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끝의 남자]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혀끝의 남자
백민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어린 시절 읽었던 동화들은 모험이 가득하고 아름답고 신비로웠다. 신데렐라 이야기는 아름다운 신데렐라가 왕자님과 함께 행복하게 오래오래 살았다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 것이 당연하게만 생각되었다. 지금 어른이 되어 읽는 신데렐라는 신데렐라, 그녀가 맞는 행복한 결말을 보며 흐뭇하기도 하지만 신데렐라 앞에 나타난 멋진 왕자님의 모습은 나의 가슴도 두근거리게 만든다. "이런 멋진 왕자님이 나에게도 나타난다면 얼마나 좋을까"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상상이지만 멋진 주인공들이 나오는 드라마에 빠져드는 이유 또한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 세상에는 동화 앞에 '잔혹'이라는 단어가 붙어 잔혹동화라는 말도 있지만 단편 [신데렐라 게임을 아세요?]는 우리 시대가 만들어낸 끔찍한 상상으로 신데렐라 이야기를 바꿔 버린 아주 슬픈 이야기였다. 별로 궁금하지 않았지만 <신데렐라 책방> 주인이 내게 들려준 이야기는 정말 끔찍할 정도로 슬픈 잔혹동화였다. 가까운 곳에 <신데렐라 책방>이 있다면 나도 한번쯤 들여다 봤을 것이다. 몇 번 오고가다 책을 샀겠지. 왜 유독 예쁜 여자들이 신데렐라 책들이 있는 곳에만 있는지 그 이유가 궁금했겠지만 이 책방에는 읽고 싶은 책들이 거기에만 있나보다 했을 것이다. 그리고 한번쯤 나도 신데렐라 이야기들이 가득찬 책장 앞에 서 봤겠지. 그리고 그곳은 나에게 그저 스쳐지나가는 책장일 뿐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그저 그렇게 끝을 맺는 것도 괜찮았을텐데, 몇 명은 신데렐라 이야기의 결말을 그들 자신의 이야기로 바꿔 버리고 말았다.

 

각 단편들을 완전하게 이해할 순 없었지만 [혀끝의 남자], [폭력의 기원], [연옥 일기], [신데렐라 게임을 아세요?], [일천구백팔십 년대식 바리케이드], [재채기] 등 거의 모든 단편들은 어느 장르에서나 볼 수 있었던 익숙한 이야기들이었다. [연옥 일기]는 얼마전에 읽은 위화의 '제 7일'을 생각나게 했는데 죽고난 후 저승으로 넘어가지 못한 7일동안 벌어진 이야기를 담은 것으로 [연옥 일기]의 규칙이 없는 세상에 떨어져 무엇인지 알 수가 없는 피비린내가 나는 이곳에서 떠나지 못해 끝을 알 수 없는 곳을 향해 계속 나아가는 한 남자의 이야기가 위화의 '제 7일'을 떠올리게 했다. 위화의 '제 7일'은 이승을 떠난 후 저승으로 넘어가지 못한 상태였긴 하지만 [연옥 일기]에 등장하는 사람들도 죽은 것도, 산 것도 아닌 상태였다. 타인에 의해 삶이 바뀌었고 하늘을 나는 피가수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삶이 바뀌었지만 1년 동안 먹지를 못한 상태로 살아남을 수 있는 이는 없으니, 딱히 이들이 살아있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들을 모두 이해할 수 있으면 좋으련만, 아쉽게도 나는 내가 처한 상황대로 이해할 수 밖에 없다.

 

단편들을 읽을때마다 하는 생각은 단편들이 어떤 주제를 가지고 있을까 고민한다는 것이다. 각 단편들은 그것대로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들이라 생각하면 되는데 그래도 대표 제목을 걸고 단편들을 모아 놓았다면 어떤 주제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모호한 결말, 갑자기 끝맺는 이야기, 여운을 남기는 이야기들로 인해 단편들을 좋아하지 않지만 여기에 담겨져 있는 대부분의 단편들은 '이 의미는 뭘까?'하는 고민을 하게 하지는 않았다. 다만 [신데렐라 게임을 아세요?]는 꽤 오래 머릿속에 남아 있는데, 신데렐라가 되고 싶었던 그녀들의 마음이 얼마나 아팠을까를 떠올리면 쉽게 마음을 내려 놓을 수가 없다. 세상을 움직이는 힘을 가진 황태자들에게는 신데렐라들은 그저 스쳐지나가는 여자들일 뿐이었을 것이다. 황태자들이 움직이는 세상속에서 내가 해 줄 수 있는 일이란 없다. 가슴 아프지만 나는 그들이 만들어 놓은 세상 안에서 살아갈 수 밖에 없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