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른 점심을 먹고 잠깐 누웠던 게 까무룩 낮잠으로 이어졌던가 보다. 텔레비전에서는 여전히 제5호 태풍 다나스에 대한 뉴스 특보가 이어지고 있었다. 어둑어둑 땅거미가 깔릴 시간도 아닌데 밖은 여전히 어둡고 간간이 빗방울의 떨어지고 있었다. 태풍 다나스는 결국 육지에 상륙도 하지 못한 채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했다. 며칠 전부터 읽기 시작했던 김진명의 소설 <직지 1>를 마저 읽었다.

 

소설의 시작이 어떠해야 한다고 따로 정해놓은 규정은 없지만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 도입부는 늘 존재하게 마련이어서 <직지>의 도입부 역시 강렬하게 시작하고 있었다. 사회부 기자 기연이 잔혹한 살인 현장을 취재하는 장면. 나도 모르게 나는 최근에 있었던 고유정의 엽기적인 살인 행각을 떠올렸었다. 비위가 약한 나는 소설의 묘사 부분을 읽는 것만으로도 속이 메슥메슥하고 머리가 어지러웠다. '책상 옆 방바닥에 널브러져 있는 뼈 부스러기며 내장 조각에 이어 흉곽이 함몰돼버린 시신이 망막에 잡히는 순간'과 같은 문장을 읽어 내려간다는 것은 차라리 고역이었다.

 

창과 같은 길고 날카로운 흉기에 의해 심장이 관통됨으로써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는 피살자는 고려대에서 라틴어를 가르쳤던 전형우 교수. 누구에게 원한을 살 만한 직업도, 성품도 아닌 그는 유학을 떠난 아들 하나와 살해 당시 일본으로 여행을 떠났던 아내가 가족의 전부였다. 일류급의 전문 살해범이 개입한 듯한 살해 현장에는 족적을 포함한 어떠한 증거도 남지 않았고 감식에 참여했던 베테랑 형사마저 미제 사건으로 남을 것을 염려할 지경이었다. 그럼에도 기연이 이 사건에 관심을 두게 된 까닭은 피살자의 귀가 잘린 것과 살해 후 목에 남겨진 송곳니와 입술 자국이었다. 드라큘라가 피를 빤 듯한 흔적. 기연은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남은 행선지를 토대로 전형우 교수가 청주에 있는 서원대학교를 다녀온 것을 발견하고 전 교수가 접촉했던 사람을 추적한다.

 

기연은 처음에 서원대학교의 김정진 교수를 의심하였다. 그러나 김정진 교수는 '직지' 알리기 운동을 펼치는 인물로 구텐베르크 금속활자의 뿌리가 '직지'라 확신하고, 그것을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캐고 있는 인물이었다. 14세기 금속활자를 가진 동방의 어느 나라 왕에게 보냈다는 교황의 편지와 바티칸 비밀수장고 내부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로마대학교 출신인 전 교수가 연구 조사에 참여했었다는 사실을 김정진 교수를 통해 전해 듣게 된다. 기연은 전 교수의 죽음이 '직지'와 연관된 많은 비밀과 그 비밀을 지키고자 하는 여러 사람의 계획에 의해 자행된 철저히 계산된 범죄임을 직감하고 그녀가 독일에서 유학 당시 밀라노 신학대학에서 공부하였던 연세대학의 최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한다. 토마스 아퀴나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최 교수는 라틴어에 정통한 인물이었다. 최 교수의 도움을 통하여 기연은 전 교수를 살해한 범인이 외국인일 수도 있겠다는 결론에 이른다. 전 교수의 서재를 샅샅이 뒤진 기연은 전 교수의 메모에서 '스트라스부르의 피셔 교수와 아비뇽의 카레나'를 찾아낸다. 그리고 김정진 교수와 함께 유럽으로 향하게 되는데...

 

"피셔 교수는 연구의 성과를 알려주었을 테지만 어느 순간 전 교수가 절대 알아선 안 될 비밀에 다가선 걸 발견하고는 크게 놀랐을 거요. 그래서 혼비백산해 누군가에게 그 사실을 얘기했고, 그 누군가가 한국에 암살자를 보냈을 거요. 여기까지가 큰 줄기에서 본 전 교수 사건이오." (p.235)

 

그러나 피셔 교수를 만났던 기연은 이렇다 할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한 채 귀국한다. 그리고 다시 최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기연의 도움 요청에 한달음에 달려와준 최 교수는 세 시간여의 작업 끝에 전형우 교수가 로마대학교에서 서지학을 공부하던 당시에 찍었던 사진을 통해 그와 가까웠던 인물인 파블리오 인데르노를 찾아낸다. 바티칸 수장고 관리신부인 그는 교황청에서 발간하는 일간 신문의 독자 문의도 받고 있다. 그를 발견함으로써 미궁에 빠졌던 사건은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하게 되는데... 1권은 그렇게 막을 내린 채 2권으로 이어진다.

 

일정한 시간에 매일 반복되는 일들도 여의치 않은 환경에 의해 그 시간을 가늠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오늘처럼 종일 흐리고 어둑어둑한 날, 시간조차 가늠하기 어려운 그런 날에 한번 빠져들면 빠져나오는 것조차 힘든 추리소설을 붙잡고 읽는다는 건 까무룩 낮잠에 빠져드는 일보다 더욱 치명적일 수도 있는 일. 나는 그런 사실도 까맣게 잊은 채 위험한 책 읽기에 몰입했다. 벌써 하루가 다 지나간 듯하다. 귀중한 주말 하루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