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폭주 기관차 같긴 하다. 박범신 작가의 말대로 <내면화 경향의 90년대식 소설들이 아직 종언을 고하지 않고 있는 현 단계에서> 나왔기 때문에 더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7년의 밤』이 문학적으로 어필하는 수준은 자칫 뜬구름 잡는 적확성 없는 불특정 다수의 졸작들에 비한다면 꽤 높다고 본다. 밀도와 서사, 인물의 특성과 촘촘한 얼개가 작품을 지탱하는 근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더욱 그렇고. 개인적으로 생각되는 아쉬운 점은, 체호프였던가 누군가가 말했듯 작품에서 총이 등장했으면 반드시 발사되어야 한다고 봤을 때, 등장인물 최현수의 직업이 야구선수 ㅡ 경비업체로 가는 과정과 그 이후의 것이다. 최현수의 완력이 야구선수의 이력으로써 드러나는 건 오영제와의 격투 장면과 소설에서 설정된 <용팔이> 뿐이다. 그래서 왠지 <운명이 난데없이 변화구를 던진 밤>은, 야구를 보다가 혹은 야구 얘기를 듣다가 <변화구>를 <운명>이란 단어와 매치시켜 사용하기 위해 최현수의 전직을 야구선수로 설정한 데서 나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여담이지만, 소설은 사와키 도고沢木冬吾의 『천국의 문天国の扉』과도 닮아있다. 『천국의 문』은 아직 국내 번역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이 『7년의 밤』과 비슷한 정서를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대물림에 의한 복수, 스릴러의 느낌, 그리고 사형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하기 때문에 더 그렇게 느껴졌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내면화 경향의 90년대식> 사유가 조금만 더 부각되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닥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타입이 아닌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