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Review

1. 호삼다, 혹정 + 판첸라마 대소동
 배움이라는 것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배움이란 어디서부터 시작일까? 어떤 것들이 배움의 바탕이 될까?
 첫째는 가르침에 의한 배움이 아닐까? 그리고 다른 배움 하나는 스스로부터 터득하거나 타인으로부터 모법을 받는 경우도 해당될 것이다. 물론, 배우지도 않고도 타인을 추종하고 모범을 본받지도 않아도 아는 사람이 있기는 하지만..
 호삼다라는 어린아이와 혹정이라는 노인사이의 배움과 가르침에 한번 감동한다. 73세의 노인이 어린아이에게 가르침을 받는다는 것은 어쩌면 일종의 대단한 용기이다. 예전부터 생각하여왔다. 자신보다 겉으로 위의 사람이 아니라 내면에서의 배움의 대상은 단계가 위인 사람만이 될 수 있다고(물론 자신보다 못한 사람을 대상으로 해서 배우는 경우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나보다 못한 이를 보면서 '저렇게 되지는 말아야지'하는 마음이 생기는 경우).. 배움에 있어서는 어떤 대상이던 간에 자신을 낮추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 또한 그 낮춤에는 공경과 존중의 자세를 포함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배움의 지식을 그저 알려주는 것에 그치면 안 될 것이다. 지식은 스스로 갈구하고 찾아서 습득해야 할 것이다. 현재 가진 지식을 점검하고 정리하며 새로운 지식으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저 주어진 지식에만 안주하며 편협한 생각만을 고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내가 가진 지식과 앎에 대해서 얼마나 점검하고 정리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나마 남은 지식들을 어떻게 불려가고 있는지? 마지막으로 그 배움에 있어 가르침의 대상은 특정한 사람이었는지? 이런 내 스스로 나에게 던지는 질문을 하여본다.
 판첸라마 대소동에서 열하의 일행이 하는 행동을 곰곰이 생각해본다.(일단은 부정적) 다른 이에게 머리를 조아린다는 것은 어쩌면 자존심이 상하는 것일 수 있다. 억압에 의한 경우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영화나 드라마는 가끔 이런 경우 배신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억압에 의한 경우가 아니라면 자존심이 그렇게 상하는 일일까 하는 것이다. 억압에 의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기존의 가치관이나 변화를 넘어서는 행동을 하는 경우에도 그럴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현실 안주의 의미가 조금 더 강할 것이다.
 판첸라마에게 머리를 숙일 수 없었던 것은 기존의 유교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는 것과 머리를 숙였을 경우 그 주변에서 자신에게 오는 시선의 날카로움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하비만, 변화나 새로운 가치관에 대해서 두려워 한다는 것은 자신을 더욱더 약하고 옹졸하게 만드는 것을 아닐까? 주어진 상황에 안주하는 그런 행동으로 빠지지는 않을까? 아마도 그게 좋은 일은 아닐 테지만 나라면 어땠을까?

 원래는 판첸라마 대소동을 보면서 "부정적이다"라는 의도로 쓰려고 했는데 쓰다가 보니 어느 정도 그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때 그 일행 중에 내가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나는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았을까?
 보편적으로 인식되어져 온 것들을 깬다는 것은 엄청난 용기이다. 하지만, 타인에 비해 조금 더 가진 부와 권력(보편적인 가치와 타당한 동의를 얻지 못한)을 쉬이 포기하지 못하는 것을 기득권층의 지나친 욕심이며 없는 자에 대한 횡포는 아닐까?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기에는 욕들어 먹기 딱 좋은 모습은 아닐까? (물론, 보통사람이 가진 가치가 올바르고 정의스러워야 할 것이지만)

 2005년 7월 15일 출근 전철에서 씀.
 2005년 7월 26일 새벽에 정리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개츠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5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뭐가 개츠비를 위대하다고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부를 가진 것이 위대하다고 표현하다고 해야하나?
부이외에는 어떤 것도 제대로 갖지 못한 사람이 정말로 잘 살고 있는 것일까?
자신이 갖추지 못한 것에 대해서 집착증정도로 보이는 모습에서 그가 행복한 것일까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행복이라는 것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행복이라는 상대적인 가치인 것이다.
그냥 바램으로 남을 수도 있지만 다른 면에서 생각해보면 지금 현재가 행복한 상태이다.
반대로 생각하면 지금이 순간이 불행한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건 아마도 생각하는 사람들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은 아닐까?

