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한국사 1 - 선사.고조선.고구려.백제 키워드 한국사 1
김성환 지음, 김진화 외 그림 / 사계절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학창시절 이런 책을 읽을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랬다면 역사공부 하는 방법이 조금 달라졌을텐데 말이다. 시대별로 키워드를 찾아서 하나씩 하나씩 궁금증을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 좀 더 역사 알아가기에 재미를 가졌을텐데......
무턱대고 달달 외웠던 유적지 이름, 주요 왕들의 업적들 등등... 이 책을 읽다보니, 그 때 외웠던 내용이 하나 둘 기억이 나기는 했지만, 그런 단편적인 지식들로는, 전체적인 역사의 맥락을 이해하기에는 문제가 많다는 거다.
 
이 책을 읽기 전에, ’외우지 않아도 저절로 한 시대의 역사상이 선명하게 그려’진다는, 뒤표지에 쓰인 글을 읽으면서 설마 했더랬다. 역사는 내게 이해가 아닌 완전한 암기 과목이였기 때문인데다, 실제로 참 많은 것을 외워야하지 않는가!
그렇지만, 이 책을 한 번이라도 읽게 된다면, 그 뒤표지에 쓰인 글에 고개를 끄덕이게 될게다. 
한 시대가 그려지고, 앞선 시대와 뒤로 이어질 시대의 연결 고리가 머리 속에 그려지면서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이, 파악이 되는 책이기 때문이다.
 
전 7권인 키워드 한국사시리즈... 본책에서는 선사시대부터 고조선, 고구려, 백제시대까지를 다루고 있으며, 핵심 키워드 30가지를 만날 수 있다.  선사시대 ’우리는 정말 단일 민족일까’로 시작되는 핵심 키워드는 마지막 키워드까지 흥미로운 주제들과 굵직한 역사적 사실들을 다루며, 특히 잘못 인식하고 있던 역사의 부분들을 바르게 잡아주고 사실적으로 설명해 놓고 있다는 점에서 참으로 흡족하다.
 
본문 중에... 각 나라의 주요 특징이나 특산물 등에 대해서 그 뜻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거나 그 이름으로 불리우게 된 이유를 알려 주는 것도 마음에 든다. (예를 들어, 동예의 유명한 말 ’과하마’... 무조건 동예는 과하마가 유명하다.라고 되어 있지 않고, 그 말이 그렇게 불리게 된 이유가 설명되어 있어서, 익숙치 않아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이름이, 쉽게 이해되고 외워진다는 점이다.)
또한, 삼국시대 율령을 반포 했던 왕들을 외우고, 불교를 공인한 왕들을 달달 외우기만 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율령 반포의 의미와 왜 삼국이 모두 불교를 공인하였는지 알게 되어 좋았으며, 이렇듯 역사적으로 그 원인과 과정, 그리고 이어지는 결과를 알게 되니, 맥락 잡기가 참말 수월하다.  
 
핵심 키워드 30개 외에도 각 시대별로 좀 더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경우, 키워드+ 를 통해서 깊이있게 다루어 놓아 알찬 느낌 더해준다. 그 중 ’대동강 가에 세운 신도시 - 평양성’에 관한 키워드+ 는 삽화와 함께 실사(평양성의 성문들)를 살펴보며 아이와 함께 참 흥미롭게 읽은 페이지 중 하나다.
 
본문에는, 많은 부분 삽화와 실사로 채워져 있어 읽는 지루함 없을 뿐만 아니라 내용을 좀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데, 특히 지도 설명이 꼭 필요한 부분에서는 그에 맞게 관련 지도를 꼼꼼히 그려 놓아 그 지도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당시의 주변국들을 살피고, 주변 정세와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참 좋다. 
이어질 다음 책에도 기대가 잔뜩 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