넝마주이 수녀, 엠마뉘엘
엠마뉘엘 수녀 지음, 이정순 옮김 / 두레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사람의 인생은 어떤 기준으로 평해야 할까?

이 책을 읽은 지 만 하루가 지나도록 리뷰를 쓰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내가 꿈꾸던 삶과 비교할 때, 수녀님의 인생은 그 반대편에 있는 것이다.

자글자글 주름잡힌 얼굴에 환한 미소를 짓고있는 수녀님의 사진은 나를 더욱 혼란스럽게 한다.

  수녀님은 1971년 예순두 살의 나이로 교사직을 그만두고, 이듬해에 이집트 카이로의 빈민가에 들어가 넝마주이들과 함께 23년간을 살았다.

넝마주이들이 모여사는 극빈촌. 여성에 대한 차별과 범죄가 들끓는 그곳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차라리 '모험'에 가까웠다.  하지만 그곳에서 마주한 가난은 그녀를 바닷물의 소용돌이처럼 빨아들였다.

염소 우리도 마다 않고, 장날이면 시장에 가기 위해 수레 한 차에 무려 30여명이 빽빽하게 실려가는 것도 기쁨으로 여겼다.  벼룩이나 구더기도 친구로 맞이했고, 도무지 찾을 수 없는 유치원과 교육시설을 짓기 위해 전세계를 돌며 기부금을 호소했다.

수녀님이 그곳에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아이들의 교육이었다.  아이들은 글자를 배울 수도, 자연을 접할 수도, 자신들의 충동을 억제하여 자살을 막을 수 있는 방법도 알지 못했다.  그녀는 이런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고, 동물원과 나일강에 데리고 가고, 자연에 나가 그때까지 '꽃 한 송이 꺾어 본 적이 없는' 아이들에게 꽃을 구경시켜 주었다.  캠프를 열어 아이들에게 깨끗하게 바뀐 자신들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이 아이들에게는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기회였고, 새로운 세상을 꿈꿀 수 있는 자극제였다.  수녀님은 그들에게 희망의 씨앗을 심어주었던 것이다.

비록 가난하고 헐벗었지만 자신보다 못한 사람들에게 나눔을 베풀 줄 알고, 가족을 위해 자신을 기꺼이 희생하고자 하는 그들의 모습에서 수녀님은 이렇게 말한다.

"인간의 마음은 수수께끼다.  풍족한 사람들은 더 많은 것을 갖고자 잠을 잊을 지경이지만, 반면 아무 것도 없는 빈털터리, 즉 구두수선공들과 넝마주이들은 자기 사는 곳에 만족해 하고 노래까지 부른다."

성별과, 나이와, 학력과, 심지어 종교에 있어서도 차별을 두지 않았던 수녀님은 황폐한 빈민촌에 함께 살면서 학교를 세우고,협동조합과 무료진료소를 만들어 그곳의 삶을 바꿔 놓았다.

그녀는 '왜 카이로의 넝마주이가 부유한 자보다 만족도가 높은지'를 되묻는다.

행복은 가난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난한 정신'에서 오는 것이라는 수녀님의 말씀은 23년간의 그녀의 삶을 담담히 기록한 이 책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한 사람의 삶은 그의 전 인생에 있어 1/3만 남을 위해 살아도 그는 행복한 삶을 산 것이다.  어쩌면 그보다 훨씬 적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