사실, 이책을 제대로 이해하지는 못했다.
왜 이책이 고전으로 통하는 지도 잘 모르겠다.
이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920년대의 미국에 대해서 조금 알고 봐야 하지 않을까?

   씀 : 2005년 2월 14일
   읽음 : 2005년 1월 26일 ~ 2월 1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도를 기다리며
       사뮈엘 베케트


 책을 읽기전에는 고도라는 의미가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알았다. 그러니까, 땅에서의 높이(해발고도, 비행고도)라는 의미로 생각되었다. 책제목에서 무슨 희망이라던가 아니면 어떤 이상이나 가치를 기다리는 의미로 생각했었다.

 책에서는 고도라는 누군가를 기다리는 것으로 표현되어진다. 물론 고도라는 의미가 우리가 쉬이 얻을 수 없는 희망이라던가 이상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한다. 주인공인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가 기다리는 고도는 끝까지 고도라는 인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건 아마도 꿈과 희망이라는 것이 눈에 보이지는 않으며 우리가 쉽게 얻을 수 없는 그 어떤 것이라는 암시를 주는 것을 아닐까?

 책에는 에스트라공, 블라디미르, 포조, 럭키, 소년의 다섯인물이 나타난다. 하나같이 바보같기도 하고 어떤 면에서는 답답해보이기까지 하다. 어제의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들이나 말장난이나 하고 있는 모습들을 볼 때 특히나 그랬다. 어쩌면 고도를 기다리면서 무의미한 행동과 말로서 시간이나 보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다소는 그 행동들과 말장난게 웃음이 나기도 하지만..

 이런 생각을 한다. 그냥 무턱대고 아무런 것들도 없이 그냥 희망과 이상을 쫓아다니는 것은 무의미한 행동이 아닐까하는. 물론 희망을 갈구하는 것이 맞는 일이다. 그러나, 그 희망을 위해 아무런 일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을 그냥 꿈이 뿐이지 않을까? 꿈을 쫓아서 노력하고 꿈을 현실로 이룩하려는 노력을 해야하지 않을까? 회사 화장실에 얼마전까지 붙어있던 글이 있었다.

 "꿈을 현실로 만들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언제나 꿈일 뿐이다."

     2005년 01월 26일 아침에 씀
     2005년 01월 24일 ~ 25일 읽음

 덧붙임 1
 책을 읽으면서 럭키가 그냥 자신의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이 나는 너무 마음에 안들었다. "씨바"하고 포조에게 한바탕 욕이나 주먹이라도 휘둘렀을면 하는 바램이 있었다. 하지만 그런 행동을 하지 않은 것이 너무 아쉽다.

 덧붙임 2
 전날과는 다르게 포조가 장님이 되고 럭키가 벙어리가 된 것은 무슨 의미일까? 인생의 덧없음일까? 하루를 알 수 없는 현실의 무의미, 꿈이라는 것 이상이라는 것을 쫓은 것이 덧없음을 암시하는 것일까? 아니면 장님이나 벙어리처럼 알 수 없는 인생이나 조용하게 다른 사람들틈에 뭍혀서 살라는 의미일까?

 덧붙임 3
 홀로 서기 1
  서정윤

 기다림은
 만남을 목적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가슴이 아프면
 아픈 채로,
 바람이 불면
 고개를 높이 쳐들면서, 날리는
 아득한 미소.
 어디엔가 있을
 나의 한 쪽을 위해
 헤매이던 숱한 방황의 날들.
 태어나면서 이미
 누군가가 정해졌었다면,
 이제는 그를
 만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페포포 메모리즈
심승현 글, 그림 / 홍익 / 2002년 10월
구판절판


어느 때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람에 시달린다는 느낌이 든다.
또 어느 때는 목이 ?록 사람이 그립다.
인간관계에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는 건 항상 숙제다.
세상은 내게 아직도 배울 것이 많다고 말한다.-1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페포포 투게더
심승현 지음 / 홍익 / 2003년 10월
절판


내 어린 날은 그렇게..

소심한 성격 탓에 난 항상 후회만 했다.
지나고 나서야 후회하며, 내 자신을 원망했던 어린 시절.
좋아하는 친구의 생일 잔치에 초대박았던 날
난 너무 들뜬 나머지 구멍난 양말을 생각 못하고 갔다가
그 아이의 집에 들어가지도 못한 채
밤깊도록 가로등에 기대어 있었다.

그 아이에게 좋아한다는 고백 한번 못하고,
용기있게 다각 내 맘속에 있는 진실을 말하지 못하고,
그렇게 후회만 하다가 내 어린 날은 시시하게 끝나 버렸다..-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