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집단에서 바보가 되었는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왜 우리는 집단에서 바보가 되었는가 - 조직의 모든 어리석음에 대한 고찰
군터 뒤크 지음, 김희상 옮김 / 책세상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단 지성'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집단 지성은 인터넷에서 비롯된 단어 입니다. 전혀 몰랐던 사람들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이뤄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는 것을 말하기도 하는데요. 《왜 우리는 집단에서 바보가 되었는가》에서 말하는 '집단 어리석음'은 '집단 지성'에서 따온 말이라고 저자 '둔터 뒤크'는 정의합니다. 집단 지성과 집단 어리석음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들여다볼 수 있겠네요.


조직( 특히 기업)에서 흔히 일어나는 집단 어리석음은 조직을 해체할 수도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늘 경계하고 지양해야 할 조직문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집단 어리석음은 집단 구성원을 신경증에 걸리게 합니다. '카를 치폴라'가 말하는 '어리석음의 균형'이 맞춰지고 이런 안정적인 균형이 집단 어리석음을 받치는 기둥이 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편안함에 길들여진 조직은 이런 경고나 충고를 믿지 않아 결국 자멸하기도 하죠.

 

집단 어리석음은 또한 탐욕을 부릅니다. 오직 수치로만 제시되는 과도한 목표와 압박은 성과주의 스트레스를 불러옵니다. 서로를 향한 불신과 경영자들의 강박, 평가와 통제 시스템은 조직을 바보로 만들기에 충분하죠. 또한 오로지 실적(생존)에만 몰두하는 '북 스마트'무리와 당장의 이익에만 몰두하는 '스트리트 스마트'에 가 많은 수록 생기는 집단의 어리석음도 경계하고 있습니다.


《왜 우리는 집단에서 바보가 되었는가》에서는 개인의 지적 수준과는 별개로 조직이 처한 '집단 어리석음'에 대해 들여다보고, 잃어버린 '집단 지성'을 찾는 과정을 내내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결책도 잊지 않고 있습니다. 일방적인 성장 요구를 멈추고 과중한 부담의 부조리를 뿌리 뽑습니다. 또한 공통의 자부심을 키우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정체됨을 타파합니다. 살인적인 비용 절감을 중단하고, 내실에 의미를 두고 업무를 처리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집단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전기 업적인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대기업 하나만 바라보고 국가의 경영을 점치는 우리나라의 경제구조는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조직은 영원할 수 없습니다. 또한 안정을 찾아 정체되면 분명히 문제가 생기게 마련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집단의 바보가 되지 않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을 해야 할지  고민해 보고 또 행동해야 할 것입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5-29 00: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doona09 2016-05-31 20:51   좋아요 0 | URL
16기 주옥같은 책을 읽는 시간 감사했습니다. 부디 잘 지내세요. 표맥님. 아참, 17기는 아직 소식이 없나요?? ^^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