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짜경제학 - 상식과 통념을 깨는 천재 경제학자의 세상 읽기
스티븐 레빗 외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출판사에서 제목을 참 잘 지었다고 생각한다. 솔직히 정말로 끌리는 제목이다.
'괴짜'라는 말, 주류를 벗어나고 한참 벗어나 엉뚱하다는 것 아닌가.
 
하지만, 이 책에서 소개되는 사회적 현상과 그에 대한 경제학적인 해설이 정말로 괴짜라는 말에 어울리는지 나는 모르겠다.
 
이런 게 아닐까, 우리는 매스컴을 통해서 '경제'나 '경제학'이라고 하면 수출, 무역, 환율, 주식, 부동산이라는 것만 떠올리고 우리 주위의 사소한 것들이나 생활적인 사회현상들과 경제(학)을 연결시키지는 않았는데(아니 이런 시도가 실제로는 있어도 일반인이 관심을 가지고 접하기는 쉽지는 않는데..).. 이 책에 나오는 경제학자께서는 주류 경제학자들이나 매스컴들이 다루지 않는 현상을 경제학에 연결시켜 아주 재미나게 체험한 이야기를 들려주신다는....
그리고, 우리가 갖고 있는 편견이나, 평소에 눈여겨 보지않던 문제를 경제학의 관점에서 '이건 경제학으로 풀어보면 이렇습니다'라고 얘기해주는게 아닐까.
이걸 과연 '괴짜경제학'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냥 '주변부 문제를 경제학으로 바로보기' 정도가 아닐까.
 
경제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소재(또는 독특한 걸 소재로 삼는 행위 자체)가 독특하다는 것과
소재와 무관하게 관점과 시각, 해석이 독특하다는 건 별개가 아닐까.
 
 
마약판매상이 엄마 집에 얹혀사는 이유... 정말 왜일까.. 궁금증을 유발한다.
하지만.. 끝까지 읽어보면.. 결론은 마약판매상의 맨 밑에 있는 똘마니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돈을 많이 못 벌기 때문에, 돈이 정말로 없어서 엄마 집에 얹혀 산다는 것. 만약 '마약판매상 맨 밑에 있는 똘마니들이 얼마 집에 얹혀서 사는 이유'라고 소제가 붙었다면... 당연한 게 아닐까? 이건 우리가 '마약판매상'하면 '어느정도, 적당히 높은 위치에 있는 녀석'이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이 아닐까.
 
KKK나 부동산업자에 대한 부분에서도, 나는 무릅을 탁 치면서, '아 그래 이런 경제학적 해석도 있구나!'라고 하지 못했다. 1페이지로 다 담을 수 있는 걸, 수십 페이지에 걸쳐서 장황하게, 너무 자세히 전후 사정을 설명했다. 그런 점이 확실히 지루했다.
 
꼭지를 잘게 쪼개서, 더 많은 소재를 담고, 짧고/경쾌/명쾌하게 전개했더라면 좀더 나았지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