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다다오의 도시방황]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안도 다다오의 도시방황
안도 다다오 지음, 이기웅 옮김 / 오픈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안도 다다오. 건축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번 쯤 들어봤을 법 한 이름이다. 일본이 낳은 세계적인 건축가. 건축에 대한 정규 교육을 받아본 적 없으며 전직 권투선수, 트럭 운전사라는 독특한 이력 때문에 더 주목을 받은 사람이다. 그의 건축물들은 언제나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한다. 빛, 물, 바람과 어우러지는 건축물들을 설계하였으며, 그래서인지 언제나 단조롭고 절제되어있는 아름다움이 녹아있다.  

 이 책은 안도 다다오의 건축가로서의 여행이라기 보다,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의 여행기이다. 물론 건축물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그것은 '건축을 좋아했던 한 사람의 여행기' 라면 당연할 것이다. 미술을 좋아하는 사람의 여행기라면 미술관과 박물관 이야기가 주를 이루지 않겠는가? 좋아하는 화가의 고향, 생가, 공방, 작품 전시관등을 중점으로 여행을 다니지 않겠는가? 산을 좋아하거나 숲을 좋아하거나, 술을 좋아하거나, 여행이란, 게다가 혼자하는 여행이란 무릇 여행가의 취향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니까.  

 안도 다다오의 10대때 여행부터 차근차근 실려있다. 서문에서 저자가 밝히듯, 안도 다다오의 건축 세계를 완성하게 한 자신의 여행담이 꽉꽉 들어차있다. 안도 다다오 역시 다른 여행가들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관심사를 따라 많은 건축물들을 본다. 세상에 건축물이 없는 도시는 없다. 때로는 우연하게 특이한 건축물을 발견하게 되기도 하고, 그렇게 영향을 받기도 했다.  

 솔직히 나는 에세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에세이는 일종의 '일기' 같은 글이다. 하루 중, 혹은 인생에서 겪었던 일들 속에서 얻어낸 여러가지 생각들이나 감상들을 담백하게 적어 내려간 것들이다.  여행 에세이 또한 그렇다. 저자가 여행한 곳을 다녀와 본 독자가 아니면 저자의 여행담에 깊이 동화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왠지 타인의 일기를 보는 느낌이랄까. 저자의 머릿속에서 재구성된 자신의 인생과 자신의 경험을 완벽한 타인인 내가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을까. 그런 의문도 있고, 조금은 아니꼽고 고까운 마음이 들어서일 수도 있겠다. 저자의 삶과 마음속을 훔쳐보는 기분은 그다지 좋지만은 않았다.

 좋아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에세이가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강점과 재미를 거부하거나 부정한다는 것은 아니다. 에세이는 누구에게나 쉽게 넘어가기 마련이다. 공감하지 못할 경험과 감정, 깨달음을 적은 경우도 있지만, 사실 대부분 공감할만 경험을 통해 얻어낸 깨달음을 적어낸 경우가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손에 들면 술술 읽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안도 다다오의 여행담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가 비록 건축물들을 중심으로 여행을 했지만, 건축물은 인간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있다. 뿐만 아니라, 원래 유명 관광지의 대표적인 '랜드 마크' 는 사실 대부분 건축물이다. 때문에 여행을 거의 하지 않는 나에게도 익숙한 건물들이 많이 나오고, 안도 다다오는 건축물을 디자인하는 사람으로서 좀 더 깊이있는 '관광' 을 할 뿐이다. 외국이라는 낯설음, 긴장과 설레임 속에서 자신이 사진으로만 보았던 건축물들을 실제로 목도하고, 그것이 만들어지던 당시의 공정을 상상해본다. 안도 다다오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이 있기 때문에, 그 건물들이 지어지는데 얼마만큼의 수고로움이 들었는지 알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건물을 디자인한 건축가의 일생 또한 알고 있다. 저런 건물을 디자인해낸 그 사람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저 건물에 과연 그 건축가의 어떤 삶이 녹아 들어 있는지 알고 있다. 

 그런 건축가의 삶과, 그 삶이 녹아있는 건축물들을 통해 안도 다다오의 삶의 축은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갔던 것일까? 그런 변화와 영향들이 담담하게, 하지만 때로는 격정적으로, 솔직한 필체로 그려지고 있다.  

 각 문단의 첫 행이 우리에게 익숙한 들여쓰기가 아니라 내어 쓰기로 되어있는 방식이 신선하고 독특하다. 책의 말미에는 책에서 언급된 건축물들의 사진들이 실려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챕터의 말미에 실려있었으면 어땠을까 싶다. 하지만 이 부분은 저자가 이 책이 건축물에 대한 것이 아닌, 순수한 여행담이었다는 것을 확실하게 주장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인류는 지역과 문화에 따라 완벽하게 다른 사고방식으로 삶을 산다. 때론 같은 인간이 아닌 외계인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어떤 작가는 남자와 여자를 금성인과 화성인으로 비유하기도 했지만, '타인' 이란 완벽하게 새로운 또 하나의 '세계' 인 것이다. 안도 다다오는 이런 또다른 세계와의 끊임없는 부딪힘을 통해 자신의 세계를 완성시켜 갔다. 도시방황. 인생은 어차피, 끊임없는 방황이 아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