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발견 - 공자에게 길을 묻다 뉴아카이브 총서 5
장주식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동양철학의 뼈대는 공맹사상으로 대표되는 유학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유학의 시조인 공자는 춘추전국시대 혼란 속에서도 자신의 철학인 덕치를 실현하기 위해 일생을 바쳤으며 이를 통치이념으로 관철시키기 위해 여러 나라를 전전하며 유세를 하는 등 성인군자로 수천년이 지난 지금도 추앙받는다.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이기도 한 논어는 공자의 가르침을 전하는 가장 확실한 옛 문헌이다. 공자와 그 제자와의 문답을 주로 하고, 공자의 발언과 행적, 그리고 고제(高弟)의 발언 등 인생의 교훈이 되는 말들이 간결하고도 함축성 있게 기재된 책이다. 이 책은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진정한 인에 대한 삶의 자세를 배우게 하고 인생 경험에서 우러나온 공자의 혜안이 응축되어 깨달음을 얻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후대의 공자의 사상을 연구하고 전하는 이들의 관점과 견해가 가미되어 논어에 대한 다른 접근이 이뤄지고 해석이 가하진다면? ‘논어’에 나오는 공자의 말을 모두 공자의 참뜻처럼 읽고, 그것을 종교처럼 신봉하는 ‘유교’의 모습에 저자는 <논어의 발견>을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공자의 진의를 찾아 진정한 '공자학'을 살펴 보고 그 출발점을 삼기를 권고한다.


즉, 후대에서 윤색된 부분들, 이를테면 형이상학척 관념 철학의 논어가 아니라 공자가 의도했던 가르침의 본질이 어떤 것인지를 찾는 노력을 통해 '철학적'인 이미지로 인해 느껴질 독자들과의 거리감을 줄이고 쉽게 공자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시도한 책이다.


이 책은 논어에 나오는 가르침 중 ‘호학(好學)’ ‘균무빈(均無貧)’ ‘인(仁)’ ‘언어(言語)’ ‘친구(親舊)’ ‘군자(君子)와 소인(小人)’ ‘제자들과 함께 사는 삶' 등 7가지를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논어’라는 고전의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논어’는 제자들이 공자의 가르침과 대화 속에서 기억한 것을 기록한 것이므로 각 제자들에 따라 다르게 기억한 부분이 많다고 지적한다. 그러기에 공자가 의도했던 부분이 제자의 기억과 생각을 통해 다르게 전달되고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논어를 종교처럼 신봉한 유교의 행태는 여러모로 아쉬울 수밖에 없다고 언급한다.


 흥미로운 부분은 ‘제자와의 대화’ 편이다. 수많은 공자의 제자 중 9명이 공자와의 대화를 통해 어떻게 자신의 사상을 구축해 가는지를 소개하고 있다. 

특히 날카로운 지적을 아끼지 않았던 재아와의 대화편은 공자의 가르침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을 숨기지 않는 제자의 비판과 이에 대한 공자의 반론은 단 몇 페이지의 기록이지만 신선한 충격을 주기도 한다. 단순히 공자의 가르침만 수용하기 바빴던 제자들이 아닌, 진정 스승과의 대화 속에서 자신의 생각을 내비치고 사상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 책 152페이지 중에는 애공과 공자와의 대화에서 정치의 요체에 대한 부분이 나온다. 정치란 무엇이냐는 애공의 질문에 올곧은 사람을 뽑아 굽은 사람 위에 두면 백성이 만족할 것이나 굽은 사람을 뽑아서 올곧은 사람위에 두면 백성이 따르지 않는다고 공자는 대답한다. 지금의 우리 정치상황을 비춰볼 때 수천년전 현인의 혜안과 시대를 초월한 진리 앞에 현재의 암울함이 더해져 감에 답답하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