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만의 선택 (양장) - 우리 시대 인문학 최고의 마에스트로 박이문 인문학 전집 1
박이문 지음 / 미다스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불문학자이자 철학자, 시인인 박이문(1930 - ) 교수를 알게 된 것은 ‘다시 찾은 빠리 수첩’을 통해서이다. 나는 이 책에 들어 있는 ‘빠리여, 안녕!’이라는 글을 시간 날 때마다 펼쳐본다. 이 글을 그렇게 펼쳐보는 것은 “늙은 열등생”이라고 자신을 표현하는 저자에게서 강한 동질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동경에서의 모 대학생활 중 학병을 피해 다니던 큰 형이 가져다 놓은 문학서적들을 통해 새로운 세계에 입문했고 서른이 넘은 늦은 나이에 프랑스 유학을 결행한 뒤 난해하기에 말라르메를 전공한 사연, 그리고 철학을 전공하게 된 동기 등 ‘하나만의 선택’을 통해 접하는 내용들은 말 그대로 지적 거인이 걸은 큰 발자취이다.


저자를 형성한 여러 책들 중 가장 근원적인 것은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에 담긴 실존주의를 해설한 일본어 번역서이다. 이 책은 지적 혼돈과 정서적 허무주의에서 헤매던 저자에게 빛이자 구원으로 다가왔다. 데리다와의 특별한 인연(데리다는 저자보다 생일이 몇 달 늦은 동갑이지만 저자의 학문적 길에 큰 영향을 미친 스승이었다.)은 상당한 관심을 끈다. 저자는 스승을 존경하지만 스승의 언어철학을 비판하는 논문을 쓴 자신의 행보에 대해 진리에 관한 문제에서는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장애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서라는 이유를 달았다.


시인이자 불문학자이자 철학자인 저자가 시에 대해 한 말이 특별히 내 주의를 끈다. “아무리 서정적 시라도 논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고, 그러할 때에 비로소 논리를 초월한 시적 가치를 체험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는 글이다. 저자는 자크 네세르라는 한 교수의 강의를 통해 엉성하기만 하고 무슨 뜻인지를 알 수 없을 것만 같은 난해한 시작품까지도 황홀할 만큼 투명하고 시원스러운 설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한다.(55 페이지) 그는 빈말 하나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한 시인, 그리고 한 시를 분석하고 설명해주곤 했다고 한다.(189 페이지)


저자는 어떤 철학자도 그대로 추종하지 않으며 수많은 철학자들로부터 무한한 지적 통찰력과 지혜를 배우며, 특정 종교를 믿지 않지만 자신을 누구 못지않은 종교적인 사람으로 여긴다. 저자는 양이 얼마 안 되는 정독(精讀)의 중요함을 강조한다.(130 페이지) 저자는 감수성과 지성을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고 설명한다. 이는 아무리 서정적인 시라도 논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저자의 앞선 견해와 공명한다. 저자는 시에 심취하고 문학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믿고 예술에 깊이 끌린 이유는 무엇이라 규정할 수 없는 심미적인 것에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지만 더 근원적으로는 도덕적인 차원의 이유 때문이라 말한다.(175 페이지)


저자가 사르트르에게 깊은 영향을 받고 매력을 느낀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한편 저자는 그가 부러운 존재에서 미움의 대상으로 변할 수도 있었다고 말한다. 오직 한가하고 피와 고통을 느껴보지 않은 머리 좋은 학자들의 헛소리라고 생각하고 싶었다는 것이다.(178 페이지) 저자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는 점, 생각하는 방식과 글 쓰는 훈련이 필요하다는 점, 계획적이어야 하고 구체적인 목표가 있어야 한다는 점 등이다.


저자는 가설일 수 밖에 없는 것이지만 직관으로 얻은 비전이 뚜렷할 때 그 가설을 입증하는 것은 노력과 시간, 인내심과 끈기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말한다. 문제는 그런 입증의 논지를 어떻게 논리적으로 잘 구성하며, 어떻게 쉽게 쓰느냐이다.(206 페이지) 저자의 책을 통해 알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사실은 저자의 지적 이력이 평탄하지만은 않았다는 점이다. 자신의 지적 세계가 너무 좁고 어두웠었다는 그의 표현은 학문을 하는 사람으로서 누구나 어느 정도씩은 경험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더구나 저자는 육체적으로도 상당히 허약한 상태였으니 어려움이 짐작이 되고도 남음이 있다. 철학자에게서 종교가, 예술가, 사상가, 시인을 기대하던 저자는 개념과 논리의 세공 기술자로만 보인 분석철학에 회의를 품었다. 물론 에이어의 ‘언어 논리 진리’를 읽고 분석철학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저자는 분석철학에서 엄청나게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한다.(281 페이지) 시 분석에 분석철학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저자는 중학교 시절부터 시인이 되려 한 분이다. 고통 속에서 피어나는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싶었다고 한다. 긴 여정을 거친 지적 거인의 면모가 총체적으로 담긴 책이 ‘하나만의 선택’이다. 하지만 이 책은 저자가 앞서 발표한 책들을 모아놓은 것이어서 긴장감이 떨어진다. 저자의 여러 책들 중 ‘현상학과 분석철학’을 다시 읽고 싶다. ‘언어철학, 그리고 시와 과학’이란 부제를 가진 ‘인식과 실존’(인문학 전집 5권)을 정독할 필요를 느낀다. 아울러 시 전집인 ‘울림의 공백’(인문학 전집 10권)에 특별히 관심이 간다. 건필을 바라는 마음을 저자께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