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 우리는 왜 부정행위에 끌리는가
댄 애리얼리 지음, 이경식 옮김 / 청림출판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의 부정의함에 분노해서 인지 한 때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이 베스트 셀러가 된 적이 있다. 저자가 활동하는 본 무대인 미국에서 보다, 우리나라에서 팔린 그의 책 양이 더 많다는 사실은 그 만큼 제대로 된 사회 정의를 갈망하는 사람들이 많았다는 방증이 아닐까? 하지만, 이 책은 단순하게 이것이 정의고 저것이 부정의라고 말하지 않는다. 정의를 판단하는 철학적 논리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하면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의의 가치관을 보여준다.현실에서 일어난 일들을 사례로 들면서 설명하는 이 책은 정의가치가 어떤 절대적인 가치로 한번에 정의할 수 없는 것임을 보여준다.

 

다양한 정의에 대한 관점이 존재하고, 그 차이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가끔은 이것이 정의다 부정의다라고 주장하는 어떤 것들이 이해가 안 될 때가 많다. 어떤 때는 전혀 정의롭지 못한 것 같은데, 다수가 말했다는 이유로 그것이 옳은 것이 되는 것을 가끔 우리는 본다. 그 당시는 군중심리에 의해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들이 잘못 되었는지 깨닫지 못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그것의 이면을 정면으로 직시하게 되는 것이다. 다수의 폭력에 의해서 정의가 정의되기도 하는 정의롭지 않는 현실. 그것은 각자가 가지고 있는 정의관이라는 것이 확고한 신념으로 자리 잡은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의관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자신이 마치 대단히 정의로운 사람인 것처럼, 어떤 불의에 대해서는 참지 못하지만, 자신의 작은 불의에 대해서는 쉽게 관용적인 태도를 취하는 형태를 우리는 자주 보인다. 그렇게 나쁜 것인지 이해가 가지 않지만, "무한 도전" 멤버들이 유료 콘서트를 한다고 했을 때 쏟아내는 이상한 정의관과 분노가 왜 부패한 정치인과 기업인들에게는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 것일까? 인간은 어떤 때는 신념에 가득한 존재인 것 같지만, 사실은 쉽게 자신의 신념을 쉽게 바꾸어서 부정한 행동을 스스로 정당하다고 의미를 부여한다. 인간에게 신념이라는 것은 "굳게 믿는 마음"이 아니라 자신의 뜻에 따라서 "새롭게 만드는 마음"인 것은 아닐까?

 

행동경제학자로 유명한 댄 애리얼리는 자신의 전공인 경제학이 아니라 심리학적 관점으로 재미있는 책을 써냈다. 사람들이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심리적 상태와 변화를 추적한 이 책은 우리가 저지르는 부정행위에 대해서 통찰력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 책의 처음부터 저자는 우리 인간의 불안정성을 냉철하게 파고 들어간다. 이 책을 펼치고 내가 했던 사소한 부정 행위에서부터 많은 죄책감에 시달렸던 부정행위를 떠올리며 부끄러움에 읽게 된다. 이 책을 통해서 나의 정의관이 얼마나 갈대와 같았던 것인지를 거울로 보는 것 같다. 나의 부정행위에 대해서 얼마나 스스로 정당화해 왔는지를 반성하게 된다. 이런 반성이 끝나고 나면, 인간이 가지고 있는 불완전성에 대해서 재미있는 접근들이 눈에 들어 온다.

 

저자는 책의 초반부터 "우리는 자기 자신을 정직한 사람이라 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른다."고 말한다. 사람은 사소한 부정행위를 저질러서 얻는 이득과 동시에 스스로 자신이 괜찮은 사람으로 볼 수 있도록 자기 합리화를 한다고 한다. 즉 스스로에게 이익이 되는 관점, 즉 두 가지 요소를 충족시키는 현실 내에서 부정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받은 호의를 돌려주고 싶어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타인을 위해서 부정행위를 저지른다고 한다. 단순히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사는 이기적인 인간만이 부정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위해서도 호혜적인 부정행위를 하는 인간의 다른 면이 보여진다.

 

뿐만 아니라 어떤 요건에서 부정행위가 늘어나고, 어떤 조건에서 부정행위가 늘어나는지도 보여준다. 재미있는 것은 짝퉁을 착용했을 때 부정행위를 할 가능성이 올라간다고 한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에 남는 것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부정행위를 더 많이 저지른다는 부분이다. 창의적이라고 추앙받지만, 인간성이나 때론 그의 도덕성이 그에 못 미치는 사람들이 많은 원인을 이 책은 보여준다. 하지만, 이 책에 소개된 연구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부정행위의 전염성이다. 누군가 부정행위를 저지르면 그 사회의 구성원들 또한 그 부정행위를 모방하거나 따라하는 확률이 증가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 전염성은 국외자 즉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의 일원이 아닐 때는 오히려 더 도덕적으로 바뀐다고 하다. 내국의 같은 범죄에 비해서 외국인의 범죄에 대해서 더 강한 도덕적 관점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모습, 그리고 더 크게는 제노 포비아 같은 현상의 확대에 대한 근원을 설명하는 부분이라고 할까? 이 책이 보여주는 부정 행위에 대한 다양한 심리학 관점들은 자신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도덕관에 대해서 객관적 시선으로 바라 볼 수 있게 만든다.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도덕적 정의적 논쟁들에 대해서 그것이 얼마나 감정적이고 자기 중심적인지를 볼 수 있는 색다른 기회와 시선을 제공한다.

 

우리가 목말라하는 올바른 사회적의는 정의론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알고 이해하며, 올바른 관점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 것 같다. 그런 것이 부족해서 우리 사회가 부정의 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부정의해서 우리 사회가 부정의 한 것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부정행위의 전염성을 제대로 인식해 부정행위를 차단하기 보다 남들이 한다고 자신의 부정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자신을 정면으로 직시하는 것이 먼저지 않을까? 정의에 대한 철학적 도덕적 논쟁보다 부정행위를 정당화하는 우리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해 보인다. 이 책은 그런 이해의 시작에 길잡이를 제공하는 유용한 책인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9-25 09:3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