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세계 ㅣ 살림지식총서 85
강유원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1.
책의 마지막까지 읽다보면 '왜 이렇게 아둥바둥하며 살아야할까?' 하는 질문이 절로 떠오르고, 그 복합적인 원인도 어렴풋하게나마 알게 된다.
2.
 |
|
|
|
'이게 아닌데'라는 의심은 헌신의 감소를 낳고, 헌신의 감소는 또다시 체제의 허약함으로 귀결되고, 그러다가 로마는 무너져 내린 것이다.
|
|
|
|
 |
내가 알 수 없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이게 아닌데'라고 생각할 텐데, 체제는 오히려 더 강화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너무 순진한 생각일까? 어쩌면 '이게 아닌데'라는 의심은 극소수이거나 다수이되 힘없는 사람들만의 생각일 지도 모르겠다.
3.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약간 허망한 기분이 들 수 있다. 이 책에 소개된 마지막 고전인 다윈의 <종의 기원>의 끝줄에서 말하고 있듯, 이미 고대 서사시들은 알고 있었던, 세계의 쓸쓸함에 대해서 '수많은 세월이 지난 다음에도 또다시 같은 것을 알아차리는 건 너무 허망하다.' 마찬가지로 '알기 위해' 수많은 책을 자기 속에 넣어보고 빼보고 한 뒤에 알게 되는 것이 고작 '알 수 없음'이라는 것 역시 허망하다. 이 이야기는 수천년 전의 잠언 '너 자신을 알라'가 의미하는 바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내가 믿는 것처럼 '아는 것이 힘이기 이전에 과정으로서의 즐거움'이라면 그것은 자신의 무지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느끼는 즐거움이다.
4.
지식의 영역이 극도로 분화되고 분업화된 전문화 시대에 책날개에 적힌 저자의 계획은 다소 무리스러워 보이나 그만큼 용감하고 가치있어 보인다.
 |
|
|
|
'철학은 객관세계를 잊은 채 공상에 몰두하고, 자연과학은 이간을 내버려둔 채 물신 숭배에 빠져, 그 둘이 도저히 화해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나는 이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뭐든지 해볼 작정이다.'
|
|
|
|
 |
주요 고전들이 공상이 아니라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태어났음을 단단한 문체로 밝히고 있는 이 책은 저자의 이런 희망사항이 고스란히 투여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