쳇 베이커 -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현대 예술의 거장
제임스 개빈 지음, 김현준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쳇 베이커의 일생을 다루는, 1000페이지 가까이 되는 평전에서 마약에 대한 내용이 90% 넘게 나온다. 마약 구할 돈을 마련하려고 지인에게 애원하고 거짓말하고 도둑질까지 했다는 이야기, 연주비와 앨범 판매대금을 마약 산다고 탕진했다는 이야기, 마약을 투약하느라 가정을 팽개친 이야기, 같이 투약한 동료를, 처벌을 피하려고 배신한 이야기, 마약을 투약하지 못해서 광기를 내보였다는 이야기, 하지만 다시 마약을 투약하자 활기를 얻어 연주를 했다는 이야기, 마약 투약을 못하게 말리는 아내를 때렸다는 이야기, 아내를 시켜 마약을 구해오게 했다는 이야기, 마약혐의로 감옥에 갔다가 나오고 정신병원에 갔다가 나오기를 반복했다는 이야기, 재기하게 도와준 사람들이 있었지만 믿음을 저버리고 마약을 또 투약했다는 이야기, 그는 마약을 끊지 않았다는 이야기, 결국 마약에 취한 채 떨어져 죽었다는 이야기. 같은 것이다.


이 인간은 왜 마약으로 점철된 삶을 살았나. 당시 재즈 연주자들 사이에서 마약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있었다거나 다른 연주자들도 정도만 다를 뿐이지 쳇 베이커와 비슷했다고만 생각한다면 인간 쳇 베이커를 알 수 없을 것이다. 


쳇 베이커는 인터뷰에서 자신이 마약을 하는 이유를 ‘마약의 힘을 빌려 천재가 되는 것 p502’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왜 천재가 되려고 했는가 생각해 봐야 할 텐데 그에게는 인정욕구가 있었던 것 같다. 책에는 짧게 서술될 뿐이지만 쳇 베이커는 마일즈 데이비스를 따라 하는데 마일즈 데이비스한테 인정받지 못했다는 대목과 (유럽의 팬들은 쳇 베이커를 좋아해도 미국의 동료연주자들과 평론가들은 그 연주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아버지조차 그를 인정하지 않았다는 대목을 보자 쳇 베이커가 마약에 빠졌던 것은 인정받고 싶어서였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자신의 욕망을 인정받고 싶고 자신의 처지도 인정받고 싶지만 그렇게 되지 못하니 좌절감을 느꼈을 것이고 그 좌절과 우울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마약에 빠졌을지 모르는 것이다.


사람은 인정을 받으며 존재감을 확장하게 마련이다. 그 말을 달리하면 인정받음으로써 삶의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 되는데 인정을 늘 갈구해야 했으니 실상 그의 삶은 고립된 것이었으리라. 특히 그가 인기 많은 스타였기에 그 고립감은 무척 컸을 것이고 그는 외로웠을 것이다.


어느 인터뷰에서 쳇 베이커는 이렇게 말을 했다.


“나는 한결 어두운 심성에서 연주하고 싶었다네. 그러다 보니 조성 체계에서 살짝 비켜 간 음을 사용하게 됐지. 기술적으로 음정이 플랫 flat 된 상태를 뜻하는 게 아니라, 그저 그 밑에 드리운 소리를 내고 싶었다고나 할까.” p149


책을 덮고도 저 문장이 마음에 오랫동안 남았다. 트럼펫으로 아름다운 연주를 하는 것과는 달리 그는 입으로는 늘 거짓말과 욕설을 달고 살았다. 저 말은 그런 그의 입에서 나온 가장 진실된 말 같았다.  쳇 베이커가 남긴 연주를 들었다. 결코 절창이라 할 수 없는, 풋내기 같은 목소리와, 감정을 자극하는 트럼펫 선율이 앨범을 채우고 있었다. 슬픔, 우울, 애처로움, 쓸쓸함, 상실감, 그리움, 불만, 분노, 불안, 비겁함, 이기심, 자기합리화, 기쁨, 즐거움이 뒤엉켜 있었다. 쳇 베이커가 말한, 밑에 드리운 소리와 어두운 심성이 이해가 되었다. 그가 여성 편력이 대단했던 것도 그가 기댈 여성, 그를 품어줄 여성이 필요했기 때문이리라. 그는 외롭다고 말하고 있었다. 쳇 베이커는 절제하지 않고 막 살아버린 게 아니라 잘 살아보려고 싸워 갔던 것 같다. 자신의 방식으로. 사회가 용인하지 않는 방식으로. 자신을 파괴하며. 곁에 있는 모두를 파괴하며. 어둡게. 어둡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Escape
Far Out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마르코스 발레의 <Escape>. 모든 곡이 다 좋지만 8번 곡 ‘Lost in Tokyo Subway’ 가 흥미롭다. 다른 트랙에서 마르코스 발레는 노래를 부르는데 이 곡에서는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아마 마르코스 발레는 키보드를 쳤을 것 같은데 말(노래)이 없고 템포가 빠르며 흥겨운 이 곡은 제목처럼 도쿄 전철에서 길을 잃은 심정을 대변하는 것 같다. 길 잃어 당황해서 말이 나오지 않을 것이고, 빨리 목적지를 찾고 빨리 일행을 찾아야 하니 급한 마음에 템포가 빨라질 텐데, 도쿄의 이국적인 풍경은 재밌으니 흥겨운 게 아니겠는가.

