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이 아니면 알 수 없는 것들 - 손미나의 사람, 여행
손미나 지음 / 씨네21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미나의 작품을 읽은 건 이번이 세 번째다. 남들이 들으면 손미나의 애독자라고 할런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실상은 아주 달라서 나는 그녀의 작품에 그닥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그럼에도 다른 유명 작가의 작품을 제쳐두고 그녀의 작품을 벌써 세 권씩이나 읽었으니 우연 치고는 묘한 인연이 아닐 수 없다.

 

2006년 발간된 <스페인, 너는 자유다>를 읽었을 때 나는 KBS 아나운서였던 저자의 이력에 끌렸던 게 사실이었지만 책에서 보여준 저자의 자유분방함과 솔직함이 꽤나 인상적이이라고 느꼈다. 기회가 되면 그녀의 작품 한두 권쯤 더 읽어도 괜찮겠다고 막연히 생각했었는데 지난해 초에 <페루, 내 영혼에 바람이 분다>를 우연히 읽게 되었다. 그러나 두 번째 읽은 그녀의 여행기에서는 <스페인, 너는 자유다>에서 보여준 솔직하고도 자유분방한 느낌을 전혀 받지 못했다. 어느 여행기에서나 읽을 수 있는 그렇고 그런 이야기들이 주였다. 두 번째 여행기를 읽고 어지간히 실망했던 내가 같은 작가의 작품을 다시 손에 잡게 될 줄이야. 아무튼 나는 우여곡절 끝에 손미나의 작품을 세 권째 읽었다.

 

<여행이 아니면 알 수 없는 것들>은 일반 여행기가 아니다. 여행과 인연이 깊은 열네 명의 인물을 선택하여 저자가 인터뷰한 내용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손미나의 사람, 여행'이란 부제가 붙은 이 책은 홈스쿨링을 하는 십대의 소년에서부터 칠십대의 세계장신구박물관 관장에 이르기까지 연령도, 직업도 다양한 사람들이 여행에 대한 자신만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열네 명의 여행자를 만나 대화하는 것은 내게는 또 다른 여행과 같았다. 여행이 줄 수 있는 설렘과 호기심, 통찰과 지혜를 대화를 통해 선물 받을 수 있었으니. 그들이 이야기하는 여행이란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다름을 알고 인정하며, 몰랐던 자신의 뒷모습을 마주하며, 다시 돌아올 일상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것, 그렇게 자기만의 우주를 넓혀가는 일이었다." (p.6)

 

저자가 만난 사람은 나영석 피디, 가수 윤상, 개그우먼 송은이, 개그맨 김영철, 팝페라 가수 임형주, 영화감독 류승완,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배우 엄지원 등 누구나 아는 유명인뿐 아니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최인아, 열여섯 살 소년 임하영, 세계장신구박물관장 이강원, 국제변호사 이소은, 역사 여행가 권기봉 등 다소 생소한 인물들도 등장한다. 사실 인터뷰의 생명은 인터뷰이로부터 솔직하고도 진정성 있는 답변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친밀도도 중요하겠지만 인터뷰어의 적절한 질문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핵심을 찌르는 질문과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가도록 하는 인터뷰어의 능력이야말로 좋은 인터뷰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혼자서 자율적으로 책을 읽는 것이 그동안 해왔던 공부의 방식인데, 어떤 책을 읽었는지 소개해주시겠어요?

초등학교 때는 주로 소설이나 판타지를 많이 읽었는데요,『나니아 연대기』나 미하엘 엔데 작가도 좋아했어요. 중학교 때는 책을 계속 읽다 보니까 관심 가는 분야가 생기더라곤요. 홍세화 선생님이나, 박노자 선생님, 장하준 교수님 책들도 재미있게 읽었고, 외국 작가는 인문학 경우는 노엄 촘스키, 하워드 진, 문학 경우는 조지 오웰……" (p.43)

 

흔히 인생을 여행에 비유하곤 한다. 또는 등산에 비유하기도 한다. 비유의 대상이 무엇이든 인생은 그 자체로서, 여행이나 등산을 품 안에 아우르면서 끝을 향해 나아간다. '삶이 소중한 이유는 언젠가 끝나기 때문'이라고 햇던 카프카(Franz Kafka)의 말처럼 여행이 소중한 이유는 여행의 끝이 존재하고 언제든 돌아갈 수 있는 일상이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여행을 통해서 '나에게 솔직해져야겠다는 것'을 깨우쳤다는 나영석 피디나 페루 여행을 통해 자신의 뒷모습을 보게 되었다는 가수 윤상의 말처럼 우리는 낯선 여행지에서 자신의 본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인생이 곧 영화와 같고 영화 자체가 일종의 여행인 것 같아요. 그래서 사람과 인생을 다루는 영화와 여행은 아주 잘 어울리는 테마인 것 같아요.

한국 제목으로 <아메리카의 밤 La Nuit Americaine>이라는,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이 만든 영화가 있는데요, 영화 만드는 과정에 관한 영화예요. 트뤼포 감독이 실제로 극중 감독으로 출연하기도 하는데요, 그 영화 오프닝은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영화 만드는 것을 여행에 비유하는 내레이션으로 시작해요. 영화 만들기란 역마차 여행과 같다. 처음 출발할 때는 모두가 들떠 여행을 기대하지만 여행의 중간을 지나면 지치기 시작하고 끝날 때쯤 되면 모두가 제발 이 여행이 빨리 끝나기를 바란다. 그런데 여행이 끝나는 그 순간 다시 또 여행을 떠나고 싶어한다. 그런 측면에서 영화 만들기는 역마차 여행과 비슷하다고 표현하거든요." (p.356)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 노력에 의해 그럴 것이라고 막연히 추측했던 일들이 하나둘 사실로 밝혀지거나 설마 그렇게까지야 반신반의했던 것들조차 확연한 증거나 증언을 통해 입증되고 있는 요즘, 나라 같지도 않은 나라의 시스템으로도 망하지 않고 버텨온 게 더 이상하게 생각되는 요즘, 그럼에도 그들의 결백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제 목소리를 내는 모습을 묵묵히 지켜보게 되는 요즘, 여행은 분명 그 모든 게 보기 싫어서 떠나는 것은 아닐 터,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망명이지 여행은 아닐 것이므로. 여행이 아니면 알 수 없는 것들이 있는 것처럼 드러내놓고 확인하지 않으면 영원히 고쳐지지 않는 것들이 있음을 우리는 지난 정부로부터 배우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