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사람 효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낯선 사람 효과 - 《80/20 법칙》리처드 코치의 새로운 시대 통찰
리처드 코치 & 그렉 록우드 지음, 박세연 옮김 / 흐름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BCG, 베인 앤 컴퍼니, 그리고 LEK 창업 멤버로 주로 경영 전략 컨설팅에서 독보적으로 활약한 저자의 풍부한 노하우와 이른바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네트워크 효과에 대한 이야기가 잘 버무려진 책이다. 이 책의 원제목은 "SUPERCONNECT: The Power of Networks and the Strength of Weak Links"로서 슈퍼커넥터에 방점이 찍힌다. 집단들 간의 네트워크가 특별하게 풍부한 연결망을 확보한 소수의 개인 혹은 기업을 일컫는 슈퍼커넥터에 의해 좌우된다면서 이들은 시장의 흐름과 전략, 기업 정책에 관한 폭넓은 정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세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중요한 존재로서 소개되고 있다. 이렇듯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협력할 때 구성원들은 개인과 조직, 모두의 행복과 가능성 차원에서 초월적이고 놀라운 성과를 만들어낸다는 게 이 책의 핵심적인 주장이기도 하다.

 

사실 이 책에서는 슈퍼커넥터의 자질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첫 만남부터 좋은 인상을 주고, 자신이 속한 집단 내에서 서로 교류가 부족한 사람들을 많이 알고, 만나는 사람들의 규모와 다양성을 확대하려는 접근방식을 사용하며, 자신에게 이익이 없을 때에도 순수한 마음으로 나서서 사람들을 연결하려는 의지를 실천해 나가면 된다고 말한다. 또한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약한 연결은 단지 피상적인 관계가 아니라 각각의 밀집된 덩어리들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다리로서 기능을 한다면서 연결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결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레 포기하지 말라고 언급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약한 연결은 관계 유지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하지 않아도 우리의 삶을 바꿀만한 실용적인 정보와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기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이 책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것은 허브이다. 허브는 협력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하나의 장소, 또는 도구로서 보통 강한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조직을 말한다. 우리는 보통 자신이 속한 허브 속에 안주하기 때문에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없다고 언급하고 있다. 허브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극단적인 형태의 공감이 바로 집단사고이며, 사람들은 지금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이 자신에게 오히려 해가 된다고 느낄 때에도 거기서 과감하게 벗어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사실 자신이 슈퍼커넥터가 되고 싶다면 자신이 속한 허브에서 많은 사람들을 무조건 열심히 만나는 게 전부가 아니라고 한다. 이 책의 저자는 몇 년마다 한 번씩 새로운 허브로 옮기고 그 속에서 창조적으로 움직이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실제로 한 직장에서의 오랜 근무연수는 사회적 연결을 갉아먹고 유동성을 위축시킨다고까지 말한다.

 

성공한 슈퍼커넥터들이 직장을 옮기는 주기는 일반적으로 4~6년이었으며, 현재의 조직 내에서 불편한 마음이 계속 들고, 가치를 공유할 수 없고, 좌절감이 계속 되고, 만족감을 느낄 수 없고, 노력에 비해 성과가 미미하다면 그 허브는 인생에 독이 되는 존재이며 떠날 준비를 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허브에 들어가기 전에 조직의 가치관과 분위기가 자신의 것과 조화를 이루는지, 얼마나 많이 배울 수 있는지, 그 조직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를 따져보라고 조언한다. 또한 창업에 도전하는 것도 좋은데,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모으면서 기존의 허브 속에서 작은 허브를 만들어 따로 독립하는 것이 성공확률이 더 높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사도 바울, 레닌을 역사적으로 유명한 슈퍼커넥터로 지목하며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는 또한 우리 사회에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는 풍부한데 이를 실현할 조직이 부족하다고 진단한다. 성공을 위해서는 아이디어를 퍼뜨릴 수 있는 열정적인 추종자와 협력 조직, 그리고 경쟁 아이디어를 물리칠 수 있는 소비자를 발굴해야만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레드불, 더 바디샵과 같은 사례를 들면서 약한 연결을 통해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와 상황에 맞게 변형함으로써 얼마든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언어, 통화, 도시화 등의 사례를 들면서 이들이 전형적인 네트워크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한다. 이 네트워크의 특징은 집중화 현상으로 소수의 존재가 슈퍼커넥터로 활동하고 나머지 대다수는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못하고, 집중화 현상이 시간이 흐를수록 가속화되며, 특별한 노력이나 계획 없이도 자연스럽게 세력을 확장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렇듯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스타 비즈니스 기업들은 오직 소수의 기업들이 시장을 지배하는 특성을 지니기에 경력을 쌓고 성공하기에도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더 나아가 사회적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바로 고립된 가난한 공동체 속으로 약한 연결들을 주입하여 다양성을 확장하는 것이라 주장한다. 그 이유는 가난한 사람들이 다양한 관계를 포기하면서까지 강한 연결에 집착하며, 돈을 버는 과정에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인 및 외부인과의 약한 연결로부터 소외되어 있기 때문이라 한다. 전반적으로 이 책은 네트워크 효과로 알려진 사회 현상에 대해 경영 전략 전문가의 입장에서 자신이 직접 경험한 풍부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나는 아직 약한 연결의 혜택을 크게 보지 못한 거 같아 이 책을 읽으며 아쉬웠는데, 이제부터는 약한 연결을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듯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1-21 09:5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