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29 내가 세계여행 중일 때도, 잠을 자고 있을 때에도 나를 위해 열심히 일을 해 주는 건물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부모님이 이 책을 읽었더라면
필리파 페리 지음, 이준경 옮김 / 김영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370 선을 그을 때 가능한 한 부정적인 어조를 쓰지 않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에 그림 그리지 마라’ 대신 ‘그림은 벽이 아니라 종이에 그리는 거야. 종이 가져다줄게’ 라고 말한다.

P371 세상에 타인이 나를 규정하는 걸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P372 아이 앞에서 이성을 잃고 화를 내면 이는 아이에게 트라우마로 남아 마음을 닫는 계기가 된다.

P374 ‘너는 왜 그렇게 음악을 크게 틀어놓니? 소리 좀 줄여라’ 라고 하기 보다, ‘아빠한테는 음악소리가 너무 큰 것 같아. 소리 좀 줄여주면 고맙겠구나’ 라고 말해보자.

P375 내 감정과 내가 바라는 것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아이도 똑같이 행동하는 법을 배웠고, 우리는 논리를 앞세운 다툼에 쉽게 빠지지 않았다.

P378 아이의 감정에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아이도 우리를 더 배려하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P393 몸은 함께 있되 눈은 각자 스마트폰을 보는 관계, 한 집에 살지만 서로 어떤 일상을 보내는 지조차 잘 모르는 그런 관계가 아니라는 말이다.

P395 자녀와 의사소통을 위한 6원칙
• 자녀를 규정하려 하지 말고, 내 감정을 설명할 것
• 나의 감성과 선호에 따라 내린 의사결정을 순전히 사실에만 기반을 둔 객관적인 의견인양 포장하지 말 것
• 자녀와 나는 한 편임을 기억할 것
• 명령하지 말고 함께 고민하고, 함께 협력할 것
• 진정성 없는 태도는 관계에 상처를 입힌다. 이를 치유하려면 진정성 있는 태도로 서로 대할 것
• 아이는 자신이 대우받은 대로 타인을 대한다는 것 잊지 말것

10대 자녀를 하숙생처럼 대하기
10대 자녀에게 어디까지 선을 그어줘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면, 자녀를 우리 집에 세들어 사는 하숙생이라고 생각해보자.
이 집에서 지낼 때 지켜야 하는 규칙에 관해 단호하게 이야기하겠지만, 상대방을 비난하기보다 나의 입장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규칙을 세우게 될 것이다.
거의 성인이 된 자녀를 하숙생처럼 대할 경우, 아이가 원하는 대로 약간의 거리를 두고 아이의 생활을 존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P398 성인이 된 자녀에게도 부모가 진심으로 자기 삶에 관심을 둔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아이에게 부모란, 자신의 모습을 비추어주는 거울과도 같다.

-중략-

100세 노모가 나를 보고 기뻐하고, 나를 자랑스러워하는 데 자식의 나이가 일흔이 넘었다 한들 감흥이 없을까?

P401 자녀를 키운다는 건 자녀가 아이일 때는 내가 부모가 되었다가, 함께 어른이 되고, 마지막에는 내가 아이가 되고, 자녀가 부모역할을 하게 됨을 의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352 아이들은 누구나 자신이 중요하다는 느낌을 받고 싶어한다.
부모가 자신을 원하고 사랑한다는 감각이 필요한 것이다.
말로만 사랑한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드러나는 사랑을 느끼고 싶어한다.
눈이 마주쳤을때 활짝 웃는 부모의 얼굴, 부모와 주고 받는 상호작용, 부모가 나를 위해 내주는 시간, 아이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즐기고 만끽하는 부모의 태도에서 아이들은 사랑을 느낀다.

P360 아이에게 뭐든지 솔직하게 말해도 괜찮을 것 같은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중략-

아이의 감정을 수용해주고 아이의 말과 행동에 과민 반응하지 않는 방법은 간단하다.
아이의 행동을 평가하려 하지 말고, 이렇게 하는 것이 옳다며 정답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결론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면 된다.

-중략-

전진전능한 신이 아니라 조용히 들어주는 대나무 숲 같은 부모 앞에서 아이들은 진심을 털어놓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부모님이 이 책을 읽었더라면
필리파 페리 지음, 이준경 옮김 / 김영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315 아이가 유독 힘들어하는 특정한 상황이 있거나, 아이가 말썽을 부릴 것으로 에상되는 상황을 앞두고 있다면 잠시 멈추고 그 상황에서 아이는 어떤 기분일지 상상해 보자.
그리고 그것을 아이가 부모에게 보내는 편지 형태로 적어보도록 하자.

