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의 쓸모 - 인류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읽는 21세기 시스템의 언어 쓸모 시리즈 3
김응빈 지음 / 더퀘스트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생물과 마이크로 인터뷰』, 『술,질병, 전쟁:미생물이 만든 역사』, 『온통 미생물입니다』, 『미생물에게 어울려 사는 법을 배운다』, 『미생물이 플라톤을 만났을 때』,등 의 서설르 써왔으며, 유투브 『응생물학』 을 운영하고 있는 김응빈 교수의 책 『생물학의 쓸모』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책에 적어 놓고 있었다. 생물학의 쓸모를 나의 쓸모로 바꿔서 읽어 보면,저자의 과학적 지식을 쉽게 들여다 볼 수 있다



하나의 세포에서, 38조개이 세포로 분화되는 그 전체의 시스템은 신기하고 경이롭다. 인간이 일평생에 걸쳐서 생물학 연구에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바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파브르가 식물기,곤충기에 일평생을 쏟는 것처럼, 진화생물학자 최재천 교수도 그러하다, 생물학의 시작은 하나의 세포에서 시작하고 있으며,인간이 세포를 이해한 시점은 얼마되지 않는다. 자연발생학의 오류를 밝혀낸 이후, 인간의 지각 너머를 들여다 보기 위한 과학 기술의 발전에 세포의 연구 성과가 존재하고 있었다.



우리가 먹은 밥이 어떻게 세포에게 영양공급이 되는지 이해하였으며, 세포 호홉을 통해 하나의 생물은 살아갈 수 있는 영양소 에너지 공급 시스템이 만들어진다. 세포호홉은 해당과정과 TCA 회로, 산화적 인산화,의 세 단계를 거치며 일어나며, 세포호홉이란 포도당을 태우는 과정이다. 세포호홉을 통해 생물이 생명을 유지하는 원리와 이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인류는 인간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줄기세포 연구도 그러하다. 세포와 DNA,그리고 생명체가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는 생물학적 기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DNA 염기서열 자동분석기 ABI370을 이용하여, 최초로 DNA연기서열 자동분석이 가능했고,인간의 염기서열 전체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었다.



생명을 연구하고, 염기서열,유전자를 분석하는 모든 것은 인간의 삶이 가지는 생명체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인간은 결국 죽을 수 밖에 없는 존재였다. 세포의 노화와 죽음은 인간의 죽음과 직결한다.지구라는 척박한 곳에서, 인간이 생명체로 살아가게 되면, 결국 인류가 지구 한경에 위기가 현실이 되면,인류도 존재할 수 없다.지구 생명의 절멸이 미래의 현실이다. 그것은 생명의 유지, 생명의 생과 멸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질병 치료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마지막 수단으로 인산의 복제를 윤리적 문제 없이 복제하는데 있다. 즉 생물학의 쓸모는 인류의 쓸모였고,인간의 쓸모이기도 하다. 마지막 지구 생테계에서 인간이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우선이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