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그 첫 5천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부채, 그 첫 5,000년 - 인류학자가 다시 쓴 경제의 역사
데이비드 그레이버 지음, 정명진 옮김 / 부글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진부한 말이지만 돌고 돌아 돈이라 했다. 또 책의 저자는 ‘빚은 반드시 갚아야 한다’ ― 이 말이 경제적인 진술이라기보다 도덕적 진술이라 했다. 부채란 뭐고 경제란 뭔가. 경제란, 인간들이 (물물)교환을 하려는 타고난 성향을 발휘하는 무대다. 그런데 교환이 이루어지려면 반드시 매개체가 필요한데 그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돈이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서 물물교환은 빚으로 재해석되었다. 때로는 지루한 장광설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빚이란 건 결국 돈의 시작을 뜻한다는 논리 아래 저자는 애덤 스미스조차 끌어내려 버린다. 그래서 ‘경제의 역사는 바로 부채의 역사’라는 명제가 제시되기에 이른다. 그럼 도대체 부채는 왜 발생하는가? 이 질문에 『부채 그 첫 5,000년』은 (미국식)주류경제학에 반기를 들며 그것이 얼마나 관념적이며 추상적인가를 여지없이 까발린다. 부분적으로 이것이 일관성 있는 논거의 제시라는 측면에서 빈약한 맹점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부채’라는 문제를 고급스럽게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는 점은 칭찬할만하다. 저자의 말대로 상업이란 것이 ‘신뢰’로 시작되었다한들 오늘날 현대의 돈은 사실상 주로 정부 부채로 이루어지지 않았던가. 바로 부채는 세계정치의 핵심적 이슈가 되었다.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나 아이티를 보면 그것은 극명하게 드러난다. 특히 미국의 외채는 ― 오늘날의 현실은 조금 바뀌긴 했지만 ― 미국 재무부 채권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역사를 돌이켜보면 채무국은 늘 있어왔다. 물론 당연히 부채와 함께 말이다. 과연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행위 자체는 ‘비열한 거래’인가? 채무는, 일정 액수의 돈을 지급할 의무이다. 따라서 이때의 돈을 지급할 의무는 정확히 그 양과 부피가 정해지게 되고, 그러므로 비인간적이고 비도덕적으로 여겨질 가능성조차 존재한다. 결국 이 부채는 원금, 이자, 차감잔액(벌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도 염두하자)으로 환원된다. 3년 전쯤 전 세계의 경제를 마비시킨 금융위기가 있었고 진정한 문제의 알맹이는 드러나지 않은 채 흐지부지됐다 ― 여기서 우스운 것은, 세계를 대변하는 미국이란 나라에 처음 정착한 사람들의 대부분이 도망 온 채무자들이었다는 사실이다. 문득 IMF는 경고했다. 이런 식의 메커니즘이 지속된다면 다음에는 어떠한 구제금융도 불가능하다고. 정말이지, 이 책은 금은통화주의와 돈을 하나의 관념적 대상으로 하여 부채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뿌리 뽑을 생각인 것 같다. 부채를 진 채무자는 채권자로 하여금 자신들을 조종하거나 어떠한 처분을 내릴 수 있는 무제한의 권한을 줄 수도 있다. 이에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연설한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는 우리로 하여금 모골이 송연하고 식은땀이 등을 적시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게 한다……. 지난 몇 세기 동안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용이란 무한히 창출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왔다. 이후 혁명은 일어나지 않았고 금융자본주의의 기본적 구조가 대부분 그대로 남았다. 자본주의가 종말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는 소리를 들으면 단지 두려워할 뿐이다. 중세의 ‘시장 포퓰리즘’이란 개념은 모순투성이가 아니었던가? 이런 측면에서 보면 애덤 스미스가 창조한 부채가 없는 시장 유토피아는 뛰어난 통찰력에 의해 탄생한 것이지만, 우리가 지금껏 목격한 것은 더없는 음흉한 정치적 속임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거라고 본다. 저자는 부채를 ‘약속의 타락’일 뿐이라고 언급했다. 때문에 저자가 제기한 문제, ‘세상에 돈이 있기 전에 거기에 부채가 있었다’는 흥미로운 역사는 당연하게도 읽어봄직 하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