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푸어, 벽을 넘는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하우스 푸어 - 비싼 집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
김재영 지음 / 더팩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가끔 우연인지 기획의 승리인지 이슈로 떠오르는 아이템에 관해
누구보다 조금 먼저 책을 내는 사람들이 있다.
DTI규제가 옳으냐 그르냐는 논란의 중심은
결국 각자 지닌 가장 큰 사유재산 '집'에 대한
가치하락을 긍정적으로 방어하는데 있을지 모른다.
그런면에서 이 책은 아예 논란의 방향을
집을 사고 소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부정적이라고,
그리고 역설적으로 집을 가지기 위해 들이는 노력은 결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큰 경제적 손실을
유도할 수 있음을 얘기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이 책과 비슷한 얘기를 담은 책들은
생각보다 드물지 않게 출시되기 시작했던 꽤 됐다.
하지만, 이전의 책들이 읽는 사람의 관심에 의해
단순히 읽을거리로 간택되었어야 했고
인연이 닿지 않은 이들에겐 모르는 분야고 책이 됐던데 비해,
이 책은 방송을 바탕으로 했다는 이점을 안고
한동안 부동산시장에서 이슈과 될 만한 점을
부지런히 파해치고 들여다 보는 논리를 택했다.
당연히 읽으려하는 독자층은 많을 수 밖에 없을 책이다.

그러나, 책을 읽더라도 집에 대한 한국인의 논리구조는
쉽게 바뀔 수 없다는게 현실이 아닐까 한다.
집을 가지고 있어야 든든하다는 한국인의 의식이 문제라는 식의
뻔한 말을 하려는 것도 아니다.
일확천금이 생긴다면 가장 하고싶은 일을 물은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의 사람이 '집, 자동차, 여행'을 들었다고 한다.
연령, 경제적 수준 등을 떠나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그리고 주어진 예시없이 나온 답이기에 인상적이다.
아마도 막상 큰 돈이 생겼을 때 굉장히 독창적이고
자신만의 소원이 있을거라 상상할 수도 있을 부분이었는데
대부분의 바램이 똑같았던 거다.
난 이런 단순한 듯 보이는 설문의 답에서 왠지
이 책의 결론과는 반대인 사람의 심리를 보게 된다.
의식주, 그리고 가장 기본적으로 소유하고 싶은 재산은 거의 동일하다는 것.
동양인의 심리라 그렇고 서양인의 심리라 다르고로 설명하고 싶진 않다.
집에서 우리보다 자유롭다는 서양인들도
부자들은 집을 여러채 씩, 자동차 대신 요트를 가지고 있듯이
사유재산의 목록 자체가 그다지 다양하지 않다는 걸
어느정도 시대와 인종을 초월해 반영하는 건 아닌가 한다.

결국, 이 책의 논리가 상당부분 타당하더라도
어느 누구에게 집을 소유하는게 도리어 당신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얘기해도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집을 가지길 소망할 것이다.
어찌보면 자신의 보금자리를 가지려는 건 본능이고,
이것으로 인간은 재테크란 재산증식까지 꿈꾸는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