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연대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시간 연대기 - 현대 물리학이 말하는 시간의 모든 것
애덤 프랭크 지음, 고은주 옮김 / 에이도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디선가는 시간을 '지금 이 순간에도 흐르는 것'이라 하고, 또 어느 쪽에선 '한번 지나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고들 한다. 영화 《백 투 더 퓨처》에선 시간을 자유자재로 요리하는가하면 소설 『점과 선』 등에서는 찰나의 몇 분을 이용한 범죄가 일어나기도 한다ㅡ 에코의 『전날의 섬』은 제쳐두고. 지금, 이전, 다음. 그저 단어에 불과하지만 이것들은 죄다 시간을 단속적으로 분절하며 우리의 통념에 덧댄 안정감을 준다('언제'가 간섭하면 꽤 재미있는 사유가 가능하다). 각각의 순간들ㅡ 손으로 만질 수 없을지라도ㅡ 특히 양적인 측면에서ㅡ 심히 불확실하고 때때로 터무니없이 들리기도 하는 시간(들)ㅡ 그래서 심지어는 이쪽과 저쪽을 나누기도 한다. 때문에 '시간'을 찬찬히 살펴보면 완벽하게 독립적이지도 않고 어느 하나의 일부가 되지도 않으며 어떨 땐 순 엉터리 같기도 하므로, 이것을 전 세계인이 하나의 체계로써 합의해 지켜나가게 되었다는 것 역시  어찌 보면 얼떨떨한 뉘앙스를 풍긴다. 그렇다면 시간을 측정하겠다고 발명된 시계 또한 매한가지 아닌가? 12진법과 24진법, 60진법을 오르락내리락하는 요상한 기계는 인간의 시간관념을 지배한 지 오래다ㅡ 물론 시간의 덩어리 '날(日)'은 진법체계가 아니라 달력으로 대표되는 또 다른 물건을 사용해 재긴 하지만. 하여간 우리는 경험적, 감정적으로 느껴왔던 것을 일종의 개념화와 고착화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바꾸어놓았다. 눈으로 볼 수조차 없는 것을 측정한다니! 물론 애덤 프랭크에게 시간이란 돌처럼 직접 느낄 수 있는 물질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접하는 물질세계의 일부이다. 하지만 정말 시간이란 게 있을까? 어쩌면 인문학자나 철학자들에게 던져야 할 물음인 것만 같다. 책 말미에 등장하는 '수많은 지금(들)'에 관한 문장 몇 개를 읽으면 이것은 더욱더 짜증스러운 골칫거리가 된다.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계속 이어지는 '지금'들을 지나가고 있다…… 시간을 단단히 붙잡을 수 없는 건 시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지금'들이 무엇이냐는 것인데…… '지난주'가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유일한 증거는 우리의 기억뿐이다ㅡ (끊임없는 '지금'의 배열이라……) 망할, 『시간 연대기』는 철학서를 꿈꾸는가? 그렇다면 종국엔 '시간'이란 것이 하나의 발명품이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것일까? 아무리 먹어 치워도 바닥을 드러내지 않고 알면 알수록 의미를 잃어간다는 건 바로 이런 것을 두고 한 말일까? 시간이란 물질세계 혹은 관념을 평가절하하거나 치켜세우고픈 생각은 없지만 어쨌든 그것을 이용하고 비틀어대는 것은 인간이다. 그것에 관대하다가 종종 자발스럽게 굴기도 하며 지나버린 청춘이라 부르면서 저주를 퍼붓기도 하고……. 우리 눈앞에 모습을 드러낸 적이 단 한 번도 없으면서 말이지, 쳇.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