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전 읽은 <미학이론>의 "사회"에 

통속(the vulgar)이 전면화하면서 비극성(the tragic)이 청산되었다... 는 얘기가 나온다. 

그리고 부르주아지가 애호하는 통속의 원형은, 치약 광고 속의 활짝 웃는 미인이라고. 


이 시대에 비극(비극성)의 의미, 역할에 대해 월터 카우프만이 쓴 글들이 있고 

<비극의 탄생> 말고 이 주제로 내가 읽은 건 그 글들이 전부일 텐데, 그런데 아도르노의 저 한 문장이 

카우프만의 글들은 주지 않았던 강력한 무엇을 주는 것 같다. 사실 어디서 똑같은 얘기를 이미 몇 번 본 거 같기도 하다. 

이 통속의 시대에 비극이 웬말이냐........ 같은 얘기. 김수영도 했을 거 같고. 


아도르노는 비슷한 얘기를 <계몽의 변증법>에서도, 특히 "문화산업" 장에서 한다.  

이 전면 관리시대에, 인간에게 인간의 개성으로 남는 건 치약 광고 속의 하얀 치아, 냄새나지 않는 몸 정도다.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이 할 일은 성공의 요구를 수행하는 장치로의 자기 변신이다." 


그의 말들도 훼손없이 인용하기 참 쉽지 않다. 어쨌든 이 모두가 

"주체의 청산"을 말하기 위함이고 주체의 청산은 정신(지성)의 청산이며 그건 반드시 감정의 청산도 포함함에 대하여. 

"사랑은 언제나 더 사랑함이다." "그의 사랑은 그가 자신을, 그리고 타인들을 정복할 능력이 없음의 증거다. 이것이 그에게 

사랑의 충족을 막을 충분한 이유다." 



세상이 지금과 달라야 한다는 흔들림 없는 희망 같은 것. 

그것이 없는 '지성'은 지성이 아님. : 이런 게 아도르노 입장이기도 해서 

그에게 지성은 도덕의 범주이기도 하지만 감정의 범주이기도. 




*'관리사회'에서 감정, 지성, 지배.... 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려던 포스트인데 

언제나 그렇듯이(그러듯이) 나중에; 이어서 쓰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17-06-16 14: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뜬금) 몰리님, 영화 [사랑과 영혼]에서 데미 무어가 맡은 역할 이름이 ‘몰리‘인데요, 혹시 몰리님 닉네임은 거기에서 온건가요?
@.@

몰리 2017-06-16 15:24   좋아요 0 | URL
아 아뇨 ;; ㅎㅎ ;;
제 닉네임은 Ulysses에서 몰리 블룸이 출전.
Yes, yes, yes, Yes! 그러는 몰리. 짧고 쓰기 좋은 닉네임;;