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거리 。。。。。。。           

 

     제약회사에서 영업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제이미. 어느 날 새로 개발된 약을 판매하기 위해 들어간 병원에서 운명처럼 매기를 만난다. 젊은 나이에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매기는 매력적인 제이미의 대쉬에 호감을 갖고 있긴 했지만, 자신의 병으로 인해 진지한 사이로의 발전에 관해서는 좀처럼 쉽게 마음먹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런 매기까지도 품어주려는 제이미의 노력에 조금씩 마음을 열기 시작한다.

 

 

 

2. 감상평 。。。。。。。                    

 

     딱 겨울에 볼만한 영화. 파킨슨병이라는 불치병을 앓고 있는 여자와 그녀를 사랑하는 남자의 이야기를 그리면서도, 눈물을 짜내기보다는 아름다운 장면을 담아내려는 감독의 의도는 확실히 영화를 보는 사람을 덜 불편하게 만든다. 적당히 공감하고, 적당히 슬퍼하고, 적당히 해결되는 영화를 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생각을 잘 읽어냈다고나 할까. 여기에 열연을 보여준 두 주연배우의 활약은 이 영화를 그저 그런 영화보다는 낫게 만들었다. 영화의 결말이 ‘그들은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라는 식의 동화적 얼버무림으로 끝난 것 같은 느낌이 없지 않지만, 뭐 나쁜 결말은 아니었다.

 

 

 

 

     개인적으로는 영화 속에서 약을 구입하기 위해 캐나다행 버스를 타고 1박 2일의 여행을 정기적으로 해야 하는 매기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의료를 공공서비스로 여기고 정부가 나서는 나라와 돈벌이의 수단으로 여기는 나라의 차이가 드러나는 장면. 어지간한 부자가 아니면 매기와 같은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은 좀처럼 버텨내기 어려운 나라가 미국이기도 하다. 하긴 그녀의 남자친구인 제이미의 직업이 바로 그런 의료산업의 첨병인 제약회사 영업사원이었다. 꽤나 생각해 볼만한 부분이기도 한데, 영화 속에선 그냥 언급만 하고 넘어가버린다.

 

 

 

 

     병(病)을 이겨내는 사랑의 힘. 메시지는 좋다. 단순히 상대의 몸을 탐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약함까지도 품어줄 수 있는 진정성이야말로 사랑의 핵심가치임을 옳게 지적하고 있기도 하다. 물론 그에 반해 만나자 마자 마음에 들면 잠자리부터 갖고 보는 몸에 대한 가벼운 가치관은 일종의 이원론을 보여주고 있으니 새겨 봐야 할 부분이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int236 2012-04-30 2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 앤 해서웨이는 파킨슨 병에 걸려도 예쁜건가요? 항상 궁금했던 것입니다.

노란가방 2012-04-30 23:20   좋아요 0 | URL
ㅋㅋㅋ 영화니까요.
 

 

우리는 부를 더 많이 나누어 가지려면

그 전에 먼저 ‘더 많은 부’를 창출해야 하며,

신자유주의야말로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이야기를 되풀이해서 들어왔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적 정책의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득 불평등은 증대한 반면,

성장은 사실상 크게 둔화되었다.

 

- 장하준, 『나쁜 사마리아인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흔히 영적인 훈련을 받게 되면

자백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는 현상을 본다.

왜냐하면 영적인 훈련은 겸손함에 이르는 길이기보다는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 잘못 생각하고

영적인 삶 자체에만 매혹을 느끼기 때문이다.

 

- 『심리학, 신학, 영성이 하나 된 기독교 상담』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땅은 천국으로 넘쳐난다.
모든 광장의 떨기나무는
하나님으로 인해 불타오른다.
그러나 오직 그것을 보는 자만이
자신의 신을 벗는다.


 


Earth's crammed with heaven,
and every common bush afire with God;
but only he who sees, takes off his shoes.
-Elizabeth Barring Brown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니체는 피로 쓴 책을 좋아한다고 했다.

하지만 피로 쓴 문장은 아마 없으리라.

글은 어차피 먹으로 쓴다. 피로 쓴 것은 핏자국일 뿐이다.

핏자국은 물론 글보다 격정적이고, 직접적이며 분명하다.

하지만 쉽게 변색되고 지워지기 쉽다.

문학의 힘이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 루쉰, 『희망은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