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의 회전 - 헨리 제임스 장편소설 열린책들 세계문학 192
헨리 제임스 지음, 이승은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슬라보예 지젝은 헨리 제임스의 <나사의 회전>에 대해 이렇게 평한다. "어쩌면 진정한 악은 넓은 세계 속에서 오직 악인만을 발견하는 순수한 응시다.그런 의미에서 헨리 제임스가 쓴 <나사의 회전>속 진정한 악은 물론 화자(젊은 가정교사) 자신의 응시다."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중 <보스턴 사람들>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클래식클라우드 시리즈 헨리 제임스편 출간 소식을 들었다. '보스턴 사람들' 관련 이야기보다 '나사의 회전'에 관한 이야기가 조금더 많아..부랴부랴 다시 <나사의 회전>을 읽었다. 클래식..편을 읽게 되면 스포일러를 보게 될 것 같아서... 그런데 지젝의 글을 읽는 순간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처음 <나사의 회전>을 읽을 때는 가정교사..의 모습이 선생의 참모습처럽 보였더랬다.무책임해 보이는  '삼촌'과 대척점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였던 것 같다. 그런데 최근 고레에다 감독의 '괴물'을 보면서, 누구도 괴물이 될 수 있다는 사실 보다, 나도 모르는 사이 괴물이 되어 버린다면, 그것이 더 끔찍한 것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놀라운 건 가정교사..가 그 괴물이란 지점에서 오버랩되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영화속 '괴물' 과는 결이 다르다고 봐야 겠지만...)중요한 건 헌신적인 인물로 바라보았던 대상이...공포의 대상으로 바뀌게 되었다는 점이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 말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란 설명은 그래서 고개가 끄덕여진 대목이다. <나사의 회전>을 읽으며 궁금했던 몇 가지는 클래식..덕분에 이해받을수 있었다. 시간이 조금 니나도..이제 줄거리와 내용은 기억하게 되지 않을까... 헌신하는 것처럼 보였던 가정교사의 모습은 광기로 변해 있었다. 왜? 라는 질문 보다, 광기로 보이게 된 것이 제임스 문학의 한 특징으로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책에서 언급해 준 것처럼... "삶 그 자체를 오롯이 책에 담아내겠다는 집념,그것은 통제광의 것이다.평소 흠모하던 조지 엘리엇에게서 이 통제광의  특성을 물려받은 것일까? 헨리 제임스의 문학적 독창성은 이런 통제광적 면모 자체를 무대의 중심에 올려놓은 것이다.통제광은 무엇보다 도적적인 존재다.그는 통제를 선이라고 믿는다(..) 그런데 통제광이 이렇게 통제에 집착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왜냐하면 모든 것을 자신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왜냐하면 그의 주인이 무능하기 때문이다"/159쪽 두 번째 읽기 지만 처음 읽은 기분이 들었던 건, 줄거리를 오롯이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 번째 읽기 덕분에 가정교사에 대한 시선이 달라지게 되었다. 지금 읽는 것이 처음이라면..오로지 그녀의 광기가 먼저 보였을 테지만... 그런데 콕 찍어 광기..라고만 보기에는 뭔가 석연찮은 기분이 있었을 텐데..클래식 덕분에 그녀의 지나침(?)은 통제광이란 주제로 이해할 수 있었다.기억이 맞다면 '나사의 회전'에서 '도덕성'이란 언급이 한 번 등장한다. 바로 이런 이유로..그녀를 광기에 사로잡힌 여인으로 보기가 힘들었던 건 아니였을까... "<자연>을 신뢰하고 그것을 침작함으로써 그리고 나의 기괴한 시련을 물론 이례적이고 불쾌한 방향이지만 결국 공정한 대결을 위해 즉 평범한 인간의 도덕성이라는 나사를 한 번 더 조이기를 요구하는 압력으로 여김으로싸 가능했다"/20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사의 회전 - 헨리 제임스 장편소설 열린책들 세계문학 192
헨리 제임스 지음, 이승은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읽었을 때와 다른 느낌으로 읽게 될 거라 예상은 했지만..가정교사에 대한 시선이 180도 달리 보게 될 줄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스턴 사람들
헨리 제임스 지음, 김윤하 옮김 / 은행나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모두 자기 삶을 이끌어야 하며 다른 삶을 이끌어줄 수 없으니까.(...)"/514쪽 저와 같은 생각을 하면서도 버리나는 결국 자기 삶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했다.(이유를 붙이자면 '사랑' 때문이라고 해야 겠다.)




