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동의 원인을 설명할 때 상황은 무시하고 성격을 필요 이상으로 강조하는 이 오류는 일상 생활에서 매우 빈번하게 그리고 광범위한 영역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중요한 면접에서 긴장하는 후보자를 보고 천성적으로 걱정 많은 사람으로 결론짓거나,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는 모임에서 조용히 있는 사람을 천성적으로 수줍음이 많은 사람으로 판단하거나, 자기가 잘 알고 있는 주제에 대하여 잘 아는 사람들 앞에서 능숙하게 강연하는 사람을 원래 뛰어난 연설가로 성급하게 결론 내리는 일 등이 그러한 오류의 예들이다.

 

2.

다른 사람에게 차를 더 청하는 상황에서도 동양과 서양의 언어적 차이가 잘 드러난다. 중국인들은 '더 마실래?(Drink more?)'라고 묻지만, 미국 사람들은 '차 더 할래?(More tea?)'라고 묻는다. 중국인들의 관점에서는 그 상황에서 마시고 있는 것은 분명 '차'이기 때문에, 명사인 '차'를 문장 안에 포함시킬 필요가 없지만, 미국인들은 차를 '마시고 있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동사인 'drink'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다고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