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박찬욱 감독의 신작 <박쥐>를 본 소감을 묻는다면, 지루하고 따분하다, 라고 대답할 겁니다.
 
감독이 매너리즘에 빠진 것인지 아니면 관객의 변덕 때문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암튼 <친절한 금자씨> 이후 박찬욱 감독의 작품은 신선함을 잃어가기 시작했습니다.
구질도 익숙한데다가 수싸움마저 밀린 투수의 볼배합처럼 다음 공이 무엇을 날아들지 예상이 가능하니 밋밋하고 싱거울 수밖에 없습니다. 화면에서는 피가 뿜어져 나오고, 뼈가 부러지고, 목이 꺾이고, 여배우의 젖가슴이 심심치  않게 보이고, 남자 배우의 성기가 노출되는데도 말입니다.

<박쥐>를 보면 떠오른 레퍼런스는 비스콘티의 <강박관념>(혹은 케인의 <우편배달부는 벨을 두 번 울린다>)과 여러 뱀파이어물, 70년대 한국영화(혹은 <여죄수 사소리> 시리즈 같은 일본영화), 크리스티의 소설 등이 박찬욱 감독 식으로 ‘우스꽝스럽게’ 뒤섞여 있습니다.
문제는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각 작품에서 빌려 온 아이디어가 그냥저냥 조화를 이루는 수준에 머무릅니다.  

 

 

 

 

 

 

 


솔직히 기대했던 뱀파이어와 팜므파탈의 캐릭터는 평범하기 그지없었습니다. 뱀파이어의 고뇌를 더욱 흥미롭게 맛보려거든 앤 라이스의 '뱀파이어 연대기'를 읽는 것이, 악녀를 만나려거든 케인의 소설을 보는 것이 훨씬 즐거울 겁니다. 그러니까 <박쥐>는 어느 것도 기대에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야기는 허약하기만 합니다. 애초에 박찬욱 감독에게 잘 짜인 플롯을 기대하는 것이 현명치 못한 짓이겠지만 최소한 작품을 끝까지 끌고 가는 힘은 존재해야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못했습니다. 이야기가 거칠다보니 감독의 스타일이 더욱 눈에 잘 들어오기는 하더군요. 하지만 눈에 보이는 건 스타일의 과잉이었습니다.
국적 불명의 의상과 세트, 배우들의 과장된 연기, 문어체식 대사, 과도한 카메라 이동, 반복되는 엇박자 편집, 고상함과 천박함을 오가는 음악, 태어나서 한번도 해본적 없는 마작, 붉은 핏빛 바다에 헤엄치는 고래의 이미지... 솔직히 지겨웠고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고, 알고 싶지도 않았습니다. 영화 속의 배우들만 울고, 웃고, 떠들고 심각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올드보이>가 성공할 수 있었고 관객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얻어낼 수 있었던 건 바로 이야기의 힘이 크지 않았나 싶습니다. 탄탄한 힘이 감독의 스타일을 더욱 돋보이게 만들었던 거니까요. 참 이야기의 힘이란 게 ‘반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란 건 부연할 필요는 없을 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박찬욱 감독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창조적인 연출을 하는 감독이 아닌가 싶습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관습을 이용하고, 벗어날 줄 아는 감독이라는 생각입니다. 이런 감독이 매너리즘에 빠져 겉멋부리기의 세계에서 허우적거리지 않았으면 합니다. <박쥐>는 익사 직전의 조짐이 보였기에 지루했고 아쉬웠습니다.  

영화가 끝나고 극장을 나오는데 뒤에 따라오던 여자가 남자친구에게 민망해하며 이러더군요. "미안해~". 미안해할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감독이라면 이런 상황이 민망하겠지만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orgettable. 2009-05-02 2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맞아요 맞아- 영화 보기 전에 스포는 되도록 피하는 편이라 영화보러 나가기 전에 이 글을 제목만 보고 클릭하지 않았었는데, 읽고 갔으면 영화 내내 이 페이퍼만 생각했을 것 같군요^^;;

lazydevil 2009-05-03 14:20   좋아요 0 | URL
책이나 영화나 되도록 스포는 빼고 정리하려고하는데 은연중 삐져나오곤 합니다. 암튼 영화는 포켓터블님처럼 관련 글을 보지 않고 감상하는 게 현명한 거 같아요.^^;
포겟터블님 반갑습니다~~^^

쥬베이 2009-05-09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 못봤어요. 얼른 봐야지ㅋㅋㅋ
'여배우의 젖가슴이 심심치 않게 보이고,' 이 부분! 기대됩니다ㅎㅎㅎㅎㅎ

lazydevil 2009-05-10 11:00   좋아요 0 | URL
박찬욱이라는 이름을 빼고, 큰 기대 안하면 그럭저럭 볼만 합니다.
그리고, 김옥빈양... 영화 속에서 고생이 많더군요.^^

[해이] 2009-05-26 2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처음 뵙네요^^ 전 내일 박(찬욱)쥐를 보러갈텐데 긴이 좀 빠지네요... 물론 박찬욱한테 별 기대하는건 없지만 ㅎㅎㅎㅎㅎ

lazydevil 2009-05-27 09:46   좋아요 0 | URL
기대를 두고 가시면 그런대로 괜찮을 겁니다. 칸 수상작이잖아요~~^^(헉~ 나도 모르게 약간의 비아냥이^^;)
해이님 반갑습니다...^^/
 


  

얼마 전 읽은 모일간지에서 <그랜 토리노>가 미국인들의 유색인종에 대한 편견이 드러난 작품이라는 요지의 칼럼을 읽을 적이 있습니다. 영화를 보지 못했던 터라 ‘그런가 보다’하고 넘겼지만 배우이자 감독인 클린트 이스트우드를 좋아하는 터라 마음이 쓰였습니다.
며칠 후 <그랜 토리노>를 봤습니다. 작품의 완성도와는 별개로 자연스레 유색인종에 대한 편견이 또 다른 관전 포인트가 되었죠.

