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준처럼 - 목숨을 걸면 세계가 내 손 안에 대한민국을 바꾼 경제거인 시리즈 5
이경윤 지음, 조용경 감수 / FKI미디어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박태준처럼

작가
이경윤
출판
FKI미디어
발매
2013.05.01

리뷰보기

 박태준이라는 이름을 빼고 한국경제사를 논하는 것이 가능할까? 넘버원은 아니었지만 웬만한 넘버원보다도 강력한 추진력과 카리스마, 리더십으로 허허벌판에 세계적 수준의 제철소를 세워낸 그의 이야기다.

 얼마전 다른 책을 읽다가 쌈짓돈으로 쓸 수도 있는 자금으로 포스코를 설립했다는 얘기를 듣고 감탄을 했었다. 좀더 알아보고 싶어 간략하게 나온 이 책을 읽어봤다.

 어렸을 때부터 어렴풋이 알고 있던 사람인데다가, 불과 몇 년 전 세상을 떠난 사람인지라 그 거대한 존재감에 대해 별다른 의식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 사람 알면 알수록 대단한 사람이다. 

 모두가 안 된다고 말리는 사업을 뚝심있게 밀어붙여 굉장히 빠른 속도로 무에서 유를 창조해냈는데 그 과정에서 세심함을 잃지도 않았다. 예나 지금이나 아랫사람들을 완벽히 컨트롤하는 건 굉장히 힘든 일인데, 문제가 생길 때마다 혹은 문제가 잠재해 있으면 발빠르게 대처해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필요할 때마다 강경한 모습과 유화적인 모습을 조화시켜가며 포스코를 만들어낸 그의 인생은 정말 멋있다. 그 후대에서는 어찌 라면킹같은 새끼가 나왔는지.. 본인은 평생을 청렴하고 강직하게 살았다.

 포스코가 대단한 것 중 하나는, 설립 첫 해에 흑자를 냈다는 것이다.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장치산업에서 어찌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지금 봐도 신기하기만 하다. 둘째 해에는 매출이 2.5배, 순익은 7배 늘어나며 그야말로 기적을 창조해낸다. 

 중간중간 나오는 연도들을 보니,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일들이다. 한강의 기적은 과거여서 가능했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많은 것 같은데, 여전히 현재진행형이고 미래에도 지속시킬 수 있을 지도. 

 제2, 제3의 박태준은 어디 있는 걸까? 천리마는 유구한듸 인걸은 있고없고. 국가의 명운이라는 것이 있어 인재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면 분명 어딘가 있을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스트 스마트폰, 경계의 붕괴 - 3년 후 IoT 전쟁, 모든 것이 ON되는 세상이 온다
김지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스트 스마트폰 경계의 붕괴

작가
김지현
출판
위즈덤하우스
발매
2013.04.17

리뷰보기

 지금은 세상의 중심이 스마트폰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막상 잘 생각해보면 스마트폰이 세상에 제대로 영향을 끼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과연 스마트폰은 얼마나 더 대세로 남을 것인지, 스마트폰 이후의 세상은 어떤 것일지 궁금하던 차에 책이 나와 읽어봤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이 책은 미래를 얘기하지 않는다. 포스트가 붙었지만 포스트는 아닌, 현재에 관한 이야기다. 미래를 말하려면 적어도 5년 후는 바라봐야한다는 내 기준에서는.

 세계 정보량

 3D 프린터시장은 2011 17억$에서 2015 37억$가 될 것이다. 요놈은 진짜 예측하기가 힘들다.. 다른나라에 비해 우리나라가 이에 대한 관심이 지나치게 적은 것 같아 걱정스럽기도 하면서도, 과연 사람들이 저걸 쓰긴 할까하는 느낌이 들기도..

 한국 사용자는 평균 3.8개의 스크린을 사용. 생각보다 너무 많다. 매니아들이 수십개씩 쓰는 건가.. 멀티스크린과 라이프스타일

 스마트폰 2~3시간, PC 1~2시간, TV1시간, 시간대별 사용량

 2010 출판시장은 1.4조, 2011 8% 감소. 스마트폰 성장으로 무가지가 타격을 입었다는 것은 생각지 못한 발견이다. 과연, 타격이 심하겠지..

 타블렛을 굉장히 고평가해놨던데 나는 회의적이다. 스마트폰과 중첩되는 부분이 많고 휴대성은 달리는 애매한 포지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등장과 함께 그냥 사라질 디바이스라고 생각한다.

 포스퀘어는 800만 액티브유저와 200만달러수준의 매출 LBS. 모바일 광고 전문 플랫폼인 다음의 아담, 카울리, 애드몹 등은 월 300억 이상의 PV를 확보(PV가 뭔지 설명을 안해놨네.. 페이지뷰를 말하는 것 같다.