P321 아이가 울고 보채는 것 당신을 괴롭히려는 게 아니라 그냥 자기가 느끼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을 주체할 수 없어서 몸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저 자신의 원하는 바를 아직 말로 표현할 줄 몰랐던 것 뿐이다.

P325 일방적으로 아이에게 내 뜻을 강요하는 태도는 결국 둘 사이 관계를 멀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승자와 패자의 관계로 인식하게 하며, 결국 패배한 쪽은 굴욕감과 분노를 느끼고 말것이다.
특히 위험한 것은 타인과 관계 맺을 때 ‘상대가 틀렸음을 증명하는 것’과 ‘절대 양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내 뜻대로 일이 되지 않을 때 이를 견디기 어려워 하는 아이로 자랄 수도 있다.

P329 아이들은 타인이 내 감정에 공감했던 경험을 통해 나 역시 타인에게 공감하는 방법을 배운다.

P331 양육자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아이의 방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이 아니다.
아이와 함께 하며 아이가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P334 자신의 감정이 받아들여지는 경험이 반복될 수록 아이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수 있게 된다.

P336 아이의 짜증으로 내 인내심의 한계가 시험당하는 것 같을 때마다 기억하자.
‘반응’이 아니라 ‘대응’해야 한다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부모님이 이 책을 읽었더라면
필리파 페리 지음, 이준경 옮김 / 김영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75 아이에게는 노는 것이 곧 일이며, 우리가 어른의 일을 진지하게 생각하듯이 아이의 놀이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P279 어차피 투자할 시간이라면 나중에 아이와 씨름하듯 부정적으로 보내는 것보다는 애초에 적극적으로 아이와 놀아주며 보내는 편이 나을 것이다.

P287 요람을 흔드는 손으로 세상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아이들을 평가하지 않고 사랑으로 키우는 것,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하찮거나 잘못됐다고 치부할 것이 아니라 배려해주고 수용해주는 것은 미래사회의 구성원을 길러내는 부모의 책임이다.

P293 모든 행동은 의사소통 시도다.
그러므로 모든 행동의 기저에는 그것을 촉발한 감정이 있다.
자녀의 특정 행동 뒤에 숨겨진 감정을 찾아내 공감해주고, 그것을 언어화해 표현하도록 도와주면 아이도 행동을 통해 표출할 필요를 덜 느끼게 된다
상황을 아이의 처지에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더 쉬워진다.

P295 아이는 부모에게서 타인과 관계 맺는 방식을 보고 배운다.
부모가 자녀에게 자신의 계획이나 뜻을 강요하는 형태로만 관계를 맺으면 아이 역시 유해한 관계 맺기를 배운다. 타인과의 관계를 ‘명령하는 사람’과 ‘따라야 하는 사람’ 다시 말해 ‘지배자’와 ‘복종하는 사람’ 으로 단순하게 인식하면 아이의 인격 성장에 심각한 제약이 걸릴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한쪽은 ‘피해자’ 한쪽은 ‘가해자’라는 관계 설정에 자주 노출된 아이는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가해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아니면 자신은 항상 피해자일 수 밖에 없다고 당연하게 생각한다.

P298 아이들이 보는 행동은 거의 다 한 때이며 그 시기가 지나면 그걸로 끝난다.
그러니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해결책이 있다면 적용하면 그만이다.

P299 부모는 아이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보여주는 롤 모델이 되어야 한다.
1. 일이 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좌절하지 않고 인내할 수 있는 능력
2. 융통성
3. 문제해결 능력
4.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고 느낄 수 있는 능력

앞에서 이야기했던 사례에 적용해보자면,
1 나는 어서 집에 가서 쉬고 싶었지만, 플로는 집에 가는 도중에 길가에 앉아 쉬고 싶어했다. 이것은 내 계획과 다른 전개였지만, 좌절하지 않고 인내했다.
2 나는 계획했던 것보다 집에 좀 늦게 가도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융통성을 발휘했으며
3 피곤하고 지친 아이를 쉬게 해 줌으로써 아이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4 딸아이의 관점에서 왜 중간에 쉬고 싶은지를 생각해보고 이해하려 노력했다. 또한 지나가던 노인의 관점에서도 왜 그가 그런 말을 했는가를 생각할 수 있었다.

P301 나이를 막론하고, 아이는 다그치고 혼내기 보다는 달래주고 받아줄 때 발달의 다음 단계로 더 수월하게 넘어간다.

P302 떼쓰는 아이를 가만히 보면, 아이도 그것이 즐거워서 하는 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