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문화재청이 페북을 통해 도난 문화재 소식을 알렸다.

지난 1988년 도난된 경남 고성 옥천사의 나한상이 미국의 모 경매에 나온 것을 국외소재 문화재 재단이 발견, 경매를 취소시키고 원만한 협상을 이루어냈다는 내용이다.

이 나한상은 이번 달 중 국내 귀환된다.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을 줄인 말로 문화재청의 설명에 의하면 온갖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어 사람들로부터 공양을 받을만한 공덕을 갖춘 자이다.

아라한(arhat)은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보다 높은 깨달음을 얻은 최고의 존재이다.

에드워드 콘즈에 의하면 불교도들 스스로는 아라한을 적(敵)을 뜻하는 아리(ari)와 죽임을 뜻하는 한(han)이 만난 말 즉 인간의 욕망과 정념 등의 적을 죽인 사람으로 보는 반면 현대 학자들은 ‘~할 만한‘을 뜻하는 아르하티(arhati)에서 찾는다.

후자의 경우 아라한은 ‘숭배와 공양을 받을 만한‘, ‘그럴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된다.(‘한글세대를 위한 불교‘ 133, 135 페이지)

석가모니 붓다 자신도 아라한이다. 아라한은 초기불교의 이상적 인간이다.

팔리어로 외웠던 나모 다싸 타타갓다싸 아라핫도 삼마삼붓다싸(Namo tassa Tathagatassa Arahato Sammasambuddhahassa)란 귀의문(歸依文)을 급히 불러내게 된다.

‘그렇게 오셨으며 동등하시며 바르고 원만하게 깨달으신 저 붓다께 절합니다‘란 의미이다.

붓다의 제자로서 나한은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들이지만 동아시아에서 신앙의 대상이 된 나한은 실존하지 않는 공상적인 존재이다.(명법 스님 지음 ‘미술관에 간 붓다‘ 108 페이지)

아라한은 더 이상 닦아야 할 것이 없기에 무학(無學)이라 불리며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등 아라한 이전의 단계들은 더 배우고 닦을 것이 있어 유학(有學)이라 불린다.(권오민 지음 ‘아비달마 불교‘ 265 페이지)

이 불교 지식들이 내게는 치유의 소재로 여겨진다. 그래서 유식(唯識)을 생각하게 된다.

오로지 앎만 있다는 의미의 유식은 나는 이렇게 알고 저 사람은 저렇게 아는 등 자기 경험에 비추어 제 각각 안다는 의미이다.(서광 스님 지음 ‘치유하는 유식 읽기‘ 38 페이지)

유식은 다름을 인정해야 소통이 가능해짐을 말한다. 유식의 한 게송(偈頌)에는 파도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바닷물과 바람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유식은 오직 마음만 존재하고 일체 만물 즉 현상은 인정하지 않는 유식무경(唯識無境)의 가르침이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오해이다. 유식무경은 유식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다.

유식은 식 즉 앎, 마음만을 인정하지도 않고 일체가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주장하지도 않는다. 유식 15송(頌)에서 보듯.(서광 스님 지음 ‘치유하는 유식 읽기‘ 145, 146 페이지)

치유는 그 냉엄한 현실을 바로 아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11월 24일 나는 치유를 위해 스승을 만나러 간다. 가기 전 잠시 도난 문화재 이야기를 하고 그것을 치유와 억지로 연결짓고 이렇게 내 이야기로 마무리한다.

나의 훈습(薰習; 어떤 성질에 물들거나 기운이 배어든 것)은 기승전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