결론부터 말하면, 이 작품은 유색인종에 대한 거친 묘사와 욕설로 가득한 영화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현실의 단면을 사실적으로 담은 것일 뿐입니다. 결코 편견이나 악의적으로 비하하려는 의도를 읽을 수 없었습니다. 이 영화를 보고 난 후 인종주의에 대한 편견 때문에 화가 치밀었다면, 똑같은 돈을 내고 영화의 알맹이를 놓친 자신에게도 화가 나야할 겁니다.


 

영화 속에서 주인공 백인영감이 옆집 동양인들을 보고 내뱉는 첫 대사는 “쥐새끼같은 것들!”이라는 욕설이고, 침을 찌익~ 내뱉은 걸로 매조지합니다. 확실히 유색인종에 대한 편견으로 똘똘 뭉친 주인공이죠.
그런데 이런 인물은 동양인 이웃을 만나며 변하기 시작합니다. 자식과 손자들에게 얻을 수 없는 위안과 사랑, 감사를 이민 온 동양인 가족들에게서 느끼는 거죠. 결국 쥐새끼같은 이웃을 위해 갱들과 맞서죠.

동양인 이웃을 괴롭히는 갱들은 백인이 아닙니다. 같은 민족인 동양계 갱이죠. 그러니까 백인영감 아저씨는 제 삼자 일뿐인데 어쩌다가 일에 얽혔고, 이웃에 사는 ‘쥐새끼들’에 대한 호의로 갱들을 혼내주죠.
문제는 그가 끼어들어 무력을 행사함으로써 일이 더욱 심각해졌다는 겁니다. 화가 난 갱들은 이웃집 가족에게 끔찍하게 보복을 했으니까요. 이에 주인공인 백인영감은 큰 충격을 받습니다. 평생 자신을 지켜온 신념이 흔들린 거죠. 자기가 과시한 힘이 부메랑처럼 날아들어 자기가 보호하려던 사람들의 가슴에 꽂혔으니까요.

그는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다른 나라 전쟁에 뛰어들었고 서슴지 않고 방아쇠를 당겼습니다. 그것은 국가인 미국을 위한 길이었고, 민주주의를 위한 길이었으며, 지금까지 그렇게 믿어왔습니다. 미국은 그럴 만큼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고, 지금도 가지고 있으며, 그렇게 믿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도리어 그 힘은 그에게 상처를 안겨주었습니다. 이번에도 말이죠. 그는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뼈아프게 인정합니다. 결국 백인영감은 자기가 벌린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갱들과 맞서기로 합니다. 다만 이번에는 총을 놓고 참회와 희생이 무기입니다. 더티 하리가 틀렸고, 간디가 옳았다는 것을 깨달은 셈이죠. 


 

영화가 끝날 즈음 관객들은 동양인 이웃을 구한 것은 주인공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오히려 백인영감이 ‘쥐새끼들’덕분에 자신의 죄를 진심으로 참회하고 구원을 얻죠. 이런 통렬한 반성이 엿보이는 작품에서 백인우월주의를 운운하는 것은 눈감고 영화를 본거 마찬가지입니다.

보수적인 백인영감으로 그려진 주인공이 '코왈스키'라는 성을 가진 폴란드계 이민계 출신이라는 설정도 의도적입니다. 아시다시피 폴란드인은 유대인 못지않게 미국 사회에서 조롱거리가 되는 민족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 영화에는 이탈리아계, 인도계, 흑인 등 다양한 민족들이 등장합니다. 그들 중에는 착한 사람, 나쁜 사람, 나약한 사람, 현명한 사람, 용감한 사람이 뒤섞여 있습니다. 어딜 가나 사람 사는 곳은 다 그렇잖아요. 여기에 순수 앵글로색슨계의 백인만 쏙 빠졌다고 인종주의 어쩌구 시비를 거나요?

코왈스키 영감이 도와주는 동양계 이웃이 일본인이나, 한국인, 중국인이 아닌 아시아의 소수민족인 몽족이라는 것도 의미심장합니다. 그들은 중국, 베트남, 태국 등지에 흩어져 사는 소수민족으로 특별히 국가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코왈스키 영감이 “미국에는 왜 왔냐?”라고 묻자 “베트남 전쟁 때 미국을 지지했다고 살던 곳에서 쫓겨났다. 그때 당신들이 선교사가 우리를 데리고 왔다.”고 말합니다. 그들이 원해서 미국인이 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합니다.

영화의 마지막, 보수적인 미국인 폴란드계 백인영감 코왈스키가 남긴 '위대한 유산'인 그랜 토리노 72년식을 타고 질주하는 것은 백인 아들이나 손자가 아닙니다. 이제 이웃이 되어버린 이민계 미국인인 몽족 젊은이입니다. 편견이 담겨있지도 않고, 아이러니하지도 않고, 진보적이지도 않습니다. 다만 현실을 직시하고 있은 태도일 뿐입니다. 이 젊은이는 누가 뭐래도 미국인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