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눈 코끼리>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초록 눈 코끼리 푸른숲 어린이 문학 21
강정연 지음, 백대승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집 앞에는 능동 어린이대공원이 있습니다. 동물원이 있어서 우리 가족이 가장 많이 찾는 곳 중의 하나입니다. 동물원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우리를 반기는 것은 커다란 코끼리입니다. 코끼리 울타리 앞에는 늘 많은 아이들이 모여 코끼리가 코로 음식을 먹는 것을 보며 재미있어 합니다.

코끼리의 덩치에 맞지 않는 작은 울타리, 쇠창살에 갇혀 더 먼 곳을 볼 없는 원숭이와 사자, 곰 등 동물원은 아이들에게 즐거운 놀이터이지만, 동물들에게 이곳은 어떤 곳일까요?

만약 동물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면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그들은 행복한지? 답답하지 않은지? 가족이 그립지 않은지? 많은 것을 물어보고 싶어요.

 

얼마 전 타 출판사에서 출간된 <동물원의 비밀>이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그 책의 일부 중 동물원은 동물들을 위한 공간이기도 하다고 표현했습니다.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존시킬 수 있으며, 생태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고 있다고 말입니다. 하지만 그들의 자유와 생태계 속에서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그 속에서 먹이를 구하며 살아가는 그들의 본능을 인간의 힘으로 억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초록 눈 코끼리>>는 야생으로 돌아가고 싶은 코끼리 범벅에 대한 이야기를 재미있는 동화로 엮었습니다. 사육사 콧수염의 말을 잘 듣고, 훈련을 잘 습득해서 동물원의 슈퍼스타로 자리 잡은 범벅이는 어린이들에게 박수갈채를 받고 주인공이 된 자신이 자랑스럽습니다.
동물원에서 태어난 범벅이는 다른 세상에서 대해서 알지 못하지만, 할머니는 범벅이에게 천 일 만에 태어난 코끼리이기에 해야 할 일이 있다고 말합니다.
사육사 아들 환희는 코끼리의 말을 알아듣고, 범벅이와 대화를 할 줄 압니다. 환희에게 사람의 말을 배우던 범벅이는 깊은 잠에 빠져 인간에게 죽음을 당하는 가족들의 모습을 꿈꾸게 됩니다. 그리고 범벅이는 초록 눈이 되어 할머니에게 범벅이가 해야 할 임무에 대해서 듣게 됩니다.

 

“백여 년 전 아프리카 초원에서 가장 무섭고 잔인한 동물은 인간이었다. 인간들은 그 아름답고 조용한 초원에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침입자였지. 맹수들의 송곳니나 발톱과는 비교할 수 없는 끔찍한 무기를 가지고 나타나 아무것도 모르는 초원의 동물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쏴 댔지. 그걸 총이라 부르더구나. 총의 힘은 정말 대단했다. 어떤 동물이든 ‘탕’하고 하늘을 찢는 소리와 함께 몸뚱이에 커다란 구멍이 난 채 곧바로 쓰러져 죽었단다.”

“인간들은 왜 그런 짓을...”

 

“그저, 몸이, 마음이, 눈이 즐겁기 위해서였단다. 특히 코끼리사냥은 인기가 좋았지. 우리의 앞니는 그들에게 멋진 장식품이 될 수 있었어. 게다가 그들은 먼 아프리카 초원에서만 사는 동물들을 집 가까이에 두고 수시로 보고 싶어 했지. 그중에서도,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거대한 코끼리는 더욱더.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게 동물원이야. 그래서 인간들은 코끼리를 사냥하기 시작했단다. 인간들은 새끼 코끼리만 노렸지. 이미 자랄 대로 자란 코끼리는 다루기 어려우니까.” (본문 102,103p)

 

인간들의 만행에 대해 듣고, ‘초록 눈’은 아프리카코끼리의 길잡이로서의 역할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범벅이는 아프리카로 돌아가기 위해 환희와 함께 노력합니다.
욕심에 눈이 멀어 범벅이를 괴롭히는 사람들로 인해서 범벅이는 백 년 전에 겪었던 고통을 다시금 겪게 되지만, 환희를 통해서 아프리카로 돌아가는 희망을 갖게 됩니다. 

 

물론 동물원은 그들을 위해서 존재하기도 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호하고, 아픈 동물을 치료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보다는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서 그들을 고통스럽게 했던 일이 더 많았던 것은 아닐까요?

 

아프리카에 도착하자마자 깜짝 선물로 환희에게 해 줄 말을 연습해야지. 그렇게 노력해도 안 되던 사람 말, 그 말.
친구. (본문 204p)

 

자연은 우리와 친구가 되고 싶어 합니다. 우리는 그들을 다스리는 존재가 아니라, 그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가야 하는 친구가 되어야 합니다. 사람에게 고통 받고 상처받았던 그들을 치유해 줄 수 있는 것도 바로 우리 사람들입니다.
이제 동물원에 가면 그들의 아픔이 보일 거 같아요. 사람에게 상처받고 사람에게 구경거리가 되어 좁은 공간에서 자신의 본능을 망각한 채 살아가는 그들의 아픔 말입니다 .

 

이 동화책에서 ‘코끼리’는 ‘자연’을 대변하는 존재입니다. 자연을 훼손하는 일은 결국 우리 삶의 터전을 훼손하는 일과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올해 우리나라는 많은 눈과 많은 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자연은 경고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자연은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친구’가 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사진출처: '초록 눈 코끼리'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