"인간의 마음은 천차만별이며 진리가 미치는 힘은 위대해서 인생에는 똑같이 의외의것이라 해도 꺼려지는 게 있는 만큼 기분 좋은 것도 있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481쪽 (오로지 '진리' 만을 위해 살아가는 올리브가 정말 '진리' 만을 쫓았는지...한 번 읽고는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그녀에게서 종종 오만과 독선과 지나친 이상주의사고가 보였기 때문이다.)  700페이지가 넘는 책은 독자에게 부담스럽다. 게다가 아주 특별한 사건(?)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다 읽고 나서 든 생각은 인간이 평생 헤어나올 수 없는..주제에 관한 이야기라면 700페이지로도 모자랄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여성 문제를 다룬 부분에서는 올리브의 노력에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군중심리와, 권력이란 시선으로 보게 되면 굳이 '보스턴 사람들' 만의 특징일까 싶었다. 이상을 주창하는 버리나가 사랑 앞에 무너지는 모습은 인간적이라 오히려 안타까웠다. 굳이 그 사람들만의 성격이 아니라,인간 마음이 천차만별이라 벌어지는 일들과 마주한 기분이 들었다. 이성적으로는  스스로 자유를 찾아 당당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걸 알지만, 수많은 감정 앞에서 우리는 무너질 수 밖에 없는 존재들인 거다. 사랑을 찾았다고 생각한 순간 다시 현실의 무언가가 보이는 ..것들의 반복..고난받기 위해 태어난 것이 인생이란 말이 가슴에 와 비수처럼 박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고통받기 위해 태어난 것입니다.그러니 품위 있는 사람들처럼 견뎌내야 합니다" /3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서 새빌 경의 범죄 쏜살 문고
오스카 와일드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범죄'와 거리가 있어(?)보이는 표지가 시선을 끈다.보르헤스 가 소개한 단편 가운데 아서 새빌 경의 범죄' 부터 읽어야 겠다는 유혹을 느낄 만큼... 다 읽고 난 후 시선은 자연스럽게 표지를

 다시응시하게 만들었다. 아서 경 일거라 생각했던 표지 속 저 남자는 어쩌면 수상술사 포저스였을지도 모르겠다.뭐하나 부족할 것 없을 것 같은 이들도,미래를 예언해 줄 있는 이의 말에는 또 귀가 솔깃해지는 모양이다.여기 아서 경도 그 호기심을 포기할 수가 없어 포저스씨에게 자신의 운명을 물어 보게 된다. 결혼을 곧 할 예정으로 한창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앞으로도 계속 행복할 것인지가 궁금했던 모양이다.그런데 '살인'이 보인다는 포저스의 한마디 말에 그는 정말 누군가를 살인하려고 한다...왜냐하면 결혼을 하고 난 이후에 벌어지게 된다면 자신의 애인에게 씻을수 없는 상처를 줄 수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이 상황이 말이 되는가 싶지만 미래를 예언하는 이들의 말을 절대적으로 믿는 사람들이라면 상황은 다를게다.읽는 내내 혹시 반전은 일어나지 않을까,만약 일어난다면 어떤식의 반전일까...역시나,예상하지 못했던 반전이 그려진다.생각해 보면 '살인'이란 이미지가 보인다고 했을 뿐,당신이 누군가를 죽인다고 말하지는 않았음에도 공포에 떨었던 시간..그리고 실제 그는 자신의 임무(?)를 착실하게 실행시키게 된다.보르헤스는 '아서 새빌 경의 범죄'에 대해서 선과 악의 경계를 우아하게 넘나드는 소설이라고 했다.미래를 알려 주려고 하는 이들도 어느면으로 보면 범죄에 해당 하는 걸까 생각했다.(그러나 굿을 하게 한 무속인을 고소한 판결에서 무죄..판결 기사를 보았다.) 이게 다 '운명'이다 라고 말하는 것은 얼마나 위험한지...끝내 아서경은 운명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되었다..



보르헤스의 '바벨...'시리즈에서 인상 깊게(?)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쏜살문고에서 출간 된 오스카와일드의 제목을 보는 순간 다른 책인줄 알았다....'행복한 왕자'를 다시 읽게 된 덕분(?)에 운명(이란 말은 이제 하고 싶지 않은데...^^) 처럼 아서..도 다시 읽어 보고 싶어졌다. 표지가 닮았다는 사실도 반갑고...책을 다 읽고 나서 오래전 리뷰를 찾아 보았다. 운명에 대한 아이러니를 생각했던 처음과 달리...이번에는 아서 경이 여전히 운명 속에 함몰되어 있다는 사실이 보였다. 바벨시리즈 표지 보다 쏜살문고 표지가 조금 더 섬뜩하게 느껴졌다고 해야 할까... 운명을 믿는 것은 각자의 선택이겠지만... 무언가를 절대적으로 믿게됨으로써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1세기에는 가스라이팅같은 것도...그런 역활을 하게 하는 것 같아서...그런데 정신이 건강하기란 생각처럼 쉽지 않다는 걸 알기 때문에 아서경의 공포가 고스란히 느껴졌다. 그에게 미래를 예언(?)해 준 남자 역시 흔들리지 않는 정신을 소유하지 못한 탓에..죽음을 맞게 된 건 아니였을까...물론 타인에 의해 죽음을 맞게 되었지만,아서..를 읽는 동안 그가 저지른 범죄 자체보다, 그것을 자신의 의무로 믿어버리는 그 생각이 더 무서웠다. 그래서 오랫동안 나쁜 짓을 하고도 사과하지 않는 이들이 있는 모양이다. 그것이 최선이었고,의무였다고 체면을 걸면서 말이다.아니면 어디서 미래 예언을 받았을지도 모르겠다.... "아서 경은 잠시 자신이 해야 할 일에 역겨움을 느꼈지만 그런 감정은 곧 사라졌다.그의 가슴은 그것이 죄가 아니라 희생이라고 말하고 있었다."/33~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