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제가 당부하고 싶은 것은, 그러한 것들은 행복해생활을 하는 데 아무런 직접적 관계가 없다는 점입니다. 호시자신들이 잘생기고 공부를 잘한다고 해서 결혼생활마저 잘하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입니다. 결혼생활은 그와는 다른 별도이역량이 필요한 일입니다. 그 역량은 다름 아닌 연민의 능력입니.
그런데 인물도 뛰어나고, 공부도 잘하고, 장학금도 받고 장래가 창창해 보이는 스스로와 상대방을 불쌍히 여기기란 쉽지 않을것입니다. 그래서 강조하고 싶습니다, 이제 결혼을 하고 나서 함 께 보낼 미래의 시간들은 다름 아닌 노화의 과정이라는 사실을과학자들에 따르면 대략 19세를 전후해서 성장이 멈추고 노화가시작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본인들이 인정하는 인정하지 않든, 이 미 상당히 노화가 진행된 상태라고 하겠습니다. 노화를 겪는 생물 체의 고단함과 외로움과 무기력함을 생각하면, 자신과 배우자에 대해 연민이 샘솟을 것입니다. 이 그렇게 연민을 가질 때, 사람은 비로소 상대에게 너무 심한 일을 하지 않게 됩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성인인 공자孔子님이 왜 성인인지에 대해서, 맹자孟子는 다음과 같이 짧게 말한 바 있습니다. 공자께서는 너무 심한 일은 하지 않으셨다仲尼不爲已甚者.
이제 오늘 이후로 신랑 신부는 노화의 과정을 홀로 겪지 않고배우자와 함께 겪게 될 것입니다. 결혼을 통해 유한한 생물체의 고단함과 외로움과 무기력함을 위로하고 연민할 수 있게 돠기를 바랍니다.

요컨대, 상대를 따뜻하게 대해주는 일상적인 습관이 중요합 니다. 지금 이 순간 두 사람의 감정이 아무리 뜨거워도, 그 애정이 이 따뜻함의 습관을 만들어주지는 않을 겁니다. 그보다는 거꾸로, 일상적으로 따뜻함을 실천하는 습관이 길게 보아 두 사람 간의 애정을 만들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끝으로 일본 소설가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생활>이라는 시를 전합니다.
"기분 좋게 일을 마친 후 한잔의 차를 마신다. 차의 거품에 어여쁜 나의 얼굴이 한없이 무수히 비치어 있구나. 어떻게든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