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으면 안되는 10대 식품첨가물 헬스케어 health Care 14
와타나베 유지 지음, 김정환 옮김, 안지현 감수 / 싸이프레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음식 맛에 대한 인간의 욕심이 만든 요물(?)이 바로 다양한 식품첨가물이라고 하겠습니다. ‘기왕이면 다홍치마’라는 좋은 비유를 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후자의 입장이라면 모든 식품첨가물에 대하여 같은 의미를 둘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전자의 입장이라면 식품첨가물에 천연의 것도 있으니 인공화합물에 국한하여 그렇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인공으로 합성한 식품첨가물은 가급적이면 사용하지 말자는 입장을 내세우기 때문입니다. 물론 인공합성 식품첨가물 가운데는 다량 섭취하면 건가의 위해요인이 될 수도 있으나, 위해의 정도가 크지 않아서 일정 범위 안에서 사용한다는 단서를 달아 허용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먹으면 안되는 10대 식품첨가물>의 저자는 전공이 공대 합성화학과 출신답게 화합물의 위험을 잘 알고 있어 이것들이 식품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기본 입장인 것 같습니다. 특히 아질산 나트륨, 캐러멜 색소, 아스파탐, 아세설파람, 수크랄로스 등 합성감미료 3종, 브롬화칼륨, 타르색소, 곰팡이 방지제 OPP와 TBX, 차이염소산나트륨, 아황산염, 벤조산나트륨, 사카린나트륨 등 10대 식품첨가물의 경우 절대로 먹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들 대부분은 발암성이 의심되거나 독성이 강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을 보면 분명한 근거 보다는 모호한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금지해야 할 물질 아초산나트륨의 경우 명란젓의 선홍색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하는 아질산나트륨이 위암을 일으킬 위험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습니다. 소금에 절인 생선이나 채소를 많이 먹는 아시아인에서 위암 발병 가능성이 높다하여 국제암연구소에서 발암가능성 물질(2B군)로 분류하고 있음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암기전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음을 고려한다면 추측만으로 단정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물론 저자의 주장 모두를 틀린 주장이라고 정리해버릴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인공감미료의 하나인 사카린에 대하여 여전히 발암가능성에 대한 의혹을 떨칠 수 없다는 식으로 서술하는 것을 보면 전체 논지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겠나 하는 의심을 저 역시 거둘 수가 없습니다.

앞서도 말씀드렸습니다만, 식품첨가물의 섭취에 대한 제한은 각국에서 법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저자 역시 ‘식품에 일정량을 초과한 양이 들어가면 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후생노동성에서는 첨가할 수 있는 양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그러므로 시판되는 햄이나 베이컨, 비엔나소시지를 먹었다고 해서 몸 상태가 나빠지는 일은 없다.(42쪽)’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그런데 이어서 ‘다만 그런 독성이 강한 물질을 식품에 섞도록 허용해도 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감출 수 없다.’라고 딴지를 걸고 있습니다.

사실 법이라는 것을 대충 정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따라서 독성물질을 사용함에 있어 제한을 두더라도 다양한 독성자료를 수집하여 검토하고, 사람이 다양한 경로로 먹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따져본 다음에, 충분한 안전역을 두어 섭취해도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않을 정도의 수준으로 제한을 두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아예 인정할 수 없다는 인식을 대하게 되면, 옛날 중국 기나라에 살았다는 우라는 사람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정도 병이라는 옛말이 있는 것처럼 지나친 병이 병을 부른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식품첨가물로 인하여 암이 생기는 과정에 지나친 걱정 항목은 고려하지 않았는지도 궁금합니다.

하나 더 예를 들면, 식용이 가능한 색소를 검토하면서, 발암성이 인정되어 사용이 금지된 화합물이 있다는 이유로 다른 화합물을 도매금으로 넘겨버리는 것도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