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 정들 것 없어 병에 정듭니다.." 허수경 시인이 '정든 병'이란 시에서 한 말이다. 나는 이 시가 실린 시집 '혼자 가는 먼 집'에 붙잡혀 그의 새로운 시집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시인이 병에 정들었듯 나는 병에 관심이 많다. 뉴스를 보니 박*이란 엔터테이너가 ADD라는 병을 앓고 있다. ADHD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라면 ADD는 과잉 행동 없는 주의력 결핍 장애다. 조용한 주의력 결핍 장애이고 더 힘들지도 모르는 병이다.

 

젠더 & 섹슈얼리티 전문가 마리 루티는 TV 시청이나 알코올 중독 같은 대응기제도 신자유주의 사회의 성과 원칙에 반해 시간을 허비하는 게 아니라 더 즐겁게 사용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고 말한다.

 

현대 사회가 우리에게 원하는 삶의 방식 즉 극심한 스트레스 속에 항시 대기하는 삶을 거부하는 사회적 방식의 일종이라는 의미이다.('남근 선망과 내 안의 나쁜 감정' 91 페이지) 행동의 저변에 숨겨진, 본인도 모르는 의도를 찾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로 읽히는 글이다.

 

이 글을 접하고 정희진 작가의 글을 읽으니 한결 마음이 편하다. 그 글은 "광장의 축제는 일상의 프로작(우울증 치료제)이다. 어쩌면 촛불은 밤의 시위가 아니라 낮의 우울을 밝히는 데 더 긴요한지도 모른다."('낯선 시선' 195 페이지)

 

정희진 작가를 페미니즘 스승이라 말하는 시인처럼 내게 정희진 작가는 페미니즘에 눈뜨게 해준 분이다. 낯설다는 말은 의미심장하다. 재일 한국인 디아스포라 서경식 선생의 '디아스포라 기행'을 읽고 있는 나에게 낯섦은 화두이다.

 

물론 그것은 해소해야 할 병리라는 의미에서의 화두가 아닌 수용하고 이해해야 할 현실로서의 화두이다. '나의 서양음악 순례'에 이어 두번 째로 읽는 서경식 선생의 '디아스포라 기행'을 통해 내가 느끼는 바이다. 낯설게 보기는 소수자 되기의 출발일 수 있겠다는, 더 맞춰보아야 할 생각을 사족처럼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