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가 좋다
나카자와 신이치 외 지음, 김옥희 옮김 / 동아시아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불교의 장점을 편향적으로 적은책.

 

그러나 난 이런 책이 좋다. 이세상에 중립이 어디에 있는가? 편향적으로 적더라도 논리나 근거가

강하면 휼륭한 책이지..

 

물론 이책에서 말하는 불교는 대중불교와는 다른 강력한 원론적인 불교다..

내가 이세상에서 주인이 되면서도 지배자가 안되는 무아를 추구하면서 비아인..

 

신의 노예가 아닌 강한 종교. 종교가 아닌 종교.

 

그러고 보니 종교라는 의미는 크게 가르치는 의미.

서양의 종교는 정확히 말하면 religion 누구한테 의지한다는 rely와 비슷한 어원 서양의

religion은 동양의 종교가 아니라 항상 뭔가에 의지하는 느낌의 단어...

 

인간은 누구나 완벽할 수 없음으로 스스로 자립하기위해 가르침을 받아야함으로 종교가 필요하다

그러나 누구에게 어떤 사상에 영원히 의지(Rely)한다는 것은 자기삶의 주인이 되지 못하는 법

 

우리에게는 Religion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종교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책을 읽고 난 느낌..

 

=> 별 4개만 주는 이유는 내가 다 이해를 못해서....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클라라 2016-02-22 2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왠지 읽고 싶어지는데요.. 다 이해가 되기 어려운 책이라 신비로워보입니다 `-` ㅋㅋ

보빠 2016-02-22 22:58   좋아요 0 | URL
어렵지는 않아요. 다 이해 안되는 것은 내가 이해하는 불교와 다른 주장을 다른 근거로 말해서 저자 말을 믿을까 말까 고민중. 철학적 교양이 제가 부족해서 이 책이 다 이해가 안되네요

나와같다면 2016-02-23 0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요.. 제가 이해 못하는거는요
윤회를 하는데 이전의 나를 기억하지 못하는 윤회가 어떤 의미가 있죠..?
지금 내 생에 어떤 힘이 되죠..?

보빠 2016-02-23 06:28   좋아요 1 | URL
불교에 사성제 고집멸도가있는데 고해는 집착에 있고 고해를 멸하는 도를 얻으라 이소리. 윤회는 힌두교및 고전 인도 사상이지 불교사상이라고 보기 힘듬. 이전의 나에 집착이 무슨 의미가 있죠? 오히려 불교에서 말한 윤회는 과거의 나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을 주기위하여 고대 인도사상의 단어를 차용한 것. 즉 이 생에서 말하면 다시태어나서 좋은 것으로 태어나다는것은 아니라고 봐요.이 세상에서 좋은 일을 하면 그게 나와 또다른 나인 너희들에게 좋은 영향미치고 내가 죽고나서 내 영혼과 육체가 흩어졌다가 인연으로 뭐가 다른 것으로 태어나면 내가 전에 한 공덕으로 세상이 좋아지면 다시 태어난 나에게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사회운동적 구호가 윤회라는 느낌이 내가 해석하는 방법.

나와같다면 2016-02-23 2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집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나는 내가 죽고나서 영혼과 육체가 흩어졌다가 인연으로 뮌가 다른곳으로 태어난다면..
내가 나였던 나를 인식못하는데
그 상황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저는 아직 모르 겠어요

집착인가요..?

보빠 2016-02-23 08:08   좋아요 0 | URL
원론적인 말로하면 집착입니다.땡중의 말로 하면 시주해서 공덕을 쌓으면 극락에 가서 윤회하여 현재의 좋은 나보다 더 좋은 나로 됩니다. 니체의 말로 하면 영원회귀되어 어제의 나보다 더 좋은 오늘의 나가 되는 것에 마음에 집중하세요 그러다보면 초인이 되어 오늘의 나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알아서 선택하세용

나와같다면 2016-02-23 0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임제어록님.. 어제 편도 붓고 열 있어서 이비인후과 가서 주사맞고 약먹고 패취붙이고.. 수면제 먹고 잤는데 칵테일 효과 때문에 어리버리..
제가 글 쓴거 말이 어리버리 하죠..?

보빠 2016-02-23 08:16   좋아요 1 | URL
아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