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을 끄는 소재들이 많고, 화보가 좋다. 하지만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일이 인터넷을 따로 뒤져야한다. 하지만 좋다.


1. 명왕성이 행성이 아닌 이유


2006년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은 행성을 정의하는 기준을 수정 발표했습니다. 다음 3가지 항목을 모두 만족해야 행성으로 분류합니다. (1)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궤도를 가져야 하며, (2) 질량이 충분히 커서 완벽하진 않아도 원형의 형태를 유지해야 하고, (3)지역에서 중력이 압도적이어야 합니다. 카이퍼 벨트.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명왕성이 행성에서 퇴출된 이유는 바로 마지막 조건 때문인데요. 명왕성의 바로 옆에는 명왕성의 제1위성 카론이 있습니다. 명왕성과 카론은 각각 서로를 중심에 두고 그 둘레를 돕니다. 즉, 명왕성은 카론 주위를 공전하고 카론은 명왕성 주위를 공전하는 것이죠. 이는 명왕성이 카론의 중력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말인데요. 명왕성 주변에서는 카론 뿐만 아니라 에리스라는 천체도 새로 발견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에리스는 명왕성보다 더 클것으로 유추되고 있습니다. 또한, 명왕성 근처의 카이퍼 벨트에는 명왕성만하거나 더 큰 천체들이 많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는데요. 이 모든 종합적 사실을 고려해봤 때, 이는 국제천문연맹에서 정의한 행성기준 3번째에 위반됩니다. 출처 : 이웃집과학자(http://www.astronomer.rocks)


2. 행성 vs 왜소 행성 vs 소행성


원래 행성이었던 명왕성이  왜소 행성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때 결정된 왜소 행성의 정의를 아주 간략히 말하면 (1)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2) 충분히 커다랗고 공 모양이며, (3) 자신의 궤도 근처에서 다른 천체에 비해 ‘월등하게 크지 않으며’ (4) 위성이 아닌 천체이다. 행성과 왜소 행성의 정의는 위의 기준 (1)과 (2)는 같다. 차이는 (3)에 있다. 즉 태양계의 행성들은 자신의 궤도 근처에서 다른 천체에 비해 ‘월등하게 큰 천체’이고, 명왕성(왜소 행성)은 자신의 궤도 근처에서 다른 천체에 비해 '월등하게 크지 않은 천체’인 것이다.


행성이나 왜소 행성이 될 수 있는 조건 중의 하나는 ‘자신의 큰 중력을 이용해, 공처럼 둥근 모양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소행성은 크기가 작아서 스스로의 중력으로 ‘공 모양’이 되지 못하고 변형된 형태를 이룬다. 즉 소행성은 대부분 감자나 고구마, 또는 불규칙한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다. 암석 위주로 된 천체가 공 모양이 되기 위해서는 지름 800km 정도가 필요하다고 한다.

(출처 : https://kor.topbrainscience.com/asteroids-comets-28470)


소행성 베스타



3. 소행성 vs 혜성


소행성은 탄소와 규산염, 철, 니켈등으로 구성된 행성이라면 혜성은 먼지와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천체입니다. 사실 천체라고도 부르기도 하지만 혹자는 먼지와 얼음으로 이루어진 덩어리라고도 표현하죠. 혜성의 경우 평상시에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다 태양 가까이 갈 수록 태양의 온도 때문에 혜성의 휘발 성분과 가스, 먼지등이 분출되며 빛을 발하는 것이죠. 이 빛들이 태양풍 영향등으로 인해 긴 꼬리를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소행성은 태양을 다른 행성과 같은 방향으로 궤도를 틀지 만, 혜성은 태양을 궤도를 그리며 균일하게 궤도에 올리는 것은 아닙니다.(출처 : https://baniworld.tistory.com/6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