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알라딘 서재
l
명예의 전당
블로거 베스트셀러
최근 서재글
이달의 당선작
인기태그
북플
l
알라딘 메인
l
국내도서
외국도서
eBook
중고샵
중고매장
커피
음반
DVD
알라딘굿즈
장바구니
주문조회
나의계정
고객센터
추천마법사
서재통합 검색
통합검색
국내도서
외국도서
eBook
알라딘굿즈
온라인중고
중고매장
커피
음반
DVD/BD
-----------
서재검색
서재태그
마이리뷰
마이리스트
마이페이퍼
서재
나의서재
l
전체글보기
보관리스트
구매리스트
방명록
서재브리핑
l
찜한 글
즐겨찾는 서재
내가 남긴 댓글
누군가가 남긴 댓글
먼댓글 브리핑
서재관리
l
나의 정보
카테고리 관리
레이아웃/메뉴
스킨/디자인
친구
오늘의 마이리스트
방문자 통계
글쓰기
l
리뷰
마이페이퍼
마이리스트
즐겨찾는 서재
l
savvy?
https://blog.aladin.co.kr/759587183
글보기
l
서재브리핑
l
서재관리
l
북플
x.com/greco_roman_ -
그레코로만
마이리뷰
읽은책들
마이페이퍼
마이페이퍼
방명록
서재 태그
1984
건강
김영사
내몸사용설명서
내몸아름답게만들기
만성피로
만원의행복
식단
신간
신경성
아름다움
에너지
열린책들
의학서
절약
치아
타임북스
펭귄클래식
하루1달러로먹고살기
youbeingbeautiful
2007
8
powered by
aladin
wrong continent?『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l
읽은책들
댓글(
0
)
그레코로만
(
) l 2011-12-04 16:02
https://blog.aladin.co.kr/759587183/5255857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 일중독 미국 변호사의 유럽 복지사회 체험기
토머스 게이건 지음, 한상연 옮김 / 부키 / 2011년 10월
평점 :
차라리 한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라고 하자.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의 미국의 자리에 한국을 넣어도 비슷할 테니까. 유럽보다는 미국의 노선과 루트를 그대로 따라하는 게 한국 아니던가. 새로운 즐거움을 맛보려는 부자들과 좋은 교육을 받은 혁신적인 사람들은, 그들의 삶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을 거다. 책에서 보여지듯 ㅡ 유럽과 비교하면 ㅡ 내는 세금에 비해 받는 혜택은 훨씬 적고, 1인당 GDP는 높지만 그 증가분의 3분의 2 이상이 부자에게만 돌아가며, 연간 평균 노동시간이 더 많아서 쉴 여유가 없지 않나. 세상에 공짜로 식사를 할 수는 없으며 시장은 일대일의 맞교환을 원한다. 어쨌건 코멘트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신자유주의와 정치라는 두 가지 명제이다. 위에서 언급했듯 이 책은 <미국vs유럽>이지만 사실상 <한국vs유럽>이라 보아도 무방한 이유다. 저자만 해도 두 달간 일을 쉬고 유럽으로 떠날 생각이라는 말에 친구들의 반응은 하나같이 「그럼 사무실은?」이었다……. 유럽식 사회민주주의는 세금을 많이 내지만 돈을 더 아낄 수 있다. 퇴직연금, 의료보험, 교육, 대중교통, 보육... 이러한 공공재가 따라오는 거다. 그럼 미국(한국)은? 다 내 돈으로 해야 한다. 즉 명목상의 1인당 GDP만 높을 뿐 늘 빚더미에 깔려 사는 거나 마찬가지다. 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게 아니라, 돈을 갚기 위해 일하는 꼴이다. 미국과 유럽이 점점 더 닮아 가고 있다는 건 정말 터무니없다는 저자의 말이 실감나는 이유다. 한 독일 회사에 관리직으로 취직한 미국인이 「회사에 들어가니까 1년에 6주의 휴가를 누릴 수 있다는 고용계약서야 서명하라고 하더군요.」라고 했던 일화 역시 그것을 반증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우연하게도 같은 미국과 관련된 책 『팍스 시니카』를 함께 읽게 되었다. 정말 더 이상 팍스 아메리카나는 없고 이제는 팍스 시니카일까 하면서 어떤 의미로는 몰락(!)해가는 미국을 엿보았다.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미국의 쇠락을 점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경제력, 군사력 등은 여전히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압도적이다 ㅡ 실제로 현재 미국의 경제규모는 세계 전치의 4분의 1에 이른다. 그러나 우리는 얼마 전 놀라운 경험을 했다. 백악관과 의회가 가까스로 국가부채 상한 증액에 합의해 디폴트 위기를 넘기기 전까지 미국의 국가부채 상한은 14조 3천억 달러였고, 2010년 미국 국내총생산 총액 14조 6천억 달러를 거의 모두 쏟아 부어야 할 정도로 심각한 것이다. 디폴트? 모라토리엄? 그리고 정치? 복지? 글쎄, 나는 잘 모르겠다. 최소한 이미 미국 대륙에 한 발을 담그긴 했지만 다시 한 번 모든 것을 결정할 필요는 충분하지 않을까?
댓글(
0
)
먼댓글(
0
)
좋아요(
0
)
좋아요
l
공유하기
트위터
페이스북
프린트 하기
E-mail로 보내기
l
찜하기
l
ThanksTo
먼댓글 주소 :
https://blog.aladin.co.kr/trackback/759587183/5255857
먼댓글바로쓰기
리뷰로 쓰기
페이퍼로 쓰기
리스트로 쓰기
주소복사
ㅣ
소셜 링크 설정
트위터 계정을 알라딘 소셜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트위터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소셜 링크 설정
페이스북 계정을 알라딘 소셜 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페이스북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서재지수
: 34177점
마이리뷰:
463
편
마이리스트:
0
편
마이페이퍼:
40
편
오늘 0, 총 62777 방문
오늘의 마이리스트
선택된 마이리스트가 없습니다.
최근 댓글
책을 좋아하신다면.. ..
책꽂이 하나는 열책 전..
어렵다는 말씀과 달리 ..
그러네요..얘깃거리로...
오~!!멋진 얘기입니다...
해리는말그대로악을쫓..
재미있어요^^♥
미리보기로만 봐도 아..
이와 연계해 노순택 작..
피파 마피아는 사실 드..
먼댓글 (트랙백)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