헌신으로 이루어진 것을 깨닫게 되었다.

하지만 마지막에서 저자들이 밝힌 것처럼 한국의 의학은  

히포크라테스의 선서만 있고 정신은 사라져 버린 것 같다.

의약분업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사상초유의 진료거부 사태를 일으켰던 게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의사가 병원 문을 닫고 환자 치료를 거부한다는 것은 이미 의사이기를 포기했다는 것이다.

우리가 의사선생님이라면서 부르며 의사들을 존중해주는 것은

그들의 임무가 우리 삶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생명과 건강을 다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에는 그런 숭고한 소명의식보다는 오직 돈 잘 버는 직업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는 것 같다.

게다가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사건까지 겹쳐져 의료 분야 종사자에 대한  

윤리의식을 심히 의심할 수밖에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러한 점들에 대해 저자들은 의학에 인문학을 수혈시켜야 한다는 해법을 제시한다.  

의학이 단순히 사람을 치료하는 기술이라면  

중세에 외과의사들이 받은 대접 이상 받을 이유가 없을 것이다.

의술을 베푸는 숭고한 사명을 늘 인식하고 환자를 치료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 여기는 의식전환이  

의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부터 철저히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의학 역사를 개관하면서 오늘날의 의학계의 문제까지  

의사들 스스로 고백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