한국 IDC 자료. 2010 1Q 랩탑70만, 노트북87만(전체 연500만). 2012까지 판매된 태블릿은 200만(같은 기간 노트북의 30% 이상)

 4, 7~10, 40인치 스크린이 디지털시대를 주도할 것. 스마트폰 : 태블릿 : PC = 5 : 3 : 2

 태블릿 : 30대남성 직장인, 20대 구매력있는 학생. 집 거실소파, 침대위, 사무실, 회의실, 커피숍. PC, TV사용시간과 겹침(저녁식사 후 7~9시)

 2020년에는 40억명이 310억 디바이스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것. 너무 크게 잡은 것 아닌가..?

 제조공장 중개 makersrow.com  tumblbug.com ivdea.com   hs-ideamarket.co.kr

스페로. 별 쓸모없을 것 같기도 하고 뭔가 쓸모가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스퀘어의 기업가치는 32억 5천만 $. 스타벅스가 300억 투자

 BC카드도 창업 데이터를 제공한다

 중 러 일 베 한 이외엔 구글이 압도(국내 모바일검색시장에선 10%) . 국내 페북 사용자 천만, 트위터 500만. 

 페북 200개국 수백만 개발자들이 80만 앱 개발(앱스토어 60만)

무가지와 PMP, MP3P, 내비게이션...상가수첩

 통찰력을 얻는 경로. 미씨하진 않지만 그림으로 표현한 게 좋다. 전문가의견, 소비자반응, 최신뉴스를 통해 

 

ICT 변화의 속도는 가속되고 있다.

네이버 모바일검색매출은 1200억(전체의 10%) 모바일광고시장 50%를 장악한 다음의 아담은 500억 목표

 태블릿을 너무 고평가한 것 아닌가.. 그냥 크기만 키운 스마트폰인데.

 IPTV 사용자가 600만을 넘는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회심의 일격 프레젠테이션 - 청중의 머리채를 확 휘어잡는
남기만 지음 / 내안에뜰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서평을 쓰려고 보니 제목이 굉장히 도발적이다. 머리채를 확 휘어잡는 얘기는 책 상단에 조그맣게 배치한 센스가 돋보인다. 그냥 얼핏 보면 평범한 제목만 눈에 들어오는지라 놀랐다. 
 프리젠테이션 능력은 분명 커다란 경쟁력이 된다. 한편으로는, 과연 책에 무슨 내용이 담겨있을까 약간 고까운 마음으로 읽기 시작한 면도 있다. 나는 이 저자의 발표를 듣거나 본 적이 없기에 사실 큰 기대는 하지 않았다. 이런 류의 책을 짓는, 강의로 먹고사는 저자들의 목적이 자기 이름 알리는 데 있는 경우가 가끔 있었기에 조금 경계하기는 했지만 책 전체 내용은 나쁘지 않았다.

 3단구조 설계. 도입에서 흥미와 공감대를 형성해 기대감을 올리고 안내한다. 구분, 논리적, 구체적으로 전개한다. 마무리 요약에서 행동을 요청하고 강의를 떠올릴 수 있는 감성포인트를 만든다.

 3초이내에 핵심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라. 청중은 위에서 아래로 내용을 평가한다.

 사진은 왼쪽에, 크기는 화면의 반 정도로

 좋은 인포그래픽 사이트, 오피스온라인

 딩벳폰트를 이용한 인포그래픽

 200자원고지 5매를 3분 만에 읽는 속도가 최적

 윈도키와 P를 눌러 복제를 누르면 바로 프리젠테이션 가능. Alt Shift로 슬라이드 미세조정

 강의 시작 전 대기시간도 관리하라는 내용이 특히 와닿았다.
  온오프믹스에서 Talk Mix를 설정해보라. 첨단기술이 필요한 줄 알았는데 예상외로 쉬울지도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셜미디어 마케팅으로 승부하라 - 당신이 최고의 마케터를 꿈꾼다면
배운철 지음 / 정보문화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소셜미디어 마케팅으로 승부하라

작가
배운철
출판
정보문화사
발매
2012.05.30

리뷰보기


 실전에서 SNS 마케팅을 시행해봤는데 생각과는 다른 부분들이 나왔다. 제대로 탐구해보고자 책을 읽어봤다.

 소셜미디어 마케팅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는 말에 완전히 동의는 못하겠지만 어느 정도는 동감한다. 또, 앞으로 그 중요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도.

 누구나 중요성은 알고 있지만, 제대로 활용할 줄은 모르는 소셜미디어 마케팅에 대한 한국상황에 맞는 책이라길래 기대가 컸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바로바로 써먹을 수 있는 즉효약이라기보다는 소셜미디어의 전체적인 의미와 사용법에 대해 차근차근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책이다.

 '좋은 케이스는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라는 대목을 읽고는 좀 뜨끔했다. 하긴, 케이스마다 다 다른데 바로 통할 비법만을 찾아 읽겠다는 건 욕심이겠다.




 브로드캐스트와 배너, 네트워크

 화장품 키워드 연간 조회수 추이. 이런 특성을 가진 키워드는 키워드광고 외에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으로 트래픽을 분산시켜야한다는데 이유는 솔직히 잘 이해가 안 되네..

 워드프레스 사이트 운영현황. 생각보다 많지 않네? 어딘가에 적어둔 메모가 있을텐데..