작년에 마르코스 발레는 한국에서 멋진 공연을 했는데 그때의 일을 곡으로 만든다면 어떻게 될 지 궁금하다. 제목은 무엇이고 멜로디와 연주 스타일은 어떠할지 그 모든 것이 당시의 감정을 나타낼 것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컬트 - 세상을 경악시킨 집단 광기의 역사
맥스 커틀러.케빈 콘리 지음, 박중서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컬트>는 사이비 종교 교주들이 어떻게 유년 시절을 보냈고 어떻게 악행을 저질렀는지 서술하고 있지만 내가 가장 관심이 갔던 것은 교주의 추종자들이 교주를 왜 도왔는지였다. 아무리 사이비 종교 교주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더라도 추종자가 없이는 아무런 일도 할 수 없다. 누구는 추종자가 되고 또 누구는 추종자가 되지 않는데 왜 그런가. 추종자는 왜 추종자가 되었나.


<컬트>에서 추종자들의 이야기는 챕터마다 조금씩 언급될 뿐이었는데 공통적으로 추종자들은 외롭고 불안한 자들이었다. 그들은 기댈 곳을 찾고 있었고 교주는 위로하는 척 공허한 마음에 자리 잡았다. 예언을 하고 기적을 보여주는 것이 이들의 마음을 뺏는 시작이었다. 그 예언은 의도된 것이기도 했고 (교주가 피해자에 대해 미리 조사를 했다.) 우연히 맞아 떨어진 것이기도 했다. 추종자들은 자신의 내밀한 이야기를 교주가 알아맞추고 고민이 해결되자 교주를 신뢰하기 시작했다. 자신의 재산과 몸을 바치면서 교주의 범죄에 동참하기에 이르렀으니 추종자들은 피해자이면서 가해자였다.


이런 생각이 들었다. 추종자들의 공허함, 외로움, 불안, 슬픔, 분노에 사회가 귀를 기울였더라면 추종자들이 사이비 종교 교주에게 기대지 않았을지 모른다고. 저자는 사이비 종교 교주들한테서 사이코패스의 특성을 발견한다. 하지만 이 범죄들을 이상한 놈이 일으킨 이상한 짓으로 결론 내면 안 될 것이다. 이 범죄의 기저에는 사이비 종교 교주의 끔찍했던 유년시절과, 추종자들의 공허함, 외로움, 불안, 슬픔, 분노가 있기 때문이다. 전쟁터에서 돌아온 아버지가 아들에게 무관심한 것을 보라. 돈에 집착하게 만든 가난을 보라. 그것들은 시대의 형상을 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Sarah Vaughan - Live At Laren Jazz Festival 1975 [디지팩]
사라 본 (Sarah Vaughan) 노래 / FONDAMENTA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사라 본의 <Live At Laren Jazz Festival 1975:The Lost Recordings> 에는 사라 본의 매력이 다 들어 있다. 풍부한 성량, 깊은 목소리, 감각적인 스캣인데, 특히 스캣이 절묘하다. 10번 트랙 ‘Sarah’s Blues‘ 는 칼 슈뢰더의 피아노가 등장하고, 좀 있다 밥 마그누손의 베이스가 등장한다. 이어서 사라 본은 가사를 부르지 않고 스캣을 한다. 일부러 의미 없는 말을 해서 관객이 선율에 더 집중하게 한다는 스캣은 목소리를 하나의 악기로 기능하게 하는 최고의 방법 중 하나이다. 사라 본의 스캣이 끝나면 지미 콥의 드럼이 길게 솔로 연주를 하고, 다시 피아노, 베이스, 드럼, 보컬이 어우러져서 절정에 오르자 연주는 끝난다. 내가 저 자리에 있었다면 좋아서 눈물을 흘렸을 것이다. 이 앨범의 연주가 다 좋지만 특히 10번 트랙은 정말 환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Donny Hathaway - Everything Is Everything [Remastered] - Atlantic R&B Best Collection 1000
도니 헤더웨이 (Donny Hathaway) 노래 / Atlantic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앨범 재킷에 아이가 등장하면 아이의 표정, 아이의 시선, 손과 발의 움직임에 눈이 간다. 아이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어떤 기분일까 궁금하다.

카운트 베이시는 아이들에게 LP판을 틀어주며 재즈란 무엇이고 비틀즈란 무엇이라고, 자애로운 할아버지처럼 알려 주는 것 같고, 도니 헤서웨이는 음악은 이렇게 몸으로 느끼는 거야. 라며 같이 손 잡고 춤을 추며 아이들과 마음을 나누는 것 같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손자, 손녀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용돈인가. 용돈도 좋지만 최고의 선물은 음악을 즐기는 법을 알려 주는 것일 것 같다. 음악은 인간의 감정과 생각을 드러내는 효과적인 도구이고 음악은 인간을 위로하는 최고의 약이며 음악은 영원한 친구이고 음악은 넓은 세상으로 이끄는 길이니 말이다. 어떤 음악을 어떻게 듣느냐는 또 다른 문제이지만 좋은 음악을 알게 된다는 것은 일생일대의 큰 선물을 받는 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