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선택을 하는 노하우란 잘못된 선택을 피하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어려운 문제들을 푸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가 배운 것은 그런 문제들을 피하는 법이다" 라는 워런 버핏의 말처럼, 일상 곳곳에 숨어있는 생각의 오류들을 제거할 수 있다면 사람들은 지금보다 더 현명하고 지혜로운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언제나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결정을 내린다고 착각한다. 소위 전문가라고 불리는 사람들일수록그런 경향이 강한데, 심지어 그들은 다른 사람의 말도 귀담아 듣지않고 실패할 경우도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실패하고 나서야 무릎을 치며 후회한다. 나는 그런 사람들에게 ‘덜‘ 후회하는 선택을 할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었다. - P7
사람들은 왜냐하면‘과 같은 이유에 중독되어 있다. 비록 그런 말이 분명한 진실을 담고 있지 않더라도 우리는 그 말이 필요하다. 조직을 이끄는 리더들은 이런 사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곤 한다. 만약에 당신이 팀장이라면 함께 일하는 동료들에게 열심히 일해야 하는 이유를 반드시 대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의 근무 동기는 떨어진다. 신발 회사의 목표가 신발을 생산하는 것임은 분명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다음과 같은 식으로 목표를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는 우리가 만든 신발로 시장에 혁명을일으키고자 합니다" (여기서 혁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혹은 "우리는 여성들의 발을 아름답게 함으로써 세상을 아름답게만듭니다" 라는 말에 사람들의 의욕은 타오른다. - P19
윌 로저스 현상
최근 종양 환자들의 완치율이 높아지고 있다. 악성 종양을 치료하는 특별한 신약이라도 개발된 것일까? 유감스럽게도 아해마다 의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정밀하게 종양을 진단하는니다. 그것은 단지 무대를 이동한 것 일뿐이다. 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여기서 무대의 이동이 발생한다. 예전 같으면 어떤 의사의 눈에도 띄지 않았을 아주 작은 종양들이 발견되면서 건강하다고 간주되었던 환자들이 1단계 환자로 분류된 것이다. 종양의 조기 발견율이 높아지자 자동적으로 완치 가능성 역시상승한다. 즉 더 많은 건강한 사람들이 1단계로 이동했을 뿐, 실제로 치료 성과가 획기적으로 좋아진 것은 아니다. - P30
왜 우리는 제대로 된 계획을 세울 수 없는 것일까? 첫 번째 이유는 우리가 바라는 것을 먼저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신이 계획하는 모든 것을 다 달성하는 성공적인 인간이 되고 싶어 한다. 둘째로 우리는 지나치게 프로젝트에 집중하며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낯선 사건들은 배제시켜 버린다. - P57
계획 오류
왜 항상 계획보다 시간이 더 많이 걸릴까?
프로젝트에 대한 결정을하기 직전에 ‘프리 모(pre-mortem, 사전 부검이라는 뜻)회의를 열어라. 미국의 심리학자인 게리 클라인이 권유한 대로 팀원들 앞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다. "여러분은 1년 후의 오늘을 상상해 보십시오. 지금 우리가 준비한 프로젝트를 실행에 옮겼더니 그 결과는 실패인 것으로 결론이났습니다. 왜 우리는 실패했을까요? 한 10분 정도의 시간을 내서프로젝트 실패에 대해 짤막한 이야기를 써봅시다." 그렇게 해서 작성된 허구의 실패 요인들은 당신에게 그 일이 어떤 식으로 진행되면 좋을지를 미리 보여 줄 것이다. - P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