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봉, 서태지와 트로트를 부르다 - 이영미의 세대공감 대중가요
이영미 지음 / 두리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문화평론가 이영미 선생은 어릴 적부터 <쇼쇼쇼> 등의 TV 가요프로그램을 섭렵하다가

결국 우리나라에서 독보적인 대중가요 평론가가 됐다고 한다.
 

첫 대중적 저작물인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이후

이영미는 대중가요를 소재로 한 탁월한 저서를 여럿 내놓았는데,

<세시봉, 서태지와 트로트를 부르다>도 그 중 하나다.

이 책은 나이든 세대가 왜 트로트를 좋아하는지,

포크 세대가 트로트에 학을 떼는 이유는 뭔지 등등

세대에 따라서 좋아하는 노래가 다른 이유를 예리하게 분석하고 있다.


<세시봉>을 보면서 무릎을 쳤던 건

대중가요가 우리 사회의 역사를 이야기해주는 좋은 수단이란 사실.

하기야 대중이 좋아한 노래들은 그 당시 상황을 반영하기 마련,

70년대에 "꽃피는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같은 노래가 공감을 얻은 이유는

내집 마련에 대한 꿈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나이가 나이니만큼 이 책에서 다룬 노래들을 대부분 알고 있다는 것도

내가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이유였다.


전공이 전공인지라 이런 묘한 생각을 하게 된다.

노래로 사회를 이해하는 게 가능하다면

기생충으로 우리 역사를 한번 다뤄보면 어떨까?

한 30초쯤 생각하다 고개를 저었다.

6, 70년대엔 회충과 편충이 유행했고,

80년대부터는 간흡충이 1위로 나섰지만,

진정한 1위는 요충이라는 게 내가 아는 기생충 역사의 전부인데,

이걸 가지고 할 얘기가 뭐 그리 많을까 싶다.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주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남들이 흥미를 가질만큼 사례를 많이 접해본 것도 아니니 말이다.

게다가 써야 할 밀린 책들이 수시로 날 독촉하는 현실을 생각하면,

새로운 책에 대한 발상은 당분간 접어야 마땅하리라. 



참고로 말하면 지난 여름에 쓴다고 공언했던 '현대기생충백서'는

딱 한페이지 쓰고 때려 치웠고,

그 한페이지를 쓴 이유도 아내가 "그러다 한 장도 못쓰고 여름 다 가겠다"고 놀려댔기 때문인데,

그러고보면 알라딘에다 하루 3-4편의 글들을 매일 써댔던 2004년의 한가함이 부러워진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amoo 2011-11-14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진정한 1위는 요충이었던 것이군요! 하하, 이런 책 내도 유익할 것도 같은데요...짧은 분량인 문고본으로 내시면 딱 일거 같은데요~ 살림지식총서의 한 권으로 제격일 것 같습니다. ㅎㅎ

현대기생충백서...이거 기대하고 있는데, 딱 한페이지 쓰시고 때려 치우면, 기다라고 있는 사람은 뭐가 됩니까...ㅋㅋ 마테우스 교수님, 어여 분발을!!^^

마태우스 2011-11-15 12:46   좋아요 0 | URL
야무님 죄송합니다. 내년 안에는 꼭 책을 내겠습니다. 강의분량이 갑자기 늘어난 탓에 책쓰기가 많이 어려웠습니다. 여름 내내 기생충을 뒤진 것도 이유가 되구요. 내년엔 꼭 책을 내도록 할게요 연구는 조금만 하구, 책을 열심히!!

이진 2011-11-15 0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공이 전공인지라 우리 역사를 기생충으로 다루시다니 참신한걸요 ㅋㅋㅋ

우와 현대 기생충 백서... 정말 읽고싶은데요? 그걸 읽고나서는 제 생활태도가 바뀌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ㅋㅋㅋ

마태우스 2011-11-15 12:46   좋아요 0 | URL
소이진님 제가 댓글을 달 때마다 님 댓글을 봤습니다. 드디어 제게도 님 댓글이 달렸네요^^ 하도 자주 봐서 오래된 친구같은 생각이 듭니다. 책 열심히 쓰겠습니다 꾸벅

책가방 2011-11-15 0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들이 (똥)얘기를 좋아하잖아요. 그런 맥락에서 기생충얘기를 동화나 그림책으로 써 보면 어떨까요?
깊이있는 내용을 담을수는 없겠지만 후학을 미리 양성한다거나 청결과 관련하여 기대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네요..^^

(꽃피는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저 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마태우스 2011-11-15 12:48   좋아요 0 | URL
동화나 그림책이라... 것두 좋은 의견이네요. 근데 그 책을 보고 애들이 기생충을 전공할 마음이 생길까요. 글구 '저 푸른'이군요. 호호. 부끄러워라. 꽃피는 초원이라니, 다시 보니 웃겨요!

stella.K 2011-11-16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 왜요, 마태님은 충분히 그에 못지 않은 일을 하신다고 봐요.
누가 기생충에 관한 이야기를 마태님만큼 재밌고 웃기게 쓸 수 있겠습니까?
한마디로 대중에게 먹히는 글을 쓰고 계시잖아요.
자신감을 가지세요.ㅋ
이런 책이 있었군요. 그렇다면 저자는 요즘 절찬리에 방송하는
나가수와 불후의 명곡2를 어떻게 평할지 모르겠어요.
전 그 두 프로 빼놓지 않고 보는데 누가 이걸 가지고 글을 쓰는 사람이 없을까?
궁금해하고 있답니다.^^
아, 근데 왜 2004년이 그리우신건지...?

2011-11-15 2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노이에자이트 2011-11-15 18: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마태우스 님 또래들도 남진을 좋아하는 세대는 아닌 것이 드러나는군요.'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로 시작하는데...저는 최근 2년 간 인터넷을 통해 남진 노래 30곡 정도를 새로 알게 되었답니다.

마태우스 2011-11-15 21:21   좋아요 0 | URL
어맛 전 그런 세대가 절대 아니옵니다. 남진 얼굴도 기억 안나구요, 나훈아 노래는 노래방에서 배웠답니다. 전 절대 그런 사람이 아니옵니다^^

민세민석아빠 2011-11-20 15: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드뎌 기생충 백서를 집필하시는 군요... 좋은 작품을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