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도피안사 비로자나불 앞에 여러번 섰다. 아무것도 아닐 수 있는저 쇳덩이가 나에게 침묵의 언어로 내려주는 낱낱 사항들을 남김없이 받아내기 위하여. 그러면서 한편으로 우리 시대의 불상은 무엇을, 어떤 이미지를 담고 있는가를 생각해 보았다. 20세기의 대불(大佛)들, 낙산사의 해수관음은 화려한 의상이 빛난다. 법주사의 청동 미륵상은 혹시 육사 출신이 아닌가 싶으며, 동화사의 통일 약사여래상은 턱과 목이 돈깨나 벌게 생겼다. 불가에 계신 분들이 나를 방자한 놈이라고 한다 해도 할 수 없다. - P256

우리나라의 옛마을에는 서원이 있고, 산속에 절집이 있다. 절집은 아무리 허름해도 온정이 느껴지는데 서원은 아무리 번듯해도 황량감과 황폐감만 감돈다. 그 이유는 단 한 가지 사실, 사람이 살고 안 살고의 차이다. - P270

고향을 쫓겨난 이들이 할 수 있는 일이란, 연고도 없는 낯선 동네를 찾아가서 다시 농사짓는 일, 도회로 나아가 막노동 품을 파는 일, 신대천으로 이주하여 가게 하나 내보는 일, 그 이상의 선택은 없다.
오직 한 가지 이유, 운문면 대천리에서 태어났고 거기서 살았다는 이유 하나로 이들은 졸지에 캄캄한 바다에 던져진 조각배이고, 사막에 떨어진 씨앗 같은 미물이 되고 말았다는 데 아픔과 슬픔이 있는 것이다. - P272

하여 그해 가을 운문국민학교에서 열린 죄잔치로 치러졌다. 그러나 이들은 법 없이도 살 수 있는 이 진국들은 운동회날 원없이 뜀뛰고 원없이 춤추면서 서러운 인생은 팔자소관으로 돌리고 웃음을 잃지 않은 생의 달관자들이었다.
그들을 보고 있는 내 눈시울만이 공연히 붉어졌을 뿐이다. 이제 와 생각하니 그분들은 어쩌면 울고 싶어도 울 눈물마저 말랐던 것인지도 모른다. - P274

하기야 현실을 뛰어넘은 예술은 없다. 그 모두가 현실의 모방일 뿐이며 현실은 항상 예술가, 정치가, 학자를 앞질러 지나갔다. - P274

아리따운 자태로 말하든, 늘씬한 각선미로 말하든, 늠름한 기상으로 말하든, 연륜의 근수로 말하든 운문사 소나무는 가장 아름다운 조선의 소나무이며, 조선의 힘과 자랑을 가장 극명하게 상징한다. 뿐만 아니라 운문사 소나무는 조선의 아픔과 저력, 끈질긴 생명력까지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 P2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처의 모습이란 곧 절대자의 모습이다. 그 절대자는 한가지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머릿속에 그리는 절대자의 상도 한 가지가 아니다. 모든 불상은 그것을 제작했던 시기와 발원했던 사람들이 지니고 있던 절대자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 P253

왕권과 중앙 귀족이 원하는 세계는 석굴암 본존불 같은 원만한 질서이다. 꽉 짜여진 틀 속에 모든 것이 종속하기를 바라는 보편성의 추구이다. 그러나 지방의 호족은 달랐다. 그 보편적 틀 때문에 자신의 인간적, 사회적 능력을 제약받고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그 틀을 깨어버려야 했다. 능력있는 자가 부처라는 이미지로 몰고 갔던 것이다.
궁예는 그런 호족의 하나로 드디어 왕을 자처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이점은 하대신라의 여러 불상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 P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재자들이 문화재와 토목사업에 두는 관심은 자기능력의 과시와 대국민 선전효과에 있어왔다. - P222

늘 똑같은 일을 하는 사람은 누군가가 돌보아주어야 좋은 효과를 내며 자극도 된다 - P228

나는 항시 관(官)이 하는 일보다도 민(民)이 하는 일이 빛날 때 그 문화는 성숙한다고 믿고 있다. 세상사람들이 알아주는 일에 매달리는 스테이지 체질들이 제풀에 사그라들고, 남들은 뭐라고 하든 곰바위처럼 자기가 생각한 일에 일생을 거는 쇠귀신 같은 분들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소중한 사람이라고 믿고 있다. 4천만이 들떠서 레게춤을 흔든다 해도 단 한 명만이라도 그러지 않는 인생이 있다면 우리 문화는 죽지 않고 영원하리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지난 1세기 한국역사가 나에게 가르쳐준 값진 교훈이었다. - P228

그날 내게 다가오는 석불사 석굴의 조각은 맹목적 보편성을 드러내는 아카데미즘이 아니었다. 신이라고 부르기엔 너무도 인간적이고, 인간적이라고 말하기엔 절대자의 기품이 강하였다. 엄숙하다고 말하기엔 온화하고, 인자하다고 말하기엔 너무 엄했다. 젊다고 생각하려니 너무 의젓하고 노숙하다고 말하기엔 너무도 탄력있었다. 남성으로 보려 하니 풍염하고 여성이라고 말하기엔 너무 건장하였다. 그리하여 혹자의 "아버지라고 보려 하니 너무 자비롭고, 어머니로 보려 하니 너무 엄격했다"는 말도 생각났고, 이 세상의 질서와 평화가 저 한 몸에 있다는 말도 생각났다. - P234

아름다운 것은 아름다운 것이다. - P234

종소리는 때리는 자의 힘만큼만(에 응분하여) 울려지나니…… - P2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보다도 훨씬 더 나쁜 것들이 많이 존재한다. - P61

왜냐하면 이 기소사건과 관련된 한 재판의 중심에 서 있는 것이 역사였기 때문이다. "이 역사적 재판의 심판대에 서 있는 것은 한 개인이 아니고 나치 정부도 아니며 바로 역사 전체에 나타나는 반유대주의이다."
이것은 벤구리온이 설정한 기조였고, 이를 하우스너 씨는 충실하게 따랐다.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요네다의 짧은 일생 속에 담겨진 많은 의미를 생각해본다. 35세의 젊은 나이로 죽는 그해까지도 땡볕에서 부소산성을 측량하던 백면의 기술자이고 무명의 건축학도였던 그가 7년간 말없이 성실하고 치밀하게 측량했던 그 경험을 토대로 불과 3년 만에 이처럼 위대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는 사실에서 인생을 사는 법과 학문하는 법을 동시에 배우게 된다.
그의 삶과 학문은 ‘작은 것의 힘, 작은 것의 위대함, 작은 것의 아름다움‘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 P197

작은 것 속에 큰 것이 들어 있다 - P197

석굴은 경이적인 정확도로써 기하학적으로 건립되었다. 이 정확도는 1천분의 1, 아니 1만분의 1에 달한다. 1만분의 1이란 10m에 대하여 1mm의 오차를 말한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석굴의 각 석재가 얼마나 정확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는 뜻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석굴 본당은 정원(正圓)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원호(圓弧)를 구성하고 있는 조각의 숫자만도 15구에 달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거대한 화강암의 암석을 갖고 마치 밀가루반죽이라도 다루듯 자유자재로 다듬어놓았던 신라인의 솜씨도 놀랍거니와 그러한 솜씨를 뒷받침하여준 신라인의 기하학에 대해서도 경탄할 뿐이다. - P200

진짜 과학자란 모름지기 자연현상을 거스르지 않으며, 거기에 순응하는 과학적 사고를 하는 분임을 나는 여기서 알았다. - P2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