 온라인 이용자의 55%가 페북이용(SNS사용의 75%, 웹 사용의 15% 시간). 브라질(Orkut), 일본폴란드한국러시아베트남중국 외엔 천하통일

 페북 3.5억 모바일, 2.5억사진. 

 현재 8억 돌파

 구글 플러스의 한계에 대한 얘기가 많이 들려오는데 흠..

 미국디스플레이광고 시장

 9 5천만 매일 트위터 이용(55%는 모바일)



 2012 2 시즈널 키워드

 한달 평균 300억 건 정보, 180개국 1백만 개발자가 55만개의 앱을 개발하는 페북. 모바일 이용자가 2배 이상 적극적

 SNS 라이팅 사례. 제목 강조 대괄호, 한 줄 띄고 설명내용작성. 짧은링크 첨부해 분석

 페북 블로그앱 연동

 App ID를 기억해야 탭추가가 가능하다

 2007 매분 6시간 분량, 2010 24시간, 2012 60시간 분량 업로드

 2012 기준 유튜브 이용자는 20분 체류. 채널기능은 구글 TV를 위한 포석이라는데..

 700억 TV광고시장과의 경계에 도전하는 구글. 한국에선 MBC와 손잡았다. 채널, 태그구독법

 검색결과 구독법


 페이스북 대륙은 아시아 다음으로 크다. 미국인구의 2배, 브라질 인구의 4배

 페북 가입자 수와 국가별 인구수

 페북 매출50억은 애플 1080억, 구글 360억에 비하면 적다. 광고비중은 89%, 페북 크레딧 11%

Tasti-D-Lite 트위터, 포스퀘어 연동 로열티프로그램. 포스터 빨리 찍어 올리기 이벤트

  issuu.com



 소셜미디어 전용 클라이언트 훗스윗(HootSuite) 트윗덱, 시스믹 등과 비슷

 인텔의 소셜미디어 운영가이드라인. 상식, 공개, 방어

 한국의 페북 사용자는 2012 4월 기준 반년만에 261만 증가

 페이스북 커버 디자이너

 커버 포토 메이커 포 페이스북

 '좋아요'앱을 오른쪽에서 두번째로 옮겨 바로 위의 버튼과 통일감을 주라

 오전 9~10시 1824 세대가 참여율이 가장 높다. 비주얼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 탭을 활용하라



 소셜미디어 채널 활용과 매출, 총이익, 순이익 성과비교

 소셜미디어 채널을 많이, 적극적으로 사용하라

 에이스카운터, 로거 등은 유료분석서비스. 포스팅수, 방문횟수(시간대별), 페이지뷰, (순,신규)방문자 등이 기준

2012 1 화장품관련 키워드분석
 

 키워드분석 후 컨셉도출


 짧은주소 익스텐션

 트위터 글자수와 클릭률과의 상관관계(120~130자가 최고)

 링크는 1/4 앞이나 맨 뒤에

 리트윗, 부탁(Please), 확인(Check)가 리트윗이 자주 됨 via, @

14시, 아침저녁 8-9시 클릭률 높음. 5, 11, 12, 22시도

 소셜미디어 카피라이팅

 신뢰성 확보. 2011 전체 트윗의 40%가 모바일, 미국은 12세이상 인구의 반 이상이 소셜미디어 프로필을 지님. 전세계인터넷이용자의 2/3이 소셜미디어 활용

 링크가 있어야 리트윗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티드 Wanted - 당신은 회사가 원하는 인재입니까
데이비드 프리맨틀 지음, 유지훈 옮김 / 비즈니스맵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원티드

작가
데이비드 프리맨틀
출판
비즈니스맵
발매
2013.03.05

리뷰보기

 컴팩트한 소주제로 쓴 책이라 쉬이 읽으며 팁을 건질 수 있을 것 같아 읽어봤다. 대부분의 자기계발서는 내용이 비슷비슷하다는 사실을 떠올리지도 못하고 이성이 거의 마비된 채 책을 선택했으니 어찌 된 영문인지 궁금하다. 표지가 잘 빠져서 그런가.

 

 어쨌든, 내용은 특별할 게 없다. 대부분은 '공자님 말씀'이라는 평가를 해도 무리가 없다. 역시, 실천이 중요한 것이고 글로는 실어낼 수 없는 그 무언가가 중요한 것이지. 그래도 지지부진하게 질질 끌지 않고 핵심만 딱딱 쉽게 짚어놨기에 지루하지 않게 휘리릭 읽을 수 있다. 애초에 이런 류의 서적을 접해본 적이 없다면 읽고 많은 것을 느낄 지도 모르겠다. 또, 다른 사람의 생각이기에 당연한 것이겠지만,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책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 

팀장이 되고 싶다면 심리학을 공부하라.

중역이 되고 싶다면 역사를 공부하라. 

이사가 되고 싶다면 인류학을 공부하라. 

시사주간지는 주당 최소 두 시간은 읽어야 한다.

 왜?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없었지만 나름 이유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