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시간이 아주 많은 어른이 되고 싶었다
페터 빅셀 지음, 전은경 옮김 / 푸른숲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는 책이다.
먼저 그것을 전제로 시작해보자.
작가는주변의 소소한 일상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기교나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문체로 말한다.
평범한 이야기를 전혀 평범하지 않게 받아들여지도록 하는 그의 칼럼은 독특하다.
재치와 위트를 적절히 구사하는 촌철살인의 이야기들을 읽으며 17C 프랑스 극계를 대표하는 고전주의 비극작가 장 라신느를 떠올렸다.
대표작 페드라(phaedra)로 유명한 그녀 말이다.
시니컬한 문체와 현실에서 한발 비켜선 작가.
독자는 저자를 잊고, 그 특별하지 않은 일상이 자신의 체험인 양 빠져들게 된다.

저자는 생활 속에서 그때그때 떠오른 단상과 직접 견문한 일화에서 미끄러져 나온  생각들을 掌篇이라는 형식을 통해 전달한다.   페터 빅셀은 그야말로 짧은 이야기(掌篇)의 마술사이다.
"그는 장편(掌篇)이라는 형식을 통해 얼마 안 되는 낱말들로 아주, 아주 많은 이야기를 하는 위대한 이야기꾼이다."라고 말하는는 게오르그 파처의 평은 적절하다.
적절한 예화와 인용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생각을 깨어나게 하는 글이 많으며,  논리 전개가 날렵하고 행간은 깊다.  짤막한 일화를 통해 만나는 가르침은 때로 저도 몰래 무릎을 치게 하고 즉시 눈앞의 현실과 겹쳐 읽게 만든다.  하지만 화두는 항상 세상이 아닌 나에게로 향해 있다.  남을 탓하고 세상을 허물하기 전에 나 자신의 가늠이 어떠해야 할지가  늘 먼저다.  그러나 독자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그는 여유를 갖고 기다리는 것이다.  기다림을 기다리듯이.
그가 깨끗이 닦아둔 거울에 스스로를 비춰 본다면 중심을 잃고 휩쓸리기 쉬운 복잡한 현실에서 좌표를 점검하고 방향을 살피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아버지들도 팻말에서 팻말로 걸음을 옮기며, 지식의 신처럼 아이들에게 동물이름을 전달한다.  이름을 알아야 할 필요를 느끼지 않고도 이미 동물들에게 감탄하고 있는 아이들에게.  그건 그렇고, 아프리카나 아시아에서 온 동물들도 이름은 독일어로 쓰여 있다.  동물들 스스로는 자기 이름이 무엇인지 모른다.  세상은 자기 이름을 모른다.  우리가 이름을 붙여 부르면서 세상을 멀리하는 것이다.  알바니아인, 프랑스인, 터키인...... "(P.95) 


그의 글은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얼마나 무뎌지고 무감각해졌는지 새삼 느끼게 한다.
아주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은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다.
익숙함이란 무덤에 자라는  이름 없는 잡초에 지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